•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문헌연구

다문화 가족 및 영유아 관련 정책 자료를 관련 부처 및 기관 사이트에서 수집하 여 정리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다문화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다문화 보육 관련 쟁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국외 사례 분석을 위해 독일과 스웨덴의 보육정책에 대한 선행연구와 인터넷 자료를 수집하여 각 국의 다 문화 보육정책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 2차 자료 분석

다문화 가족 및 영유아 관련 통계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역규모별로 현황 및 추이를 분석하였다. 다문화 영유아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자료는 보육통 계와 외국인주민현황조사이며, 전국보육실태조사와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결과 도 함께 제시하였다.

다. 면담조사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의 도움으로 FGI에 참여가 가능한 다문화 영유아 재원 어 린이집 원장 및 담임교사를 모집하였다. 어린이집 설립유형을 국공립, 민간, 가정, 기타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로 1명 이상 포함되도록 구성하였으며, 대도시 외에 농 어촌과 중소도시가 포함되도록 모집을 시도하였다.

1) 원장 및 보육교사 포커스 집단 면담(FGI)

원장 면담 대상자는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라 고르게 분포된 편이나,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서울 이외 지역에서의 장거리 이동이 조심스러운 상황이 발생하여 소재지의 지역 규모는 반영되지 못하였다. 농어촌 지역 어린이집은 충청북도 1곳 만 참여하였다. 원장 FGI는 총 2회에 걸쳐 7명이 참석하였고, 면담시간은 약 100 분~120분 진행되었다. FGI 면담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였다.

<표 Ⅰ-3-1> 원장 FGI 참여자

구분 어린이집

설립 유형 지역규모 현원 다문화

영유아 수 총 경력 다문화

보육 경력

I

원장 1 국공립 대도시 53명 13명 18년 5개월 5년 7개월

원장 2 기타 농어촌 71명 9명 26년 11개월 15년

원장 3 민간 대도시 72명 10명 20년 5개월 7년

원장 4 가정 대도시 19명 3명 30년 13년

II

원장 5 국공립 대도시 77명 45명 24년 15년

원장 6 기타 대도시 52명 22명 17년 3년

원장 7 민간 대도시 76명 57명 25년 20년

다문화 영유아의 담임 보육교사 FGI는 대면 면담과 화상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화상 면담 방식은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시도 간 장거리 이동이 조심스러운 상황 에서 중소도시 및 농어촌 지역 보육교사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대안으로 선택되 었다. 방역 수칙을 준수한 대면 방식의 FGI는 대도시 지역 보육교사 4명을 대상으 로 진행되었으며, 화상 FGI는 농어촌 지역의 보육교사 3명과 중소도시 지역의 보 육교사 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 다문화가족 부모 심층면담

어린이집 원장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과 설문조사만으로는 다문화 영유 아를 둔 부모의 실질적 고충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자녀가 어린이 집에 재원 중인 다문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부모 대상 심층 면담을 통해 어린이집 이용 시 경험하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알아보고, 어린이집 이 용자의 다문화 보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연구에 반영하였다.

부모 심층면담 대상자는 대도시 2명, 중소도시 2명, 농어촌 2명으로 총 6명이 며, 출신국이 한 국가에 편중되지 않도록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 섭외는 지 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요청하여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참여자의 특성은 <표 I-3-4>와 같다.

<표 Ⅰ-3-4> 다문화가족 부모 심층면담 참여자 특성

구분 출신국 지역규모 자녀수 자녀 연령 한국 거주 기간 면담일

부모1 베트남 중소도시 1명 6세 8년 4개월 2020.9.14

부모2 중국 대도시 2명 3세/ 7개월 4년 2020.9.14

부모3 베트남 농어촌 2명 10세/6세 10년 2020.9.16

부모4 말레이시아 농어촌 2명 7세/6세 8년 2020.9.16

부모5 중국 중소도시 2명 18세/6세 11년 2020.9.19

부모6 베트남 대도시 1명 6세 7년 6개월 2020.9.19

라. 설문조사

1) 표집 및 조사방법

본 연구는 연구 규모의 한계로 인하여 어린이집의 다양한 다문화 보육 현장의 특성을 모두 반영하기는 어렵다. 제한된 사례수를 가지고 조사를 실시하는 본 연구 에서는 표본 추출의 기준이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구분 내용

다문화 보육 개선을 위한 지원 및 정책 요구

다문화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다문화 보육에 대한 별도 지원 기준에 대한 의견

다문화 보육 맞춤형 지원을 위해 반영되어야 할 어린이집 특성 이 외에 다문화 보육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지원에 대한 의견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구성 및 환경을 살펴보면, 도시 지역에 비해 농어촌 지 역만의 특수성이 있다. 농어촌 지역의 다문화 가족은 국제결혼을 통한 이주 여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농어촌 지역 특성상 교육 및 보육 시설 인프라가 부족 하고 지리적 접근성이 떨어진다.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도 농어촌 지역의 특수성을 지적하고 있다(정은희, 2004; 오윤자・정민자・라휘문・박정윤・김상만, 2009; 김이 선 외, 2016).

또한 문무경 외(2016)의 연구에 따르면, 한 기관에 재원 중인 다문화 영유아 수 가 증가하면 운영에 있어서 부담이 증가하고, 기관이 필요로 하는 지원 요구도 달 라진다. 다문화 영유아 수에 따른 어린이집의 지원 요구를 반영한 일례로, 서울시 의 경우 다문화 아동 현원이 최소 5명 이상인 어린이집만을 대상으로 다문화통합 어린이집을 선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유형과 재원 중인 다문화 영유아 수에 따라 어린이집을 표 집하고자 한다. 두 기준에 따라 어린이집 유형을 구분한 후 각 할당 영역에서 어린 이집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다만 지역유형은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으로 구분한 후 고르게 분포되도록 각 지역에 최소 70개소를 우선 할당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 며, 재원 다문화 영유아 수는 1~4명, 5~9명, 10명 이상2)으로 구분한 후 지역유형 과 마찬가지로 각 인원별 집단에 최소 70개소가 추출되도록 우선 할당하였다.

본 연구는 300개소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을 요청하였으나, 최종 응답은 어린이 집 조사에 응답한 원장 총 280명, 보육교사 조사에 응답한 담임교사 총 253명이 다. 어린이집 조사와 보육교사 조사에 모두 응답한 어린이집은 총 245개소였다.

본 조사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8월 18일부터 9월 1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응답의 편의성을 위해 모바일 응답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2) 설문 구성 및 조사 도구

설문지는 연구진의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토대로 연구 목적에 부합하게 구성되 었다. 설문지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원내 멘토링 1회, 서면 자문 2회(원내 전

2) 보건복지부 보육사업기획과의 협조를 통해 보육정책 DW에서 2020년 7월 기준 다문화 영유아가 재원 중인 어린이집 목록을 확보하였으며, 이 목록에서 각 어린이집 재원 다문화 영유아수를 1차적으로 파악한 후 어린이집 조사 시 전화 통화를 통해 사전 확인을 거쳤다.

문가 1인, 외부 전문가 1인)를 거쳐 수정 후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Guyton & Wesche(2005), Munroe & Pearson(2006)등의 연구를 참고하여 인 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에서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태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개

-<표 Ⅰ-3-6> 조사 참여 응답자 특성(원장)

마. 전문가 자문회의 및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연구의 정책 기여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보육사업기획과와의 협의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을 조정하였다. 또한 한국보육진흥원에서 다문화 보육 담당 실 무진과의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다문화 보육과정 및 보육교직원 다문화 인식개선 교육 현황 및 운영 상 애로사항을 파악하였다. 한편, 원내 멘토링과 외부 전문가에 게 자문을 받아 설문조사 문항의 구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실태조사 이후 다문화 연구자 1인, 유관기관 전문가 5인에게 2회에 걸쳐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여 어린이집 다문화 보육 개선 방안에 대한 전문가의 의 견을 취합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