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육교직원 대상 다문화 교육

가. 보육교직원의 다문화 관련 교육 경험

보육교직원에게 다문화 관련 교육 및 연수를 받은 적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 원 장은 45.7%, 보육교사는 39.1%가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하여 다문화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전혀 없는 보육교직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분석 결과 에서는 다문화 영유아 규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원 중인 다문화 영유아가 많은 어린이집일수록 원장의 다문화 교육 경험 비율이 높았다. 보 육교사도 동일한 경향성이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시설유형 별 비교 결과도 다문화 교육 경험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 으나,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의 다문화 교육 경험 비율이 56.4%로 다른 유형에 비 해 10% 이상 높게 나타났다.

구분 원장 보육교사

1순위 2순위 1+2순위 1순위 2순위 1+2순위

교사의 특정 문화에 대한 편견 및

거부감으로 인해서 0.7 0.7 1.4 0.0 1.2 1.2

비다문화 부모의 특정 문화에 대한 편견 및

거부감으로 인해서 1.8 3.9 5.7 2.0 3.2 5.1

다문화 영유아가 어린이집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서 0.7 6.4 7.1 2.8 14.6 17.4

기타 4.6 7.1 11.8 3.6 5.1 8.7

<표 Ⅳ-4-1> 보육교직원 대상 다문화 교육 경험 유무 가정 44.4 55.6 100.0(280) 47.1 52.9 100.0(253) 기타 38.7 61.3 100.0(280) 39.0 61.0 100.0(253)

x2 7.509 0.499

지역 유형

대도시 41.7 58.3 100.0(280) 44.3 55.7 100.0(253) 중소도시 47.0 53.0 100.0(280) 33.3 66.7 100.0(253) 농어촌 47.9 52.1 100.0(280) 39.8 60.2 100.0(253)

x2 0.809 2.047

다문화 영유아 규모

1~4명 38.2 61.8 100.0(280) 33.3 66.7 100.0(253) 5~9명 43.4 56.6 100.0(280) 40.5 59.5 100.0(253)

주: 1 ) 원장 1 28명, 보육교사 99명 응답 결과임.

F 0.133 1.168 0.920 0.621 1.190

지역 유형

대도시 3.8 3.8 3.4 3.6 3.4

중소도시 4.0 3.7 3.4 3.6 3.6

농어촌 3.7 3.6 3.3 3.4 3.5

F 1.073 0.788 0.317 0.601 0.322

다문화영유아 규모

1~4명 3.9 3.7 3.4 3.5 3.3

5~9명 3.9 3.5 3.4 3.6 3.6

10명 이상 3.8 3.8 3.4 3.4 3.5

F 0.403 1.125 0.118 0.742 0.808

<표 Ⅳ-4-6> 보육교직원 대상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법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응답이 21.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다 문화 영유아의 언어평가 및 언어지원 방법이 19%를 차지하였다. 보육교사 응답의 1, 2순위 합산 결과를 보면, 역시 다문화 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문화 영유아의 언어평가 및 언어지원 방법, 다문화 영유아 의 어린이집 생활적응 지도, 다문화 보육 관련 프로그램 및 활동자료 개발, 보육교 직원의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및 수용도 제고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육교사는 원장에 비해 실제로 부모 및 영유아와 대면하면서 실무적으 로 필요한 내용을 다문화 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주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원장 응답에서는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 꼽힌 보육교직원의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및 수용도 제고는 보육교사 응답에서 5번째에 그쳤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가 다문화 보육을 실시하는 데에 실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컨텐츠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표 Ⅳ-4-8> 보육교직원 대상 다문화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중점 내용

단위: %(명)

구분 원장 보육교사

1순위 2순위 1+2순위 1순위 2순위 1+2순위

100.0(280) 100.0(280) 200.0(560) 100.0(253 100.0(253) 200.0(506) 보육교직원의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및 수용도 제고 29.6 5.7 35.4 16.2 7.1 23.3 다문화 보육 관련 프로그램

및 활동자료 개발 17.9 15.4 33.2 17.4 13.0 30.4

다문화 영유아의 어린이집

생활 적응 지도 13.2 15.4 28.6 19.0 13.0 32.0 다문화 영유아의 언어평가

및 언어지원 방법 15.0 13.2 28.2 18.2 19.0 37.2

다문화 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법 15.4 18.6 33.9 21.3 21.7 43.1

다문화가족 부모 상담 및 갈등

상황 해결 가이드라인 5.0 13.6 18.6 3.2 12.6 15.8

다문화 보육 관련 정책에 대한

이해 0.4 2.5 2.9 2.4 4.3 6.7

다문화 보육 관련 자료 및

서비스 연계에 대한 정보 제공 3.2 15.4 18.6 2.4 8.7 11.1

기타 0.4 0.4 0.7 0.0 0.4 0.4

보육교직원의 다문화 인식 및 정책욕구

01 보육교직원의 다문화 인식 분석 02 보육교직원의 다문화 보육 관련 정책 욕구 03 군집분석을 통한 어린이집별 특성 및 정책욕구 분석

1. 보육교직원의 다문화 인식 분석

가.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7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에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 결과, 다문화 영유아의 일상생활 지도 측면의 효 능감이 수업 지도 측면의 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다문화・비다문화 영유 아가 놀이를 함께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항목에서 4.4점으로 효능감이 가장 높 았다. 반면, 영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 실시에 대한 효능감 은 3.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형별 차이를 살펴보면, 다문화 영유아 규모가 5~9명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일상생활 지도에서 다문화・비다문화 영유아가 함께 놀이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과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 해결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다문화 영유아가 10명 이상인 어린이집의 경우는 갈등 해결에서 가장 낮은 효능감을 보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수업지도 측면에서도 다문화 영유아가 10명 이상인 어린이집의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상대적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즉, 다문화 영유 아가 5~9명 정도일 경우에는, 보육교사가 또래관계를 포함한 일상생활 지도에서 어느 정도 노하우를 터득하여 지도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보이나, 10명 이상 일 경우에는 보육교사가 원아 간의 갈등 상황 해결에도 어려움을 겪고 수업 지도 시에도 효능감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Ⅴ-1-1>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

F 1.689 0.237 0.412 1.289 0.573 0.089 0.523

지역유형

대도시 4.1 4.3 4.1 3.9 3.8 3.7 3.9

중소도시 4.2 4.4 4.2 4.0 3.8 3.7 4.0

농어촌 4.3 4.5 4.3 4.0 3.7 3.6 4.1

F 1.358 2.440 1.604 0.717 0.414 0.829 0.571 다문화

F 0.277 0.895 1.088 1.282 2.235 2.567 0.634

총 경력

F 1.986 1.989 1.979 0.949 2.410 2.382 1.230

다문화

F 0.771 0.856 0.379 0.362 0.194 1.216 1.020 주: ① 영유아들이 다양성을 수용하고 반차별, 반편견적 태도를 가지도록 교육할 수 있다

② 다문화・비다문화 영유아가 놀이를 함께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④ 보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차별적, 편견적 내용을 식별해낼 수 있다 ⑤ 다문화 교육에 적합한 교재교구 및 수업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⑥ 영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⑦ 다문화 영유아가 긍정적인 다문화 정체감을 가지도록 지도할 수 있다 자료: 본 연구의 ‘다문화 영유아 재원 어린이집 보육 실태 조사’ 결과임.

* p < .05, ** p < .01 .

<표 Ⅴ-1-2>에서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참고하여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 능감과 관련 변인 간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여러 영역에서 다문화 영유아의 기관 적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부모의 특성 및 태도가 다문화 영유아의 적응 정도와 교사와의 관계에 영 향을 미친다(김경숙 외, 2007; 오재연 외, 2010; 권미경 외, 2017). 또한 다수의 연구에서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인식 등이 다문화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김혜진 외, 2014; 서재복, 임명희, 2020). 따라서 다문화 영유 아의 어린이집 생활 적응, 교사와의 관계 형성, 어린이집 내에서의 또래 관계, 교사 와 부모 간 의사소통 정도, 부모의 참여도, 부모의 어려움 정도, 문화 다양성에 대 해 담임교사가 응답한 문항과 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 다. 또한 앞선 분석에 기준 변수로 사용하였던 연령, 총 경력, 다문화 보육 경력, 다문화 영유아 수, 지역유형을 추가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다문화 영유아의 어린이집 생활 관련 변인들 간에 매우 높 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r >.7). 또한 부모의 어린이집 이용 시 교사 와 부모 간의 의사소통, 부모의 참여도와 다문화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 >.4). 특히,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다고 판단할 경 우 부모의 참여도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741).

분석표를 살펴보면, 연령, 총 경력, 다문화 보육 경력, 다문화 영유아 수, 지역유 형은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의 문화다양성 인식과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상관관계 계수가 0.453으 로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결과로 교사의 문화다양성 인식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 효능감도 높음 을 추론할 수 있다.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상관관계 정도는 상당히 낮았다(r=.135). 한편, 다문화 영유아의

어린이집 생활과 관련된 변인은 모두 다문화 교수 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역시 상관관계 정도가 낮았고, 세 변인 중에서는 다문화 영유아의 또래관계 적응 정도와 다문화 교수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r=.224)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앞서 다문화 교수 효능감 척도 중 ‘다 문화・비다문화 영유아가 놀이를 함께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와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수 효능감과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부모의 참여도 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교수 효능감이 높은 보육교 사가 다문화 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더 원활하다고 느끼며, 효능감은 부모의 참 여도와도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이집 이용 시 부모의 어려움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표-1-2>(N=253) 12345678910111213 1.1 2..500**1 3. 다문화 보육 경력.252**.519**1 4. 다문화 영유아 .110.159*.318**1 5. 지역유형.200**.176**.273**.138*1 5. 다문화 교육 경험.115.193**.177**.102.0101 6. 다문화 영유아의 어린이집 생활 적응-.151*-.193**-.158*-.106-.063-.0101 7. 다문화 영유아와 교사와의 관계 형성-.139*-.217**-.151*-.097-.052.006.763**1 8. 다문화 영유아의 또래관계-.134*-.176**-.124*-.060-.034-.023.739**.818**1 9. 교사와 부모 의사소통-.101-.148*-.137*-.178**-.040.056.483**.467**.409**1 10. 부모의 참여도-.106-.105-.145*-.125*-.032.061.417**.447**.422**.741**1 11. 부모의 어려움 정도.057-.006-.119.026-.161*-.001.162**.107.105.312**.317**1 12. 교사의 문화다양성 인식-.165**-.010.027-.098-.017.038.253**.207**.182**.209**.216**.140*1 13. 다문화 교수 효능감-.033.003.067-.036.046.135*.185**.180**.224**.277**.293**.090.453** 주: 지역유형(농어촌=1, 중소도시・대도시=0) 자료: 연구‘다문화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 실태 조사’ 결과임. * p < .05, **p < .01, *** p < .001.

나. 보육교직원의 문화다양성 인식

<표 Ⅴ-1-4> 보육교직원별 문화다양성 인식

단위: 점

구분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 전체

원장 4.0 4.0 3.9 4.0

보육교사 3.9 3.9 3.7 3.8

자료: 본 연구의 ‘다문화 영유아 재원 어린이집 보육 실태 조사’ 결과임.

앞서 제시한 <표 Ⅴ-1-2>에서 보육교사의 문화다양성 인식과 다른 변수 간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보육교사가 판단하는 다문화 영유아의 어린이집 생활 전반

앞서 제시한 <표 Ⅴ-1-2>에서 보육교사의 문화다양성 인식과 다른 변수 간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보육교사가 판단하는 다문화 영유아의 어린이집 생활 전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