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존의 연구들과 이미 제시된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두 가지 차원에 서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주효과(main effect) 가설과 매개효과(mediating effect)가설이다.먼저 주효과 가설은 고용불안 인식이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이며 매개효과 가설은 고용불안이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고용불안이 직무 소진을 매개하여 반 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이다.

고용불안은 자신의 직무가 상실되어 해고될 수 있다는 지각과 관련이 있으며(De Witte,1999),개인이 직업과 관련하여 자신의 직무가 지속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사로 주관적 경험이나 지각,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직무 의 지속성에 대한 염려로 정의된다(Van Vuuren,1990).고용불안을 실증한 연구자들은(Greenhalgh & Sutton,1991;Davy etal.,1997;Sverke etal., 2002)고용불안이 직무만족,조직몰입,직무성과,작업노력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 스트레스,이직의도의 증가,변화에 대한 저항 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고 있다.

고용불안은 조직변화,새로운 기술 및 물리적 위협 등 종업원에게 위협적 인 특성들이 종업원들에게 전달되면서 주관적 평가를 거쳐 위협이 되는 개인 의 심리상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Greenhouse& Rosenblatt,1984).불안정 한 심리상태 하에서 구성원들은 조직의 중요한 규범을 의도적으로 위반하는 행위로 구성원의 행복을 위협하는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와 기존 이론적 배경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고용불안은 조직구성원들의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높일 것이다.

직무스트레스는 과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들을 경험하면서 느 끼는 심리적 갈등이다(Robert,1984).종업원들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

가 높아지면 의기소침,우울,피곤함 등의 육체적․심리적 증상을 겪게 되는 데 이는 직무불만족,생산성의 저하,회피행동과 업무사고 유발 등 부정적인 행동을 불러 일으킨다(Schnake,1990;Hellriegel& Slocum,1992;Ivancevich

& Matterson,1993).고용불안은 개인의 감정과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됨을 알 수 있다(Greenhalgh& Roseblatt,1984).

직무스트레스의 대응 전략으로 구성원들은 결근,파업,지각 등 철회 행 동을 보이게 되며(정수진 외,1997),이러한 철회 행동에 따른 기업의 비용부 담은 스트레스 직접 원가로 반영되어 기업의 부담을 증가시킴과 동시에(김종 재,1989)조직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심화시키고 조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 는 비정상적 행동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고 용불안이 조직구성원들의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스 트레스를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2.고용불안이 조직구성원들의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 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가 이를 매개할 것이다.

직무소진은 스트레스의 복수 개념이지만(Cordes& Dougherry,1993)스 트레스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스트레스를 경험한 구성원들은 적응 단계를 거쳐 일상적인 상태로 돌아올 수 있는 것과 달리 일단 소진된 종업원 들은 소진 이전의 정상 상태로 복귀가 불가능 하다(Schaufeli& Enzmann, 1998).고용불안은 심리적 불안과 초조감을 높이고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치며(남기섭․유병주,2007),직무소진에도 유의한 영향력을 미친다(천덕 화․이현주,2012).

직무소진을 경험한 구성원들은 이직율 및 결근율의 증가,낮은 직무 열의 등 부정적 업무태도 형성과 생산성 저하 등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 치게 된다(Brotheridge& Grandey,2002;Cordes& Dougherty,1993;Lee&

로 부(-)의 영향력을 미치며 매개변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Ladebo &

Awotunde,2007;박경환,2009).따라서 이와 같은 논의들과 이론적 배경에서 의 논의들을 토대로 보면 결국 조직구성원들이 고용불안을 느껴 반생산적 과 업활동으로 이어질 때 직무소진이 이를 매개할 것으로 예상된다.따라서 다 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고용불안이 조직구성원들의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 에 있어서 직무소진이 이를 매개할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