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건강증진 행위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Walker, Sechrist, & Pender, 1987)를 수정 보완한 HPLP-II(Walker, 1995)를 저자로부터 직접 사용허락을 받았으며, 황선희 (2012)가 대장암 환자에 맞게 보완한 도구를 토대로, 폐암 환자 7명에게 사전조 사 실시 후 국내 폐암환자 실정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HPLP-II는 건강책임(9문항), 운동(8문항), 영양(9문항), 영적성장(9문항), 대인관 계 지지(9문항), 스트레스 관리(8문항)의 6개 영역, 총 5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본 연구에서는 번안, 수정하여 총 40문항의 도구로 측정하였다. 각 문항은 ‘전 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항상 그렇다’(4점)의 4점 척도로 측정하여 합산하고,

최하 40점에서 최고 160점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으며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건강 증진행위의 수행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2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1이다.

2) 인지된 유익성

문정순(1990)이 개발한 인지된 유익성 측정 도구를 토대로 조미자(2007)가 폐 결핵 환자의 인지된 유익성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총 10문항의 5점 척도로 측정되며, 최하 10점에서 최고 50점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 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5점 척도로 측정 하여 합산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인지된 이익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71이었고, 조미자(2007)의 연 구에서 Cronbach’s α=.88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2이다.

3) 인지된 장애성

문정순(1990)의 인지된 장애성 도구를 토대로 조미자(2007)가 폐결핵 환자의 인지된 장애성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5점 척도로 측정되며, 최하 10점에서 최고 50점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5점 척도로 측 정하여 합산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인지된 장애성이 높음 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83 이었고, 조미자(2007)의 연구에서 Cronbach’s α=.78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75이다.

4) 자기 효능감

Sherer와 Maddux(1982)가 개발한 일반적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도구를 조 미자(2007)가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총 17문항으로, Likert식 5점 척도로 ‘매우 그렇다’ 5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측정되며, 최하 17점에서 최고 85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일반적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α=.71이었고, 조미자(2007)의 연구 에서는 Cronbach’s α=.71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85이다.

5) 사회적 지지

초기 폐암환자의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하고 Shin과 Lee (1999) 가 번안한 MSPSS(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SPSS척도는 총 12문항으로 가족지지, 친구지지, 특별지 지의 세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지지는 의미 있는 타인에 의한 지지를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의료인 지지를 의미한다. 7점 Likert scale로 구성되 어 있으나 Shin과 Lee (1999)의 연구에서 활용된 것처럼‘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 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5점 Likert scale로 측정하였다. 최하 12점에서 최고 60 점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것을 의 미한다. 도구의 개발당시 신뢰도 Cronbach’s α= .83이었고, 하부영역에서 가족지 지 .85, 친구지지 .75, 특별지지 .72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86이다.

6) 지각된 건강상태

Speake, Cowart & Pellet(198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2문항으로 구성된 5점 Likert scale로 점수범위는 최저 2점에서 최고 10점이

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85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79이다.

7) 디스트레스

환자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디스트레스의 심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미국종합 암네트워크(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2013)에서 권고하 는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인 디스트레스 온도계(Distress thermometer)를 사용하 여 측정하였다. 지난 일주일간 환자가 경험한 정신적 스트레스 정도를 0점에서 10점까지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로 측정하는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디스트레스 가 높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국립암센터(National Cancer Center)의 디스트레스 관리 권고안에 따르면 모든 암환자에 대해서 디스트레스 선별이 필요하고, 선별 도구는 짧고 간단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으로 권고되어(국립암센터, 2008), 디스트 레스 온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8) 일상생활 수행정도

본 연구에서 일상생활 수행정도는 미국 동부지역 종양내과의사그룹에서 암환 자의 움직임과 활동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ECOG) Performance status도구를 이용하였다. 이 도구는 질병 이전의 상 태로 제한 없이 활동할 수 있는 상태를 0점으로 하고 사망상태를 5점으로 하여 일상생활 수행정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Grade 0은 정상 활동이 가능한 상태, Grade 1은 약간 증상이 있으나 거의 완전히 거동이 가능한 상태, Grade 2는 낮 시간동안 50%미만 누워 지내는 상태로 자신은 돌볼 수 있고 직장생활은 불가능 한 상태, Grade 3은 낮 시간동안 50% 이상 누워 지내는 상태로 최소한의 자신은

돌볼 수 있는 상태, Grade 4는 완전히 누워 지내는 상태로 전혀 자신을 돌볼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점수가 낮을수록 일상생활 수행정도가 좋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에서, 폐암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ECOG performace status가 적절한 것으로 보고되어 본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uccheri, Ferrigno, & Tamburini, 1996; Mendoza et al., 201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