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가설의 검증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증진행위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 디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γ=-.079)와 간접효과(γ=-.022)를 나타냈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가설 2: 인지된 유익성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β=.128)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가설 3: 인지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β=-.406)와 간접효과(β=-.026)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4: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β=.095)는 없었으나 간접효과(β=.146)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5: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β=.255)와 간접효과(β=.074)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6: 흡연기간이 짧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γ=-.185)와 간접효과(γ=-.010)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여 지지되었다.

2) 인지된 유익성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7: 일상생활 수행정도가 높을수록 인지된 유익성이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γ=-.210)와 간접효과(γ=.056)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8: 지각된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인지된 유익성이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간접효과(γ=.021)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가설 9: 흡연기간이 낮을수록 인지된 유익성이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γ=-.080)와 간접효과(γ=.022)를 나타냈으나,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3) 인지된 장애성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9: 일상생활 수행정도가 높을수록 인지된 장애성이 낮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γ=.172)는 없었으나 간접효과(γ=.073)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10: 지각된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인지된 장애성이 낮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γ=-.105)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가설 11: 인지된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인지된 장애성이 낮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β=-.27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4) 자기효능감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2: 흡연기간이 낮을수록 자기 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가설적 모형에서 경로제거로 수정모형 가설검증에서 제외 되었다.

가설 13: 디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기 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가설적 모형에서 경로제거로 수정모형 가설검증에서 제외 되었다.

가설 14: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β=.2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5) 사회적 지지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5: 일상생활 수행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직접효과(γ=-.28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가설 16: 지각된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가설적 모형에서 경로제거로 수정모형 가설검증에서 제외 되었다.

가설 17: 디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 것이다.

이 가설은 가설적 모형에서 경로제거로 수정모형 가설검증에서 제외 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