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결혼기간이 5년 이상, 자녀가 1명 이상인 제주시내 거주하는 부부 22쌍이다.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월 초까지 제주 ME 주말을 신청한 부부 중 11쌍을 상담집단으로 구성하고, 동일지역 에서 주말을 신청하지 않은 11쌍의 부부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ME 프로그램을 실시한 상담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을 비교하여 실험처치 결과를 평가하는 사전-사후 상 담․비교집단 설계이다. 이 설계를 도식으로 나타내면 [그림 Ⅲ-1]과 같다.

1 , ○3 : 사전검사

2 , ○4 : 사후검사 × : ME 프로그램

[그림 Ⅲ-1] 연구설계

상담집단 ○1 × ○2

비교집단 ○34

3. 연구절차

1) 연구의 진행절차

이 연구의 과정은 상담․비교집단의 구성, 사전검사, ME 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통계처리 및 자료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상담집단에게는 ME 프로그램을 실시․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상담기간 중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ME 프로그램 중 2박 3일간 (2006년 1월 20일부터 1월 22일까지)의 주말 프로그램에는 연구자 부 부가 임원 봉사부부로 참가하고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주말을 수강 한 부부를 대상으로 주말 후 프로그램인 다리과정을 직접 실시하였다.

주말 후 프로그램은 6주간(2006년 1월 27부터 3월 3일까지) 6회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매주 1회를 실시하였다. 한 회기당 소요시간은 평 균 120분으로 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실시를 마친 후, 사전검사에 사용 했던 동일한 검사도구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게 사후검사를 실 시하였다.

4. 측정도구

1) 문제해결행동측정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측정은 노치영(1996)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부부갈등 해결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동들에 대한 31개 의 문항을 제시하고 있으며,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상대방의 감정이나 입장을 존중하면서, 갈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하는 긍정적 방법, 갈등에 대한 자신의 입장 이나 책임을 회피하는 방법, 갈등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부정적 방법 이 그 하위요인이다.

응답범주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항상 그랬다’(5점)의 5점 Likert 척도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대처방안을 많이 사용함을 의미 한다. 각 하위척도별 신뢰도 계수는 긍정적 행동 .68, 회피적 행동 .65, 부정적 행동 .86이다.

<표 Ⅲ-1> 문제해결행동측정 신뢰도 계수

하위척도 문항번호 신뢰도계수

긍정적 행동 1, 4, 7, 11, 16, 21, 24, 26 .68 회피적 행동 2, 5, 8, 13, 29, 31 .65

부정적 행동 3, 6, 9, 10, 12, 14, 15, 17, 18,

19, 20, 22, 23, 27, 28, 30 .86

2) 부부문제해결효율성

문제해결효율성에 대한 측정은 ME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문제해 결행동들이 부부들의 문제해결과 관계유지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3문항으로 구성된 노치영(1996)의 측정도구를 사용하 였다.

부부관계차원에서의 효율성에 대한 응답범주는 ‘매우 나빠졌다(1) ∼ 매우 좋아졌다(5)’의 5점 Likert 측정도구로,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 행동이 부부관계를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문제해결차원에서의 효율성에 대한 응답범주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 았다(1)∼매우 많이 도움이 되었다(5)’의 5점 Likert 측정도구로,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행동이 부부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의미한 다. 신뢰도 계수는 .87이다.

3) 결혼만족도

결혼만족도 척도는 이인수․유영주(1986)의 연구에서 타당도가 높음 이 검증된 Roach, Fraizer 와 Bowden(1981)의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oach 등(1981)의 MSS의 척 도 중에서 최규련(1987)과 서광희(1992)에 의해 타당성과 신뢰도가 높 은 것으로 판명된 12문항을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응답 행동은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전혀 그렇지 않다(5점)’에 서 ‘매우 그렇다(1점)’ 까지 5가지이며, 긍정적인 문항(1번, 2번, 5번, 6 번, 7번, 12번)은 역점수화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다 는 것을 나타낸다. 신뢰도 계수는 .94이다.

5. 자료처리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dows 12.0k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에 의 해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문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1) ME 프로그 램을 받은 상담집단에 대해 문제해결행동과 문제해결효율성 및 결혼만 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t검증을 실시하고 2) ME 프로그램을 받은 상담 집단과 ME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에 대한 문제해결행동과 문 제해결효율성 및 결혼만족도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고 3) ME 프로그 램을 받은 상담집단에서 성별에 따른 문제해결행동과 문제해결효율성 및 결혼만족도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4) ME 프로그램을 받은 상 담집단에서 문제해결행동과 문제해결효율성 및 결혼만족도에 대한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IV. 연구결과 및 해석

이 장에서는 ME 프로그램이 부부의 문제해결행동과 문제해결효율성 및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투입 전 후의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사후검사의 차이를 t검증에 의해 비교․

검증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1.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1>과 같다.

<표 Ⅳ-1>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사전검사 비교 구분

하위척도

상담집단(n=22) 비교집단(n=22)

t

M SD M SD

긍정적 행동 19.23 3.72 19.41 5.42 -0.13 회피적 행동 14.36 2.90 15.50 4.36 -1.02 부정적 행동 33.46 7.87 29.14 8.88 1.71

위의 <표 Ⅳ-1>의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사전검사 비교와 같이, 상담 집단과 비교집단의 문제해결행동의 하위요인(긍정적 행동, 회피적 행동, 부정적 행동)의 사전검사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따라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적이라 할 수 있다.

문제해결효율성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알아보 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Ⅳ-2>

와 같다.

<표 Ⅳ-2> 문제해결효율성에 대한 사전검사 비교 구분

하위척도

상담집단(n=22) 비교집단(n=22)

t

M SD M SD

문제해결효율성 10.46 2.44 10.59 1.62 -0.22

위의 <표 Ⅳ-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제해결효율성에 대한 사전검 사에서 상담집단(M=10.46)과 비교집단(M=10.5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적이라 할 수 있다.

결혼만족도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알아보기 위하 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Ⅳ-3>과 같다.

<표 Ⅳ-3> 결혼만족도에 대한 사전검사 비교 구분

하위척도

상담집단(n=22) 비교집단(n=22)

t

M SD M SD

결혼만족도 44.55 7.42 43.27 10.92 0.45

위의 <표 Ⅳ-3>과 같이, 결혼만족도에 대한 사전검사에서 상담집단 (M=44.55)과 비교집단(M=43.27)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따라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적이라 할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