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가설 1의 차이검증

가설 1. ME 프로그램을 받은 상담집단은 사전-사후검사에서 부 부들의 문제해결행동, 문제해결효율성, 결혼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1-1 : 문제해결행동(긍정적 행동, 회피적 행동, 부정적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ME 프로그램을 받은 상담집단의 문제해결행동 사후검사가 프로그램을 투입 받기 전의 문제해결행동 사전검사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t검증한 결과는 <표 Ⅳ-4>, [그림 Ⅳ-1]과 같다.

<표 Ⅳ-4>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상담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구분

하위척도

사전검사(n=22) 사후검사(n=22)

t

M SD M SD

긍정적 행동 19.23 3.72 22.23 4.92 -2.40* 회피적 행동 14.37 2.90 13.50 3.45 1.26 부정적 행동 33.45 7.87 29.64 9.84 2.15*

*p<.05

[그림 Ⅳ-1]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상담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2) 문제해결효율성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1-2 : 문제해결효율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ME 프로그램을 받은 상담집단의 문제해결효율성 사후검사가 프로그램 을 투입 받기 전의 문제해결효율성 사전검사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t검증한 결과는 <표 Ⅳ-5>와 같다.

<표 Ⅳ-5> 문제해결효율성에 대한 상담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구분 M SD t

사전검사(n=22) 10.46 2.44

-5.33***

사후검사(n=22)

13.27

1.24

***p<.001

위의 <표 Ⅳ-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제해결효율성에 따른 분석 결 과를 보면, ME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상담집단의 사전검사(M=10.46) 에 비하여 사후검사(M=13.82)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t=-5.33, p<.001).

이러한 결과는 ME 프로그램 중 ‘듣기는 대화의 열쇠’에 참가한 상담집 단이 공감적 경청과 입장 바꾸기 등을 체험해 봄으로써 자신의 듣기 태 도에 대한 반성과 함께 자신의 감정을 느낌과 생각으로 구분하여 표현하 는 느낌대화를 통하여 서로의 마음에 공감하고 협조를 유도함으로써 각 자가 가치있는 존재로 여겨져 ‘당신도 옳고 나도 옳다’는 마음의 여유가 서로의 관계를 유지시키거나 혹은 향상시켜 준 결과라고 해석된다.

(3) 결혼만족도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1-3 : 결혼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ME 프로그램을 투입 받은 상담집단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점수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Ⅳ-6>과 같다.

<표 Ⅳ-6> 결혼만족도에 대한 상담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구분 M SD t

사전검사(n=22) 44.55 7.42

-3.89***

사후검사(n=22) 49.36 7.14

***p<.001

위의 <표 Ⅳ-6>에서 나타난 상담집단의 결혼만족도에 따른 사전-사 후검사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M= 44.55)에 비하여 사후검사 (M=49.36)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89, p<.001).

이와 같은 결과는 결혼생활을 만족하는 부부들이 결혼생활에 대해 불 만족하는 부부들보다 더 많은 시간을 배우자와 함께 하고, 자신을 개방 하며(박태영, 2005), 남성은 여성으로부터 애정표현을 충분히 받으면 만 족하는 경향이 높고 여성은 정서적 교류가 있을 때 만족의 수준이 높다 (노익상, 2002)는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부부가 함께 참여하는 ME 프로 그램을 통하여 결혼할 때 가졌던 희망과 꿈을 되돌아보고 느낌대화를 통 한 친밀한 의사소통과 함께 배우자와의 일치감을 느낌으로써 결혼에 대 한 만족감이 향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가설 2의 차이 검증

가설 2. ME 프로그램을 받은 상담집단은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비 교집단보다 부부들의 문제해결행동, 문제해결효율성, 결혼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차이검증

가설 2-1 : 문제해결행동(긍정적 행동, 회피적 행동, 부정적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ME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사전-사후 점 수 차이를 t검증한 결과는 <표 Ⅳ-7>, [그림 Ⅳ-2]와 같다.

<표 Ⅳ-7>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 사 비교

구분 상담집단(n=22) 비교집단(n=22)

M SD M SD t

긍정적 행동

사전 19.23 3.72 19.41 5.42

2.41* 사후 22.23 4.92 19.09 3.61

회피적 행동

사전 14.37 2.90 15.50 4.37

-1.12 사후 13.50 3.45 14.77 4.06

부정적 행동

사전 33.45 7.87 29.14 8.88

-0.12 사후 29.64 9.84 29.96 7.94

*p<.05

위의 <표 Ⅳ-7>과 [그림 Ⅳ-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제해결행동에

(2) 문제해결효율성에 대한 차이 검증

(M=13.27)이 비교집단(M=10.50)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T=6.29, p<.001).

이러한 결과는 ME 프로그램을 받은 상담집단의 남편들이 가부장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평등하고 동등한 입장에서 아내를 인정하고 친밀한 관 계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부부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 상황에서도 두 사람 중 어느 한편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가면서 두 사람이 주고 받는 반응을 긍정적으로 변화시 키고자 노력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남편과 아내가 상호 긍정적 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상호 부정적으로 해결할 때보다 부부의 문제해결 효율성이 높았다는 노치영(1996)의 선행연구를 뒷받침해준다.

(3) 결혼만족도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3 : 결혼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검 증한 결과는 <표 Ⅳ-9>, [그림 Ⅳ-4]와 같다.

<표 Ⅳ-9> 결혼만족도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

구분

상담집단(n=22) 비교집단(n=22) t

M SD M SD

결혼만족도

사전 44.55 7.42 43.27 10.92

2.15

* 사후 49.36 7.14 44.32 8.37

*p<.05

[그림 Ⅳ-4] 결혼만족도에 대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비교

4 4 . 5 5

4 9 . 3 6

4 3 . 2 7

4 4 . 3 2

4 0 4 5 5 0 5 5

사 전 사 후

상 담 집 단 비 교 집 단

위의 <표 Ⅳ-9>와 [그림 Ⅳ-4]에서 나타난 결혼만족도에 따른 사후검 사 분석 결과를 보면, 상담집단(M=49.36)이 비교집단(M=44.32)보다 높 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t=2.15, p<.05).

이상의 ME 프로그램에 참가한 부부가 참가하지 않은 일반부부의 결 혼만족도보다 높이 나타난 결과는, ME 프로그램을 수강한 집단이 결혼 만족도가 향상되었다는 임송은 등(1996)의 여러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 다. 이와 같은 결과는 ME 프로그램의 ‘가까워지기 위한 대화’와 ‘대화 중 에 위험을 무릅쓰고 신뢰하기’ 시간 등을 통하여 무언의 대화와 친밀감 을 표현하면서 나누기 어려웠던 부분까지 솔직히 개방하고 배우자를 신 뢰하기로 결심하면서 얻어진 결과라고 해석된다.

3) 가설 3의 검증

가설 3. ME 프로그램을 받은 부부들은 성별에 따라 문제해결행 동, 문제해결효율성, 결혼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 을 것이다.

(1) 문제해결행동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3-1 : 문제해결행동(긍정적 행동, 회피적 행동, 부정적 행동)에서

위의 표<Ⅳ-10>과 [그림 Ⅳ-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담집단의 남 편과 아내의 성별에 따른 문제해결행동에서 긍정적 행동인 경우 남편 이 사전검사(M=20.18)보다 사후검사(M=25.00)가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 적 행동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2.59, p<.05). 아내 의 경우는 사전검사(M=18.27)보다 사후검사(M=19.46)가 약간 높게 나 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없었다.

회피적 행동에서 남편은 사전검사(M=14.09)보다 사후검사(M=13.46) 가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또한 아 내의 경우도 사전검사(M=14.64)보다 사후점수(M=13.55)가 낮게 나타났 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즉, 회피적 행동에 대한 남 편과 아내의 사후 평균 점수는 모두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정적 행동에서는 남편이 사전검사(M=30.73)에 비하여 사후검사 (M=25.91)가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2.93, p<.05)를 보였으나, 아내의 경우는 사전검사(M=36.18)보다 사후검사(M=33.36)가 다소 낮게 나타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즉, 남편은 부정적 행동에서 사전-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아내는 사전-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Rusbult 등(1986)이 평소 문제해결행동에서 아내는 남편보다 표현형, 순종형이 많았고, 남편은 부인보다 무시형이 많다고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ME 프로그램을 통하여 남편이 아내보다 문제해결행동 변화에서 부정적 행동은 줄어들고 긍정적인 변 화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문제해결과정에서 남편인 자 신의 입장을 고수하여 아내를 무시하거나, 비난이나 화풀이를 하는 대 신 타협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고 자신의 결점이나 책임을 인정함으 로써 아내와의 관계를 개선해보려는 의지와 노력의 결과라고 해석된다.

(2) 문제해결효율성에 대한 차이 검증

(3) 결혼만족도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3-3 : 결혼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ME 프로그램을 받은 상담집단의 남편과 아내의 사전-사후검사에서 결혼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표 Ⅳ-12>와 같다.

<표 Ⅳ-12> 결혼만족도에 대한 상담집단의 성별에 따른 비교

구분

남편(n=11)

t

아내(n=11)

t

M SD M SD

결혼만족도

사전 47.73 4.27

-3.49**

41.36 8.67

-2.03 사후 53.73 4.80 45.00 6.48

**p<.01

위의 <표 Ⅳ-12>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남편과 아내의 차이를 살펴 보면 남편의 경우 사전검사(M=47.73)에 비하여 사후검사(M=53.73)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3.49, p<.01). 아내의 경 우는 사전검사(M=41.36)보다 사후검사(M=45.00)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처럼 아내에 비하여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은, ME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남편들이 전통적인 고정관념사고에서 벗어나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부부문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 들이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박경자(1981)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평소 가정을 우선으로 심리적 책임감을 느끼던 아내들에 비하여 ME 프로그램을 받은 후의 남편들이 결혼에 대한 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