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측정도구의 기술통계 분석

자료처리의 첫 단계로 본 연구에서 측정한 문항 중 교사-유아간 상호작용, 교사-부모간 상호작용, 직무,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근무환경, 행복 척도에 대한 평균, 분산,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분석하여 응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문항의 분산이 작고 평 균이 척도의 양극 점에 가까운 문항들은 다른 문항들과의 공분산이 매우 낮아 문항들 간 의 공분산에 의해 좌우되는 cronbach's α 에 크게 영향을 미침으로서 자료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첨도와 왜도의 수치가 ±2.0이상인 문항은 선택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엄한주, 1996). 따라서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교사-유아간 상호작용, 교사-부모간 상호 작용, 직무,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근무환경, 행복 척도를 분석하였다.

정서1

표 14. 교사-부모 상호작용의 기술통계 분석

부모상호1 부모상호2 부모상호3 부모상호4 부모상호5 부모상호6 부모상호7

3.69 3.85 2.99 3.64 4.05 3.80 4.23

.799 .803 .899 .840 .707 .769 .814

-.205 -.368 -.114 -.245 -.419 -.307 -1.051

.109 .215 .049 .080 .564 .391 1.519

표 14와 같이 교사-부모간 상호작용의 문항에서도 첨도, 왜도 수치가 기준치 이하로 나 타나 수집된 자료의 분포는 정상적으로 나타났다.

표 15. 직무만족도 측정의 기술통계 분석

표 16. 행복 측정의 기술통계 분석

표 16은 본 연구의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유아교사들의 행복척도로서 하위요인들인 자아 수용, 자율성,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통제, 개인성장, 삶의 목적의 모든 문항에서 첨도, 왜도 수치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나 수집된 자료의 분포는 정상적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문항 분석

척도순화작업에서 문항분석의 목적은 본 연구에서 측정하는 각 변인들의 개념과 하위 구성요인을 측정하는 각각의 문항에 대한 동질성을 조사하고 그들 문항들의 내적일관도를 산출하는 단계로 각 요인에 속해 있는 문항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항들 간의 상 관관계 값이 .30-.60 수준이 넘는 문항들을 삭제 고려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검사지의 요인 에 대한 신뢰계수를 제시할 때 그 요인에 속하는 문항들 간의 상관관계 값이 .70이상이면 다중공선성이 높아 정보의 중복성이 있으므로 삭제가 요구된다(엄한주, 1996). 또한 문항분 석에서 확인되는 ① 문항 삭제시 신뢰도, ② 다중상관의 제곱, ③ 선택된 문항과 전체와의 상관관계 순으로 문항 선별을 위해 참조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교사-유아간 상호 작용, 교사-부모간 상호작용, 직무만족도, 행복 척도를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아래와 같 이 제시하였다.

(1) 교사-유아 상호작용 문항분석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하위 구성요인들 중 정서적 상호작용 측정 10문 항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표 17과 같이 .384~.637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 심각하게 위배되는 문항(>.70)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언어 적 상호작용 측정 10문항들 간의 상관관계를 표 18과 같이 분석한 결과 문항들의 상관계 수는 .269~.574로 문항 간 동질성이 결여되는 문항들이 일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항들은 추후 문항정제과정에서 참고하도록 하였다.

교사와 유아간 상호작용 측정 중 마지막으로 행동적 상호작용 측정 10문항들은 표 19와 같이 문항들의 상관계수가 .187~.626로 문항 간 동질성이 결여되는 문항들이 일부 발견되 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항들은 추후 문항정제과정에서 참고하도록 하였다.

표 17. 정서적 상호작용의 문항분석

(2) 교사-부모 상호작용 문항분석

(3) 직무만족도 문항분석

직무만족도 중 근무환경을 측정하는 10문항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표 23과 같

(4) 행복척도 문항분석

유아교사들의 행복을 측정하는 긍정적 대인관계 7문항들은 상관관계 분석 결과, 표 26과

유아교사들의 행복을 측정 문항의 하위 요인 중 개인성장 9문항들에 대하여 상관관계

1) 교사- 유아 상호작용

기술통계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확인된 ‘교사- 유아 상호작용’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 (goodness of fit)을 검증하기 위하여 3가지 요인 30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782.0(df=402), SRMR=.06, RMSEA=.11, TLI=.76, CFI=.77로 나타 나 측정모델 적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석과정에서 측정모형 에 대한 각 문항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SMC(squared multiple correlation)지수와 표준화 잔차(standardized residuals) 그리고 수정지수(modification indices)를 참고하여 각 요인들 의 개념을 기초로 단계별 문항을 삭제한 결과 =494.6(df=75) SRMR=.04, RMSEA=.06, TLI=.94, CFI=.96으로 나타나 측정모델 적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요인 구 조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Hu & Bentler(1990)이 제안하고 사용한 .95 이상의 CFI, .05 이하의 SRMR, 그리고 Browne & Cudeck(1992)이 제안한 .08 이하의 RMSEA, .90 이하의 TLI 값들이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적용되었다.

다음으로 각 개념들을 측정하는 다중 척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수렴타당도(convergent validity)를 확인한 결과 표 30과 같이 표준화적재량()들이 유의적으로(t>1.96) 나타나 (Anderson & Gerbing, 1988), 수렴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개념들을 신뢰롭게 측정하였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Fornell & Larcker(1981)의 계산법에 따라 합성신뢰도 (composite reliability)를 산출한 결과 합성신뢰도는 일반적인 채택기준인 0.6(Bagozzi &

Youjae, 1988)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개념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표 30. 교사- 유아 상호작용의 표준적재량 및 합성신뢰도



t

정서적 상호작용

3 .739

-.846

5 .712 25.176

6 .724 25.820

8 .743 26.553

10 .700 24.760

언어적 상호작용 3 .640

-.694

5 .710 22.490

9 .640 20.567

행동적 상호작용

1 .670

-.851

3 .669 21.599

4 .670 21.762

6 .625 20.460

7 .612 20.055

9 .674 21.909

10 .719 23.198

2) 교사-부모 상호작용

기술통계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확인된 ‘교사 -부모 상호작용’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 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 요인 7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 과 =311.242(df=14), SRMR=.05, RMSEA=.13, TLI=.89, CFI=.92로 나타나 측정모델 적합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석과정에서 측정모형에 대한 각 문항 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SMC지수와 표준화 잔차 그리고 수정지수를 참고하여 개념을 기 초로 단계별 2문항을 삭제한 결과 =90.165(df=5) SRMR=.03, RMSEA=.06, TLI=.95, CFI=.97으로 나타나 Bentler & Bonnett(1980), Browne & Cudeck(1992)의 측정모델 적합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단일차원성의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개념들을 측정하는 다중 척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수렴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표 31과 같이 표준화적재량()들이 유의적으로(t>1.96) 나타나(Anderson &

Gerbing, 1988), 수렴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개념들을 신뢰롭게 측정하였는가 를 평가하기 위하여 Fornell & Larcker(1981)의 계산법에 따라 합성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합성신뢰도는 일반적인 채택기준인 0.6(Bagozzi & Youjae, 1988)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 타나 개념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표 31. 교사-부모 상호작용의 표준적재량 및 합성신뢰도



t

교사-부모 상호작용

1 .792

-.887

2 .831 31.358

4 .716 25.514

5 .786 27.865

6 .793 28.162

3) 직무 만족도

기술통계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확인된 ‘직무’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 하여 최초 5가지 요인 36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9090.38(df=584), SRMR=.10, RMSEA=.10, TLI=.47, CFI=.51로 나타나 측정모델 적합기준 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석과정에서 측정모형에 대한 각 문항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SMC지수와 표준화 잔차 그리고 수정지수를 참고하여 각 요인들의 개 념을 기초로 직무, 동료 및 원장과의 관계, 근무환경 요인으로 구성된 적합성 분석 결과

=190.80(df=85) SRMR=.03, RMSEA=.06, TLI=.94, CFI=.96으로 나타나 Bentler &

Bonnett(1980), Browne & Cudeck(1992)의 측정모델 적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으로써 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개념들을 측정하는 다중 척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수렴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표 32와 같이 표준화적재량()들이 유의적으로(t>1.96) 나타나(Anderson &

Gerbing, 1988), 수렴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개념들을 신뢰롭게 측정하였는가 를 평가하기 위하여 Fornell & Larcker(1981)의 계산법에 따라 합성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합성신뢰도는 일반적인 채택기준인 0.6(Bagozzi & Youjae, 1988)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 타나 개념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표 32. 직무만족의 표준적재량 및 합성신뢰도



t

직무

4 .695

-5 .526 14.637 .730

6 .732 19.867

8 .588 15.726

동료관계

2 .651

-.720

3 .777 17.863

4 .643 16.678

근무환경

2 .679

-4 .688 20.194 .796

9 .659 19.249

10 .850 23.582

4) 행복

기술통계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확인된 ‘행복’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 하여 6가지 요인 46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649.19(df=974), SRMR=.10, RMSEA=.09, TLI=.52, CFI=.55로 나타나 측정모델 적합기준 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석과정에서 측정모형에 대한 각 문항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SMC지수와 표준화 잔차 그리고 수정지수를 참고하여 각 요인들의 개 념을 기초로 ‘자율성’과 ‘개인성장’ 요인을 삭제하고 단계별로 문항을 삭제한 결과

=359.70(df=90), SRMR=.03, RMSEA=.05, TLI=.94, CFI=.96으로 나타나 Bentler &

Bonnett(1980), Browne & Cudeck(1992)의 측정모델 적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으로써 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개념들을 측정하는 다중 척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수렴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표 33과 같이 표준화적재량()들이 유의적으로(t>1.96) 나타나(Anderson &

Gerbing, 1988), 수렴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개념들을 신뢰롭게 측정하였는가 를 평가하기 위하여 Fornell & Larcker(1981)의 계산법에 따라 합성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합성신뢰도는 일반적인 채택기준인 0.6(Bagozzi & Youjae, 1988)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 타나 개념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표 33. 유아교사행복의 표준적재량 및 합성신뢰도



t

자아수용

1 .660

-2 .869 22.357 .793

4 .514 14.346

6 .679 22.196

8 .534 16.190

긍정적 대인관계

1 .533

-2 .735 16.839 .784

5 .820 16.806

7 .701 16.604

환경에 대한 통제 5 .648

-.707

6 .699 17.471

8 .665 16.920

삶의 목적

2 .591

-4 .701 16.899 .739

5 .617 15.096

7 .555 14.12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구성된 문항을 요약하여 표 34에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구성된 문항을 요약하여 표 34에 제시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