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계전략

문서에서 발전을 위한 워크샵 (페이지 85-93)

I. 연구 개요

3) 연계전략

(1) 기본방향

◦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부처별 통합관리소의 유통망 연계의 목표시 스템은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한 지리정보 단일 유통망 시스템임

◦ 즉, 현재 지역 거점별로 구축하고 있는 지역별 통합관리소와 같은 형태의

부처별 통합관리소를 구축하여, 각 부처별로 생산‧구축한 지리정보를 국가 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해 유통시키고자 하는 것임

각 부처별로 이미 나름대로의 유통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거나 계획 중에 있 는 곳도 있고, 별도의 유통시스템을 구축하지는 않았지만 오프라인 방법이 나 그 외의 방법으로 지리정보를 유통하고 있는 곳도 있음

◦ 따라서 연계대상의 특성이나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의 연계 방안을 구상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상황에 따라 단기적 측면, 중‧장기적 측면의 단계별 연계를 추진하여 궁극적 목표인 단일 유통망 구축을 실현함

<그림 26> 부처별 통합관리소의 지리정보유통망 연계 구성도

지리정보유통센터 부처별 통합관리소

지역거점별 통합관리소 지리정보공급자

지리정보유통센터 부처별 통합관리소

지역거점별 통합관리소 지리정보공급자

(2) 연계전략

가. 시스템 연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데이터 활용목적

◦ 먼저 연계 데이터의 활용 목적이 단순 조회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갱신 작업이나 테이블간의 결합을 위한 것인지를 판단해야 함

◦ 단순조회를 위한 것이라면 게이트웨이(조회시스템)를 설치하여 활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함

◦ 반면 갱신작업만을 요하는 경우는 데이터베이스 링크 방법과 미들웨어 활 용 방법, 테이블간 결합을 요하는 경우 미들웨어를 활용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함

□ 네트워크 환경

◦ 네트워크 환경이 오프라인이냐, 온라인이냐에 따라 연계방법을 달리 정할 수 있음

◦ 오프라인인 경우에는 데이터 변환 방법만이 적용 가능하며, 온라인으로 연 결된 경우는 데이터 변환 방법을 제외한 모든 방법의 적용이 가능함

◦ 또한 시스템 연계의 특성에 따라 온라인인 경우 인터넷을 사용하는지 국가 전용망을 사용하는지 여부도 고려해야 함

□ 데이터베이스 위치

◦ 연계되는 데이터가 서로 다른 DB서버에 분산되어 있는지, 아니면 하나의 DB서버에 집중되어 있는가를 파악해야 함

◦ 하나의 DB서버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연계하여 활용하는데 비교적 어려움 이 없으나,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특성들과 결합되어 연계하여 공

동 활용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

□ DBMS 종류

DBMS가 동종인 경우 DBMS 벤더가 제공하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다양한 툴과 모듈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기종 DBMS인 경우 모듈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필요한 목적에 부합되는 제품이나 기술을 확보하기 어려움

□ 데이터 표준화 여부

◦ 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면서 가장 이루기 어려운 요소 중의 하나임

◦ 우리 사회에서 언어가 시대에 따라 변하듯이 데이터의 형식이나 속성 등도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데이터라도 새로운 표준으 로 바뀜으로서 관련된 시스템들에 혼돈을 줄 수 있음

나. 연계 방법 측면

◦ 연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시스템 연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소를 고려하여 연계 방법을 정해야 함

◦ 우선 데이터 활용 목적 측면에서 국가지리정보유통망과 부처별 통합관리소 의 연계의 목적은 데이터의 조회와 이의 다운로드임

◦ 즉 부처별로 유통망을 통해 유통시키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일반인 공 개인지 기관간 공유목적인지 여부가 정해져야 함

­ 일반인 공개인 경우 조회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기관간 공유목적인 경우 데 이터 사용권한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만 조회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일반인 에게는 단순 조회만 할 수 있게 함

네트워크 환경 측면에서 각 부처에서 가지고 있는 지리정보를 유통망에 제 공할 경우 오프라인으로 제공하느냐 아니면 온라인으로 제공하느냐 여부임

◦ 지리정보유통망에서는 유통시키고자 하는 지리정보를 제공할 때 온라인으 로 등록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제공은 제외시킴

◦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부처에 따라 인터넷과 국가 전용망을 사용하 는 경우가 있어 연계 시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임

◦ 데이터베이스 위치와 관련하여 지리정보유통망에서는 메타데이터DB와 공 간DB를 따로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양 DB가 분리되어 구축되었는지 여부 가 중요함

또한 국가지리정보유통망에서는 이기종 분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공간정보를 통합 검색하고 상호운영할 수 있는 아키텍처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DBMS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음

◦ 데이터 표준화 여부와 관련해서는 지리정보유통망에서는 어떤 형태의 지리 정보든 데이터 표준 및 비표준에 상관없이 유통 가능하며, 다만 지리정보 유통망에 등록하는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는 표준 및 비표준 여부가 중요함

­지리정보유통망의 메타데이터 구성항목은 ISO/TC211 Geometric Matadata Standard의 DIS(Draft International Standard)을 기반으로 국내 지리정보유통메 타데이터 잠정표준으로 제정된 항목으로 구성됨

<표 21> 지리정보유통망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네트워크 환경이 오프라인인 경우는 연계 대상 시스템이 없는 것이므로 부 처별 통합관리소의 연계는 불필요하고, 보유하고 있는 지리정보를 지리정 보유통센터에 직접 등록하여 유통시킴

◦ 온라인인 경우는 인터넷인지 전용망인지에 따라 구분이 되며, 전용망만을 사용하는 경우 기관간 정보공유인 것으로 간주하고, 전용망만을 사용하는 부처의 경우 지리정보유통망과의 연계는 무의미

34)

지리정보유통망은 메타데이터를 표준화된 포맷으로 수집하여 손쉬운 검색 을 통해 지리정보통합관리소의 메타데이터서버들에서 관리하고 있는 지리 정보들을 일목요연하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

­메타데이터 구성항목은 ISO/TC211 Geometric Matadata Standard의 DIS(Draft International Standard)을 기반으로 국내 지리정보유통메타데이터 잠정표준으로 제정된 항목으로 구성되며, 메타데이터 검색 및 전송을 담당하는 Catalog Service 컴포넌트는 Z39.50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성됨

◦ 따라서 메타데이터의 표준 준수 여부는 매우 중요하며, 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해 지리정보를 유통시키고자 하는 각 부처는 지리정보유통메타데이터 잠 정표준을 준수하여 메타데이터DB를 구축하여야 함

­ 지리정보유통망에서는 메타데이터편집기를 이용하여 XML형식으로 저장하고 지 리정보등록도구를 통해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 이와 함께 지리정보유통망과의 연계를 위해서는 부처별 통합관리소에서는 온라인 상의 지리정보 구매‧지불을 위한 전자상거래와 인터넷으로 유통되 는 디지털 지리정보의 불법 사용과 정보 유출의 방지를 위한 보안 서비스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어야 함

그리고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은 우리나라 지리정보 유통의 통합관리를 담당

34) 일반사용자는 검색만 가능

하기 때문에 지리정보 유통 발생에 따른 조회건수나 구매 이력 등의 통계

에 각 시스템의 단계에 따라 연계 방안을 수립해야함

문서에서 발전을 위한 워크샵 (페이지 8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