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에너지수요 전망의 특징 및 시사점 가. 에너지수요 지속 증가

문서에서 에너지포커스 (페이지 40-44)

를 이끌 것으로 예상되어, 산업부문의 에너지수요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에너지원별로는 2012년 기준 산업부문 에너지소비의 약 53%를 점유 하는 석유가 원료용 수요의 꾸준한 증가로 연평균 2.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전력(연평균 4.1%) 및 도시가스(연평균 6.1%)는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전망기간 중 자동차 등록대수가 포화수준에 근접해 감에 따라 수송부문의 에너지수요 증가세는 연평균 1.5%로 낮아질 전망이다. 수송용 석유수요는 연평균 1.4%, 도시가스는 CNG버스 보급 확대의 영향으로 연평균 3.6%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정·상업·공공부문은 전망기간 중 연평균 1.9%

증가할 전망이다. 에너지원별로는 전력과 도시가스수 요가 각각 연평균 3.3%, 1.7% 증가하고, 석유수요는 연료대체의 영향으로 연평균 2.6% 감소할 전망이다.

전망기간 동안 산업부문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빠르 게 증가함에 따라 산업부문의 소비 점유율은 1.2%p 상승하는 반면, 수송부문 및 가정·상업·공공부문의 점유율은 각각 0.7%p, 0.5%p 하락할 전망이다.

4. 에너지수요 전망의 특징 및 시사점

산업부문 에너지수요는 전망기간 중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경우(연평균 3.6%

성장 전제), 연평균 2.8% 증가할 전망이다. 산업부문 의 최종에너지 수요 비중은 2000년대 중반까지 55~56%대를 유지하였으나, 이후 점진적으로 상승하 여 2012년 61.4%를 기록하였고, 2017년에는 62.6%

로 확대될 전망이다.

에너지 다소비산업의 꾸준한 성장으로 산업부문의 에너지소비는 높은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수송 및 가 정·상업부문의 수요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둔화되는 데 따른 결과이다. 산업부문 에너지소비의 빠른 증가 는 경제의 생산활동에 따른 결과이므로 불가피한 측 면이 있으나, 장기적으로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로 이 행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소비형 고부가가치산업 육 성 및 지속적인 에너지효율 기술개발 등 산업부문의 에너지효율 개선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라. 발전용 유연탄 및 원자력의 총에너지 비중 확대 전망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대로 발전설비 증설이 진행된다고 가정하면, 원자력 및 발전용 유연탄수요 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자력과 발전용 유연탄의 수요는 2012~2017년 기간 중 각각 연평균 5.0%, 5.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기저발전원인 원자력의 총에너지 점유율은 2005년 16.1%에서 2012년 11.4%까지 낮아졌으나, 전망기간 동안 대규모 발전설비 증설의 영향으로 2017년에는 12.7% 수준에 달할 전망이다. 전망기간 중 원전설비는 모두 5,200MW가 증설되어, 총 설비용량 은 2012년 20,716MW에서 2017년에는 25,916MW 로 늘어날 전망이다.

유연탄은 2014~2017년 기간 중 대규모 유연탄 발

[그림 6] 산업부문 소비 점유율 추이 및 전망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설비 증설이 이루어질 경우 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2년 27.1%에서 2017년에는 29.8%로 상 승할 전망이다. 반면, 첨두부하를 구성하는 LNG 발 전에 대한 의존도는 2015년까지 증가하다가 2016년 부터는 유연탄 발전소 확충의 영향으로 하락할 것으 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발전용 LNG수요는 2012년 18.4백만 톤에서 2015년까지 연평균 3.2%의 속도로 증가한 이후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마. 석유의존도 하락세 지속

총에너지에 대한 석유의존도는 1994년 63.0%를 정점으로 지속 감소하여 2012년에 38.2%를 기록하 였으며, 2017년에는 35.0%로 하락할 전망이다. 석유 화학산업 원료용인 납사의 총에너지 비중은 2005년 15.2%에서 2012년 17.0%로 상승하였으나, 2017년

에는 16.7%로 다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납사를 제외할 경우, 석유의존도는 2012년 19.6%에서 2017 년 16.6%로 하락할 전망이다.

석유의존도 감축은 에너지안보 제고를 위한 정부의 에너지원 다원화 정책의 결과이다. 과거 정부는 석유 의존도 감축을 위해 광역 도시가스 배관건설 사업, 환 경 규제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에 더하여 2000년대 중반 이후 계속된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이 석유소비 감축과 타 에너지원으로의 연료대체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산업부문과 가정·상업·공공부문에서 석유로부터 도시가스 및 전력으로의 에너지대체가 지속되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들어서는 고유가로 에너지원간의 경제성이 변화하여 난방에너지 시장에서 석유가 전력으로 대체되는 현상 도 나타나고 있다. 2차에너지원인 전력이 1차에너지원 [그림 7] 주요 발전용 에너지원의 총에너지 비중 추이 및 전망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인 석유류보다 가격이 낮아 에너지수급에 왜곡을 초래 하고 있어, 전력가격이 생산원가와 사회적 비용을 반영 하는 수준으로 인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에너지경제연구원,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2012.11 ______________________, 국제 에너지시장 변동의 에너지수

급 파급영향 분석, 2012.12

______________________, 2012 장기 에너지 전망, 2012.12 ______________________, 해외 에너지수급 분석 및 전망,

2013.1

______________________, 지표로 본 한국의 에너지경제 규 모 변화(1990∼2011) 연구, 2013.4

______________________, KEEI 에너지수요 전망, 2013.6 ______________________, KEEI 에너지수급 동향, 2013.7 ______________________, 에너지통계월보, 2013.7 한국은행, 한국은행 경제전망, 2013.1 [그림 8] 석유의존도 추이 및 전망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해외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사업 동향과 대응방향

1. 서론

최근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 및 중국, 인도 등 대형 개발도상국들은 신재생에너지를 미래의 에너지 고갈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 중의 하 나로 간주하며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해 왔다. 대부 분의 선진국들은 지속가능한 에너지체계 수립에서 신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분명히 인식하고, 미국과 일 본은 1980년대부터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의 구축 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프로그램 및 기술개발, 상용화 에 힘을 쏟는 등 노력을 경주해 왔다. 유럽 국가들 역 시 막대한 예산을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 보급에 투입해 왔다.

이에 발맞추어 우리나라도 신재생에너지 국가비전 을 수립하고 장기 기술 및 로드맵 작성, 효과적인 지 원 정책 및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고, 태양광·풍 력·바이오 등의 핵심 기술개발과 국산화 및 보급 활 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신재생에너지 는 화석에너지 기반의 기존 에너지체제를 대체할 청 정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으며 신기술 개발 등 기술혁 신 활동이 활발하지만, 상용화 및 시장형성에 대해서 는 아직 불안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기술적인 부분에서의 미성숙, 기술의 경제성이 확보되는 시점에서 소비자의 수용 의사 등 불확실한 요소가 많이 존재한다. 특히 아직 초기단계의 분야로 서 정부 지원 및 경기 상황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최근에는 유럽의 재정위기 및 세계적 경기침체 등 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재정투자 축소 및 산 업 위축이 발생하면서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던 신재 생에너지 시장의 성장 둔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으 며, 환경 변화에 대한 시장 및 산업체들의 적응 노력 이 필요한 상황이 도래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국제 시장 및 정책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커졌으며, 시장 상 황 변화에 즉각적인 대응 및 다른 국가들의 사업 및 정책 변화를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 졌다.

2. 주요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문서에서 에너지포커스 (페이지 4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