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제적 발달 수준 → (actual decelopment level)

재 지적 발달 수준을, 잠재적 발달 수준은 혼자서는 못하지만 유능한 타자의 도 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뜻한다.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을 그 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그림 2>와 같다.47)

<그림 2>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실제적 발달 수준의 학습자를 잠재적 발달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것 은 성인의 안내와 또래와의 협력이다. 이처럼 안내와 협력을 통해 학습자의 지적 성장, 즉 지식 구성을 돕는 것을 비계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내와 협 력을 통해 학습 주체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비계 개념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에서 견지하였듯이 지식은 사회 구성원의 합의로 객관성을 얻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이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중 지식 공유 및 협상을 위해 대화를 활용하여 학습자와 지식을 공유하여야 한다. 지식, 즉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 내용이 올바 르게 공유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안내와 조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의 안내와 조력은 첫째, 문답식 교수법을 통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문답식 교수법은 교사가 발문을 활용하여 학습 목표에 도달하도록 하는 교 수 방법이다. 교사는 발문을 통해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와 사고(思考)를 장려하 여, 학습자의 지식 구성 방향을 안내한다. 예를 들면 소설을 읽을 때 중점적으로 살펴봐야 하는 사건의 전개과정, 인물 간의 갈등 양상 등에 대한 지식을 교사가 발문을 통해 안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객관적 지식을 내면화하여 성 취기준에 맞게 작품을 읽을 수 있다.

47) 김재춘 외 4명, 앞의 책, 160쪽 참고.

문답식 교수법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지는 교수 방법이다. 여 기서의 대화는 객관주의 인식론에서의 수업48)처럼 교사가 학습자에게 네, 아니오 혹은 단일한 답으로 대답할 수 있는 폐쇄형 발문을 하는 등의 행동을 말하는 것 이 아니다. 개방형 발문을 통해 학습자의 사고 폭을 넓혀 작품을 다각면에서 살 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협력은 협동학습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비고츠키는 또래 중에서도 ‘보 다 유능한 또래’와의 협력이 학습자의 발달을 도울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또래 들 간에 일어나는 인지적 갈등은 과제 수행을 위해 대화를 나누며 공동의 의견 을 모아 상호주관성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인지발달로 촉진된다고 보았다.49) 이처 럼 또래, 즉 학습자 간의 협력은 학습능력의 편차와는 상관없이 효과를 보인다.

학습능력이 미진한 학습자는 협력을 통해 수월하게 지식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학 습능력이 우수한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를 돕고 가르침으로써 지식을 내면화하는 데 한 발 더 가까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자가 교사의 안내나 시범을 통해 객관적 지식을 받아들일 때, 교사가 전달 하는 지식을 학습자가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해당 지식이 온전히 학습자의 것 이 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객관적인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가 전달한, 즉 객관적 지식을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해당 지식에 대해 생각하고 이해할 수 있게끔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지식의 공유 및 합의를 통한 내면화는 학습자 간의 협동학습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자신과 비슷한 환경에 속해 있는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면화 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의견 및 지식을 교류하는 것에 중점 을 둔다.

48) 객관주의 인식론의 강의식 수업(교사 중심)은 학습자를 단순한 청자로 만들어, 학습 주체 간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는 교수법이다. 또한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를 수동적으로 만들 기 때문에 학습자는 교사가 전달해 준 지식을 “절대적 지식” 혹은 “절대적 진리” 강인애, 우리 시대의 구성주의 , 문음사, 2003, 16쪽 참고. 로 받아들여 주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다양한 시각으로의 해석이 가능함을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강의식 수업은 학습 주체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문답식 교수법과는 차이를 보인다.

49) 한순미, 앞의 책, 135∼136쪽 참고.

<그림 3> 사회적 구성주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적용 방식

위의 <그림 3>은 앞서 언급한 사회적 구성주의의 교수·학습방법이 적용되는 방식을 그림으로 정리한 것이다. 사회적 구성주의는 언어를 매개로 한 사회 구성 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객관적 지식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학교 교육에서 학습자는 학교의 구성원이자 학습 주체인 교사 그리고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며 지식을 습득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 주체 간의 상호작 용 및 협력을 통한 지식 습득 방법으로, 안내와 협력을 통해 학습 주체 간의 언 어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문답식 교수법과 협동학습을 제시하고자 한다.

2) 학습 환경

앞 절에서 견지한 문답식 교수법과 협동학습을 수업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 는 학습 환경에서의 자유롭고 수용적인 분위기가 전제되어야 한다. 객관주의의 수업에서처럼 학습자의 수동적 태도를 지향한다면 활발한 지식 구성이 이루어질 수 없다. 때문에 학습자가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고, 그러한 의견을 귀담아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