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내 환경의 최적화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49)

대학교 건축물의 환경개선 중, 내부공간의 광(光), 풍(風), 열 등의 3가지 요소에 관 한 최적화가 중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림13>옥상의 개방형 창문 설명도

광 환경에 대한 최적화는 대학교 건축물의 스타 일을 유지하는 기초에, 옥상 혹은 정면에서 새로 창 구멍을 추가해 줄 수 있다. 이는 창문과 벽의 면적 비를 적합하게 조성하는 방식으로 실내의 채광을 조 절해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능적 측면에서, 그 공간이 요구하는 채광 계수를 만족하게 해준다<그 림13>.

풍과 열 환경의 개선은 실외 장소의 풍력에 의해 존재하는 풍압과 실내외 공기의 온도 차로 생성된 열압을 중점으로 삼아야 한다. 풍압과 열압이 공기를 유동시킴을 통

34)https://www.gooood.cn/ewha-university-building-by-dominique-perrault-architect.htm 2020.04.11

해 건축 내외의 공기를 교환하도록 해준다<그림14>. 따라서 합리적으로 창문과 벽의 면적 비를 제어, 채광구멍의 유형 선택 및 대학교 건축물의 특이성을 이용해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기용 수직갱도와 윈드 타워 혹은 중앙홀을 추가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자연적 환기를 실현해 주는 것이다<그림15>. 이외에는, 겨울철에 최대하게 태 양열의 복사를 이용하여 난방설비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여름철에 자연적 환 기를 통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실내의 열 환경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수단이 다.

<그림14> 열압 환기의 설명도 <그림15> 풍압 환기의 설명도

이화여자대학교 ECC의 디자이너는 건축물의 중간 부분에서 직선형 복도를 디자인 했다. 이로써 시각적으로 봤을 때 협곡과 같이 보이게 한다. 이 복도의 특징이 건축물 내부의 채광과 환기의 욕구를 동시에 만족해 준다는 점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자연적 공간과 기능적 공간의 특성을 모두 잘 활용하여, 한 건축물에 구현하는 것이다. 빛, 바 람, 열 환경 등 자연적 요소가 정원의 형식으로써 건축물 내부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실내외에서 자유롭게 유동한다<그림16>. 도시의 길거리 같기도 하고 광장 같기도 한 이러한 건축물 외부공간은 학생들이 각종의 공적 활동을 진행하는 공간이 된다. 사람 들이 여기에 머물러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혹은 공부를 할 수 있다. 나아가 주변의 거 주민과 다른 도시의 관광객들을 여기에 이끌어 한가한 시간을 보내게 한 것으로 대학 교의 활력을 향상시켰다.

<그림16> 이화여자대학교 ECC의 공간디자인35)

실내의 공간 통합은 오래된 대학교 건축물을 창의적인 학습과 교류의 공간으로 바 꿔 준다. 예를 들면 중국의 칭화대학교 3호관의 환경개선 방안은 대표적이라 할 수 있 다. 이 방안의 경우, 추가 건설의 방법을 통해 강의실의 공간 유형을 다양하게 만들었 다<그림17>. 구체적으로 3호관의 서쪽에서 자전거 전용 주차장을 철거한 후에, 추가로 다용도의 공간 유형을 건설하였다. 특히 그 중에 각양각색이고 규모대로 계단식으로 된 강의실을 여러 개 설치하였다. 어떠한 강의실의 공간을 현관문이나 복도 혹은 공공 공간과 결합시켜, ‘학습’을 주체로 삼은 신형 강의실을 모색하려 노력하였다. 가장 주목 한 점은 바로 이와 같이 기존 강의실 공간의 환경개선 중, 현관문과 복도 등과 같은 서비스 공간을 중요한 학습공간과 교류하는 공간으로 전환한 것이다.

35)https://www.gooood.cn/ewha-university-building-by-dominique-perrault-architect.htm 2021.04.11

<그림17> 칭화대학교 3호관의 단면도3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