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교 건축물의 환경개선 개념 및 전략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40)

건축물을 환경개선 하는 것은 기존 건축물에 대해 수정, 변경 혹은 갱신하는 의미 에서 사람들의 새로운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그의 목적은 기존 건물에 구조적으 로 안전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 환경의 질과 사용 만족도를 개선, 건물의 역사적 문화 를 보유하는 것들이다. 기존 건축물의 환경개선에서 지속가능한 다자인을 활용하면 경 제와 사회적으로 이중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할 수 있는 전제 에서 건축물의 환경개선 하는 것이 건축물을 환경개선의 큰 발전의 방향이라 할 수 있 다. 이는 일반적인 환경개선보다는 그의 목표가 더욱 다원적이고, 성과로서 더욱 가치 적이다.

<표4> 건축물의 지속가능한 환경개선과 일반적 환경개선의 비교

Ø 외피 구조를 개선한다 Ø 내부 구조를 개선한다 Ø 에너지 절약으로 개선한다 Ø 실내 환경을 개선한다 Ø 생태적으로 개선한다

Ø 내부 구조를 개선한다

개선목표

Ø 공간과 기능을 최적화한다 Ø 건물의 역사적 가치를 계승한다 Ø 에너지 절약과 환경을 보호한다 Ø 편안함과 건강을 높인다

Ø 경제적인 효과를 준다

Ø 공간과 기능을 최적화한다 Ø 건물의 역사적 가치를

계승한다

위의 표에서 양자에 대한 비교 분석을 보면, 건축물의 지속가능한 환경개선은 건축 물의 일반적 환경개선을 기초로 삼아 그린 건축의 디자인 전략과 더불어 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건축물의 지속가능한 환경개선은 개선 후의 에너지 절약, 환경보호와 쾌 적도 등의 다양한 면에 더욱 관심거리가 된다.

대학교 건축물은 경제, 교육과 과학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래서 환경보 호, 에너지 낭비와 오염의 감소하여,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편안하고 건강한 학습 환경 을 제공하기 위해 대학교 건축물의 환경개선을 무시할 수는 없다.

중국의 대부분 대학교 건축물은 역사적으로 오래되어 벽 같은 곳에서 이미 노화된 현상이 벌어진다. 안전과 에너지 절약 및 쾌적도 등 여러 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어 현 재의 대학교 교육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에너지 소비의 문제를 중요시하 는 대학교가 거의 적고, 대다수 학생이 환경보호의 의식이 있지 못하며, 관련된 에너지 절약의 제도까지 완벽하지 않은 것은 실정이다. 필자의 관점에서 대학교 건축물의 지 속가능한 디자인에 그린 건축의 기술을 도입해, 건물의 환경개선 목표에 따르고 그 건 물의 특징과 결합하여 디자인해야 한다. 그러므로 환경개선 하는 과정에서 단일적인 시점에서 출발하면 안 되고, 환경, 사회, 문화, 경제 등 여러 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를 한다.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기본적인 목표는 바로 에 너지 절약과 환경보호에 있다. 이것이 또한 대학교 건축물을 환경개선 하는 데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특히 대학교 건축물에 에너지 소비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환경개 선 과정에서 충분히 에너지 절약의 조치를 활용해야 한다. 환경보호에 더 힘쓰고 오염 을 줄이며, 절약형 설비를 사용하고 자원을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최대로 재생 가능 한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야 환경보호와 에너지 소비의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② 사용공간과 기능을 갱신하고 최적화한다. 사용공간과 그의 기능을 갱신하고 최 적화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건축과 사용자들에 의한 최종적 목표이다. 대학교 건축물의 공간과 기능을 변화해 주는 것이 여러 단계를 걸려야 된다. 대체로 심심한 복도형 공 간-기계식의 큰 공간-공공 공간에서 경관 요소의 첨가-자유로운 공간까지 변화한다.

이는 탄력성이 없는 것에서 융통성이 있게 하고, 단일적인 것에서 다원적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이다<그림10>. 그러므로 사용공간과 그 기능을 최적화하는 것은 대학교 건 축물의 환경개선 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그림10> 대학교 건축물의 변화 설명도31)

③개인의 쾌적도와 건강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여기서 언급한 개인은 대학교 건

31) https://bbs.zhulong.com/101030_group_201832/detail10041891/ 2021.05.21

축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가리킨 것이며, 그들의 사용 만족감과 건강에 대한 욕구를 최대하게 만족해줘야 한다. 편안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크게 실내 환경과 실외 환경에 대한 영향요소로 나누어 고려해야 한다. 이에 해당하는 영향요소는 주로 물리적 요소, 심리적 요소, 생태적 요소를 포함된다. 실내 환경은 사용자에게 가장 직관적인 느낌을 주는 것으로, 이에 관한 환경개선이 충분히 실내 환경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방음, 채광과 열 환경 등과 같은 요소에서 변화되어야 한다. 실내 환경의 경우는 사용자의 쾌적도에 영향을 주는 존재이다. 이로 인해 좋은 실외 환경은 사용자의 쾌적 감을 오직 실내 환경의 범위에만 구속되지 않고 더 넓게 해 준다. 이외에 전체적으로 실내와 실외 환경을 환경개선 할 때, 생태적인 전략을 이용하면 공간이 더욱 활력이 있게 해 준다. 총괄하면, 사용자의 쾌적도를 높이는 것이 그들의 신체와 심리적인 상태 를 더욱 건강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여러 면에서 쾌적도를 올리는 것이 대학교 건축물의 환경개선에서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이다.

④건축물의 역사적 맥락을 계승하여 미적 가치를 창출해 준다. 건축물의 환경 개선 의 의미에 관하여, 하나는 건축물을 다시 활성화한 것, 또 하나는 그 건축물의 역사적 문화를 이어지고 계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대학교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존 건축물 의 문화적 전승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대학교 건축물을 환경개선 하는 것이 그 자체가 대학교의 역사 문화를 계승해 발전하는 사명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 대학 교 건축물의 환경개선 하는 과정에서 그 역사적 맥락을 이어지게 하는 것이 또 하나의 중요한 목표이다. 이외에 건축물 환경개선 과정에서 첨가 작업이든 기존 건축물의 융 합 작업이든, 그 어떤 방식이라도 모두 다 건축의 미학적 가치를 창조하는 목표로 작 업해야 한다. 즉, 기존 대학교 건축물을 환경개선 하는 데, 역사적 문화를 계승하는 것 과 미학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일치되고 공존하는 목표이다.

⑤ 경제적인 각도에서 출발해야 한다. 대학교 건축물을 환경개선 할 때 위의 4가지 목표를 실현하면서도 경제적인 시점에서 고려해야 한다. 오직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목 표에만 집중하거나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하여, 비싼 건축 기술만 쓰는 현상이 있다. 이 런 환경개선의 방식이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겉으로 볼 때, 사용자의 쾌적도 혹은 지속가능을 위한 노력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미 지속가능한 디자인에서 제창한 절약의 의미를 위반한 것이다. 그러므로 환경개선 할 때, 여러 요소 를 고려하여 개선하고 건물의 후기 운영과 관리까지 중요시하면 좋은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지속가능을 실현하는 동시에, 대학교를 위해 비용을 절약해 주는 것이 또한 대학교 건축물을 환경개선 하는 중의 목표이다.

완공

연도 2008년 5월 건축 면적 70000㎡

지리 위치

서울에 있는 이화여자대학교의 북쪽은 산과 붙어 있고, 남쪽은 도시와 연접하고 있다. 교내 부지가 언덕 지형을 위주로 되어있다. 소재 도시인 서울이 온대 몬슨 기후에 속한 것으로, 연평균기온이 11.8℃, 사계절이 분명하다. 봄과 가을에는 강수량이 적으며 따뜻한 편이다. 여름의 경우 (6월~9월), 월 평균 온도가 20~27℃이고, 강수량이 많으며 더운 편이다.

겨울(12~2월)의 기온은 같은 위도에 있는 다른 도시보다 낮다 (월 평균 온도가 -5~0℃).

지역 문화

학교 소재 지역인 서울은 세계의 10대 금융 센터 중의 하나이며, 전면적 으로 디지털화된 도시라 할 수 있다. 서울의 디지털 기회 지수가 세계 1 위의 수준이고, 역사 문화가 깊으며 활력이 가득한 도시다.

디자인 전략

l 공간 재구성, 자연적인 미지형을 조성한다 l 공간 통합, 도시의 개방공간을 넓힌다

l 옥상녹화, 효율적으로 건축 주변 구역의 소기후를 조정해 준다 l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이용,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킨다

l 생태 회랑의 보유, 옥상 양측에서 산맥의 라인에 이어져 숲이 둘러 싼 채로 생태 회랑 체계 중의 일부분이 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4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