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자인 방안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4)

<그림17> 칭화대학교 3호관의 단면도36)

<그림19> 외피구조에 내외 단열층의 구조

이화여자대학교 ECC의 경우는 앞서 얘기한 듯이 지하에 묻어진 형식으로 디자인 하였다. 이러한 방법이 건축물의 외피구조를 설치하는 것을 많이 줄였다. 디자이너가 토양의 온도 변화가 대기보다 느리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건축물과 토양의 경계선에서 일련의 금속 연통을 배치하였다<그림20>. 이런 방법으로 공기를 벽돌에 따라 승강시 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겨울철에 차가운 공기는 열을 받아 온도가 높아져 실내에 들 어가게, 여름철에 뜨거운 공기가 냉각되어 실내에 들어가게 해준다. 특히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추운 서울 지역에서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에너지 절약을 40% 정도를 내 려준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이 방안이 모든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림20> 이화여자대학교 ECC의 금속 연통 사진38)

38) 筑梦天下 2020/04/11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환경개선 과정에서, 건축물이 에너지에 대한 욕구를 만족하게 하는 동시에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이용도까지 높여줘야 한다. 이에 주로 태양열과 자 연적 자원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태양열에 대한 이용은 ‘태양광 발열’과 ‘태양광 발전’으로 나누어 있다. 태양광 발열 은 태양 에너지를 열로 전환해 이용하는 것이고, 태양광 발전은 낮에 태양 전지를 이 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저장하여 밤이 되면 전기로 전환해 주는 것이다. 이렇게 전환한 전기가 조명과 다양한 데 사용하게 된다.

자연적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여기서 주로 수자원을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수자원 의 순환적 이용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이용하는 데 일종의 중요한 방식이기 때문이 다. 주로 빗물과 재생수에 대한 이용으로 나뉘어 있다. 옥상에 수집된 빗물이 여과와 정화의 단계를 걸친 후, 녹화와 일상적 생활용수로 쓸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담수 자원에 대한 의뢰가 많이 줄일 수 있다. 재생수의 경우는 건축물이 사용했던 냉각수와 화장실 배수 등을 처리한 후, 회수하여 이용하는 것을 가리킨다<그림21>.

<그림21> 재생수 회수 이용 설명도

이런 시점에서 보면, 이화여자대학교 ECC의 옥상 처리방식이 태양열을 이용하는 동시에 건축물과 녹화 환경을 잘 결합해 디자인했다. 그리고 빗물수집 시스템의 설치

를 통해 자연적 빗물을 회수하여 일정한 체계로 빗물을 깨끗이 정화한다. 이를 이용해 건축물 내부의 화장실 청소와 녹화의 관개에 쓰이게 되어, 수자원의 소비를 크게 감소 시켜 준다<그림22>.

<그림22> 이화여자대학교 ECC의 빗물 수집 시스템39)

<그림23> 칭화대학교 3호관의 태양열 이용40)

중국에서, 대부분의 건축물이 옥상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많다. 그 러나 옥상의 합리적 이용은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해 주는 효과가 있다. 칭화 대학교 3호관의 환경개선 방안의 중점은 옥상의 공간을 이용해 대규모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를 통해 태양열을 전기로 변환시켜준다. 최대 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는 동시에, 태양 광 패널과 루프형 복층 구조를 이용해 교 직원과 학생들에게 더 많은 학습과 교류 의 공간을 창출해 준다. 특히 디자인에서 태양광 패널을 바둑판식 배열로 배치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해준다.

건축물과 주위 환경의 조화에 대해, 이화여자대학교 ECC의 디자인 방안은 장점이

39)https://www.gooood.cn/ewha-university-building-by-dominique-perrault-architect.htm 2020.04.11 40)https://www.ixueshu.com/document/b6a0a2e89f6b93220b42e4d077338e21318947a18e7f9386.html

2021.04.12

있어 보인다. 온 건축물이 중간으로 갈라져, 긴 지하 공간이 저절로 나오게 된다. 공간 의 입구로서 도시와 학교 두 개의 다른 기능적 구역을 연결해 준다. 양측의 옥상은 산 맥의 라인을 연속해 숲으로 덮어진 것으로, 온 건축물이 산맥이란 배경과 함께 서 있 는 시각적 효과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건축물에 포함된 의미가 이미 일반적 기능의 요구를 넘었으며, 전체적 생태 체계의 일부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그림24>.

<그림24> 이화여자대학교 ECC 조감도41)

발전 추세를 보면, 이제 건축물의 전체적 생태 체계를 조성할 때 건축물의 층수에 국한되지 않고, 대학교 건축물과 주위 부지를 이용해 소형의 생태 경관 체계를 계획하 여 디자인하는 방향이다. 즉 대학교 건축물과 주위 부지를 하나의 조경 구조로 고려하 고, 이를 도시의 생태 체계의 일부분으로 취급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교 건축물의 소형 생태 체계를 도시 쪽으로 침투하여 연속해 준다. 이것은 도시 생태 구조의 배열 을 개선하고 소기후 환경을 조절하며,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 데 의미가 있다.

41)http://blog.sina.com.cn/s/blog_606ad40d0102uz9k.html 2021.04.11

공사 년도 1985년 5월 완공 년도 1987년 4월

건물 방향 남향 건물 구조 벽돌구조

건물 면적 1369㎡ 난방 면적 5662㎡

건물 층수 7층 건물 높이 27.5m

건물 층마다의 높이 1층 4.15m,기타 층 3.9m

외관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