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결과

3) 신상털기 보도유형

언론의 신상털기 보도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근본적 문 제 지적, 신상털기 문제 해결 방안, 단순한 정보제공으로 구분하였다. 신상털기 관련 기사가 실린 지면을 독립변수로 하고 신상털기 보도유형을 종속변수로 설 정한 교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통계적 유의미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신상털기 관련 기사가 실린 지면 가운데 기획기사는 신상털기 보도의 결론으 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6건(46.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상털기 유발사건 의 근본 원인 지적이 5건(38.5%), 신상털기 문제 해결 방안이 1건(7.7%), 단순 정 보제공이 1건(7.7%) 순으로 나타났다.

구분

언론사별 신상털기 관련 기사

기획 사설칼럼 오피니언 사회 경제 기타 합계

N % N % N % N % N % N % N %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6 46.2 11 61.1 19 40.4 56 69.1 0 0 38 55.9 131 45.7 근본적

문제 지적 5 38.5 6 33.3 25 53.2 13 16.0 0 0 21 30.9 70 28.5 신상털기

문제해결방안 1 7.7 1 5.6 3 6.4 2 2.5 1 100 2 2.9 10 20.9 단순

정보제공 1 7.7 0 0 0 0 10 12.3 0 0 7 10.3 18 5.0 전체 13 100 18 100 47 100 82 100 1 100 68 100 228 100

=49.675, df=15, p<0.00

표 9. 언론사별 신상털기 관련 기사 보도유형

언론 4사 모두 기획기사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경향신문의 경우 2013년 10월 4일 특집 기획기사 ‘감시 중독사회 감시 권력 을 감시하라’를 통해 ‘한국 사회는 벌거벗은 사회다. 전 세계에서 가장 탁월한 개 인 식별 번호인 주민등록번호는 고도로 정보화된 한국 사회에서 인터넷 실명 제․휴대폰 가입시 본인 확인제와 결합해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만능열쇠다. 사회 관계망서비스(SNS) 가입자들은 SNS상에서 자신의 생각만이 아니라 먹고 마시 고 노는 일상의 취향과 자신의 동선마저 공개하고 있다. 특정인의 사생활과 개인 정보에 대한 신상털기는 이런 기반 위에서 가능 하다’고 하며 직접 신상털기 ‘해 킹 시연’을 통해 어떻게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는지 알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름과 핸드폰 번호, 이메일 주소만 있으면 어디에 살고 있는지 나이와 직업은 물론 온라인에 직접 노출한 적이 없는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 다. 또한 “신상털기는 과시욕․사회체제 불신이 낳은 ‘스트레스 배출구’로서 신상 털기의 유행을 누군가에게 인정받기를 바라는 욕구와 사회체제에 대한 신뢰 부 족에 따른 현상으로 진단한다”고 하였다. 뿐만아니라 경향신문 2012년 9월 14일 기획(13면) 기사는 “나쁜 짓 한 사람들에 사회적 처벌”로 사회에 대해 악영향을 끼친 사람들에 대해 정당한 처벌을 내리는 것이라고도 하여 다분히 신상털기를 옹호하는 듯한 기사를 내보냈다.

언론사의 논조를 결정하는 사설․칼럼에서는 신상털기 보도의 유형이 프라이 버시 침해 우려가 11건(61.1%)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신상털기 유발사건의 근본

원인 지적 6건(33.3%), 신상털기 문제 해결 방안이 1건(5.6%) 순으로 나타났다.

사설․칼럼 역시 언론 4사 모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가장 많이 보도하여 언 론사들 모두 신상털기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를 가장 우려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2016. 6. 9, 사설․칼럼 31면), 중앙일보(2016. 6. 17, 사설․칼럼 34 면)의 경우 ‘섬마을 여교사’ 성폭행 사건에 대해 일제히 보도하였는데 한겨레는

“술에 취해 몸을 가누지 못하는 여성, 게다가 자기 자녀를 가르치는 선생님에게 보호는커녕 몹쓸 짓을 저지른 것은 인간의 탈을 쓴 ‘짐승’의 범죄가 아닐 수 없 다. ‘사전공모’ 여부까지 포함해 이들의 파렴치 범죄를 철저히 수사해 죗값에 상 응하는 처벌을 받도록 엄중히 조치해야 마땅하다. … 안전대책뿐 아니라 여교사 들의 인권․교권 보장은 물론, 일부의 오도된 성 의식 문제까지 우리 사회 전반 을 되돌아볼 수 있는 종합적이고 실효적인 대책을 내놓길 기대한다”고 하여 인 권 문제 및 성의식의 문제를 지적한 반면, 중앙일보는 “이번 성폭행 사건은 전 국민을 충격과 분노로 몰아넣은 흉악범죄다. 그런 사건의 피해자 신상정보를 캐 서 인터넷에 올리려고 한 것 자체가 성폭행 못지않은 비윤리적이고 반인륜적이 며 파렴치한 중범죄다. 극도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을 피해자를 돕지는 못할망 정 이런 시도를 한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희롱한 망나니짓이다. 그릇된 정보를 인터넷에 올려 엉뚱한 사람을 피해자로 둔갑시킨 것도 마찬가지다. … 인터넷에 서 단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벌이는 이러한 일탈 행동을 근절하려면 사 이버 공간의 자율적인 자정 기능부터 강화해야 한다”고 하여 신상털기 사건의 폐해와 근절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신상털기 사건에 대한 기획기사는 모두 13개로 비교적 많지 않고 게다가 한겨 레와 동아일보의 경우 각각 단 1건의 기획기사만 있어 언론사 간 기사 추이의 비교는 어렵다고 판단이 된다. 또한, 사설․칼럼 역시 언론 4사 모두 합해 18개 의 기사로 많지 않은 데다 경향신문의 경우 단 1건만의 사설․칼럼이 있고, 그것 도 유명인에 대한 사설․칼럼이라 언론사의 논조를 비교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고 판단된다. 다만, 동아일보와 중앙일보의 경우 정치인 또는 연예인에 대한 신 상털기 사설․칼럼이 9건으로 비교적 많았다.

오피니언은 신상털기 유발사건의 근본 원인을 지적하는 기사가 25건(53.2%)으

구분

언론사

동아 중앙 한겨레 경향 합계

N % N % N % N % N %

부정적 60 71.4 48 88.9 29 80.6 45 83.3 182 81.1 중립적 24 28.6 6 11.1 7 19.4 9 16.7 46 19.0 전체 84 100.0 54 100.0 36 100.0 54 100.0 228 100.0

=6.856, df=3, p<0.05

표 10. 언론사별 신상털기 보도태도

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상털기 보도의 결론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19건 (40.4%), 신상털기 문제 해결 방안이 3건(6.4%)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면의 경우 에는 신상털기 보도의 결론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57건(69.1%)으로 가장 많 았고, 이어 신상털기 유발사건의 근본 원인을 지적하는 기사가 13건(16.0%), 단 순 정보제공이 10건(12.3%), 신상털기 문제 해결 방안이 2건(2.5%) 순으로 나타 났다. 경제 및 기타 부문의 기사들도 유사한 분포 경향을 나타냈다.

특징적인 것은 오피니언 부문의 기사에서 신상털기 유발사건의 근본 원인을 지적하고 있는 비율이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위의 <표 9>는 신상털기 관련 기사가 실린 지면에 따른 신상털기 보도유형을 정리한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