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사점 및 향후의 연구방향

문서에서 사회적 불평등과 정책적 대응 (페이지 34-39)

V. 요약 및 시사점

2. 시사점 및 향후의 연구방향

국세청의 국세통계는 전체 납세자를 위주로 한 통계이지만 가계동향조사나 복지패널조사 자료 가 구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한 것이므로 양자간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모 든 나라에서 발생하는 것이며, 이러한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선진국에서는 납세자 표 본자료(행정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행정자료가 이용 불가능할 경우에는 Creedy (2004)에서와 같 이 resampling 기법을 적용하고 있는데, 향후의 연구에서는 우리도 이러한 resampling 방법을 도 입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바람직한 해결책은 납세자 자료를 연구자에게 제공 하는 것임은 논의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향후에는 조세부담 및 수혜분석의 연장선상에서 노동공급탄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대하여 이미 일정 부분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연구자별로 사용된 자료와 분석기법에 따라 노동공급탄력성 추정결과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며, 그 외에도 향후의 연구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노동공급을 분리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좀 더 현실적인 정책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세부적인 제도적 요소를 구체적으로 담고 있는 미시-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김혜원 외(2010)에서는 미시-시뮬레이션 모형의 기 본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있으며, 성명재 외(2010)에서는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부담과 일부 현 물급여를 포함하는 조세·재정 모의실험모형(KIPFSIM10)을 개발하였다. tax-benefit 미시-시뮬레 이션 모형의 개발에는 오랜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기는 하지만 그로 인하여 얻을 수 있는 국민적 혜 택은 지대하므로 조속한 시일 내에 실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반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모형화 단계에서 지역에 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지방세의 부담을 모형 내 에 명시적으로 포함하는 것도 중요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단계로는 고령화와 자 산축적 과정을 포함하도록 모형의 시뮬레이션 모형의 동태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단계 를 거치면 각종 조세 또는 사회적 수혜의 장기적 재분배 효과나 노후소득보장 정책의 효과, 그리고 고령화의 영향 등을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외에도 거시적인 변수들과의 연계를 위하여 연산가능 일반균형 모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과의 연계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이 분석법은 선진 OECD 국가들이 표준으 로 채택하고 있는 기법이며, 이를 현실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도 정부기관과 연구소간의 공동 노력 이 필요하다고 본다.

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통계연보, 각년도.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각년도.

국세청 (2011), 종합소득세 신고서 작성 요령.

국세청 (2011), 2010년 귀속 근로자를 위한 연말정산 안내.

권혁진 (2009), 국민연금의 미시모의실험 모형 연구 및 개발, 국민연금연구원.

김혜원·김을식·전승훈 (2010), 사회보장시스템의 생애소득 재분배 연구, 노동연구원 정책연구 2010-6.

김태일 (2009), “정부의 가구에 대한 재정지출의 소득계층별 혜택 분석,” 제2회 재정패널학술대회 발표본.

나성린·남재량·문춘걸 (2002), “조세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공공경제 2, 3-25.

박기백·김진·전병목 (2004), 재정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한국조세연구원.

박기백·성명재·김종면·김진 (2006), 사회분야 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현물급여 및 간접세 포함, 한국조세 연구원.

박기백 외 (2010), 사회분야 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현물급여 및 간접세 포함, 한국조세연구원.

박기백 (2010), “재정패널을 이용한 가계 부담 및 혜택 분석: 분위별·지역별 분포를 중심으로,” 재 정학연구 3(2), 1-2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각년도.

성명재 (2010), 조세재정 모의실험 모형: KIPFSIM10 모형의 구축, 한국조세연구원.

성명재·박기백 (2008), “조세,재정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소비세 및 현물급여 포함,” 재정학연 구 1(1), 63-94.

성명재·박기백 (2009), “인구구조의 변화가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연구 57(4), 5-37.

심상달 (1988), “정부지출의 수혜분포 분석,” in 곽태원, 이계식 (1988), 국가예산과 정책목표, KDI, 13-74.

안종범 외 (2006), “소득세 공제제도 개편의 정책모의실험,” 공공경제 11(1), 69-92.

이준구·이상영 (1996), “우리나라 조세제도의 소득재분배 효과,” 경제논집 35(2·3).

전승훈·홍인기 (2009), “소득세율 인하 및 공제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연구: 노동 패널 자료를 이용한 미시적 실증 분석,” 노동정책연구 9(1), 55-98.

조경엽 (2009), 재원배분의 소득재분배 효과 연구, NABO.

조경엽 (2007), 재정지출이 소득분배와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 - 연산가능 일반균형모형을 이용 한 분석, KERI 연구보고-07-12-07.

최광·이성규 (2011), “조세·복지 중첩과 그 감소방안,” 재정학연구 4(1), 67- 109.

현진권·나성린 (1994a), “우리나라 소득세제의 세부담 분석: 도시 및 농촌가계의 합산자료를 사용한 실

2. 시사점 및 향후의 연구방향

증결과,” 경제학연구 42(1), 189-208.

현진권·나성린 (1994b), “우리나라 세제의 형평성 측정: 근로자가구와 자영업자가구의 세부담 차이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41(3), 147-180.

http://www.bokjiro.go.kr/

Aaron, H., and M. McGuire (1976), "Reply to Geoffrey Brennan, The Distributional Implications of Public Goods," Econometrica 44, 401-404.

Aaron, H., and M. McGuire (1970), "The Distributional Implications of Public Goods,"

Econometrica 38, 907-920.

Atkinson, A. (1980), “Horizontal Inequit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Tax Burden” in A.

Hahn and M. Boskin (eds.), The Economics of Taxation, pp.3-18.

Blundell, R., A. Duncan and C. Meghir (1998), “Estimating Labor Supply Response Using Tax Reforms,” Econometrica 66(4), 827-861.

Creedy, J. (2003). “Survey Reweighting for Tax Microsimulation Modelling,” Treasury Working Paper Series 03/17, New Zealand Treasury.

Creedy, J. (2004). “Reweighting Household Surveys for Tax Microsimulation Modelling: An Application to the New Zealand Household Economic Survey.” Australi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7 (1) 71-88.

Deville, J.C. and C.E. Skrondal (1992). “Calibration estimators in survey sampling,”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7(418), 376-82.

Duclos, J.-Y., and A. Araar (2006). Poverty and Equity, Springer.

Flood, L. and T. MaCurdy (1992). “Work Disincentive Effects of Taxes: An Empirical Analysis of Swedish Men,” Carnegie-Rochester Conference Series on Public Policy 37, 239-277.

Kakwani, N.C. (1977). “Measurement of Tax Progressivity: An International Comparison,”

Economic Journal 87, 71-80.

Lambert, P. J. (2001). The Distribution and Redistribution of Incom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rd edition.

MaCurdy, T., et al. (1990). “Assessing Empirical Approaches for Analyzing Taxes and Labor Supply,” Journal of Human Resources 25(3), 415-490.

Meerman, J. (1979). Public Spending in Malaysia: Who Benefits and Wh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Musgrave, R.A. and T. Thin (1948). “Income tax progression 1929-48,”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56, 498-514.

Orcutt, Guy H. (1957), “A New Type of Socio-economic System,”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9(2), 116-123. also in International Journal of Microsimulation 1(1), 2007, 3-9.

O’Donoghue, Cathal (2012). Developing and Using Dynamic Micro-simulation Models for Public Policy Analysis, Teagasc

Plotnick, R. (1981). A Measure of Horizontal Inequity i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3, 283-288.

Reynolds, M. and E. Smolensky (1977). Public Expenditures, Taxes, and the Distribution of Income: The United States, 1950, 1961, 1970, Academic Press, New York.

Suits, D. (1977). “Measurement of Tax Progressivity,” American Economic Review 67, 747-752.

증결과,” 경제학연구 42(1), 189-208.

현진권·나성린 (1994b), “우리나라 세제의 형평성 측정: 근로자가구와 자영업자가구의 세부담 차이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41(3), 147-180.

http://www.bokjiro.go.kr/

Aaron, H., and M. McGuire (1976), "Reply to Geoffrey Brennan, The Distributional Implications of Public Goods," Econometrica 44, 401-404.

Aaron, H., and M. McGuire (1970), "The Distributional Implications of Public Goods,"

Econometrica 38, 907-920.

Atkinson, A. (1980), “Horizontal Inequit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Tax Burden” in A.

Hahn and M. Boskin (eds.), The Economics of Taxation, pp.3-18.

Blundell, R., A. Duncan and C. Meghir (1998), “Estimating Labor Supply Response Using Tax Reforms,” Econometrica 66(4), 827-861.

Creedy, J. (2003). “Survey Reweighting for Tax Microsimulation Modelling,” Treasury Working Paper Series 03/17, New Zealand Treasury.

Creedy, J. (2004). “Reweighting Household Surveys for Tax Microsimulation Modelling: An Application to the New Zealand Household Economic Survey.” Australi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7 (1) 71-88.

Deville, J.C. and C.E. Skrondal (1992). “Calibration estimators in survey sampling,”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7(418), 376-82.

Duclos, J.-Y., and A. Araar (2006). Poverty and Equity, Springer.

Flood, L. and T. MaCurdy (1992). “Work Disincentive Effects of Taxes: An Empirical Analysis of Swedish Men,” Carnegie-Rochester Conference Series on Public Policy 37, 239-277.

Kakwani, N.C. (1977). “Measurement of Tax Progressivity: An International Comparison,”

Economic Journal 87, 71-80.

Lambert, P. J. (2001). The Distribution and Redistribution of Incom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rd edition.

MaCurdy, T., et al. (1990). “Assessing Empirical Approaches for Analyzing Taxes and Labor Supply,” Journal of Human Resources 25(3), 415-490.

Meerman, J. (1979). Public Spending in Malaysia: Who Benefits and Wh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Musgrave, R.A. and T. Thin (1948). “Income tax progression 1929-48,”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56, 498-514.

Orcutt, Guy H. (1957), “A New Type of Socio-economic System,”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9(2), 116-123. also in International Journal of Microsimulation 1(1), 2007, 3-9.

O’Donoghue, Cathal (2012). Developing and Using Dynamic Micro-simulation Models for Public Policy Analysis, Teagasc

Plotnick, R. (1981). A Measure of Horizontal Inequity i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3, 283-288.

Reynolds, M. and E. Smolensky (1977). Public Expenditures, Taxes, and the Distribution of Income: The United States, 1950, 1961, 1970, Academic Press, New York.

Suits, D. (1977). “Measurement of Tax Progressivity,” American Economic Review 67, 747-752.

아동빈곤집단에 대한

문서에서 사회적 불평등과 정책적 대응 (페이지 3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