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진국의 제3섹터 생태계 구축 Ⅱ: 해외 제3섹터 기관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

문서에서 사회적 불평등과 정책적 대응 (페이지 80-84)

이철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4. 선진국의 제3섹터 생태계 구축 Ⅱ: 해외 제3섹터 기관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

본고에서는 국내외 제3섹터기관들의 경쟁력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3섹터 기반의 발전단계별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착수하였다. 만약 국내외 제3섹터 기관들의 경쟁력 차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 할 수 있다면 향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과제인 고용창출력 감소와 복지재정의 증가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3섹터 기관을 육성하는 방법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진은 1단계로 경영학의 비즈니스모델 관련 연구들과 가치사슬 연구, 그리고 기업수명주기모델 과 생태계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Bekkum(2001)의 협동조합 발전단계 모델을 근간 으로 가치사슬연구의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생산·유통-소비와 관련된 과정과 기업수명주기모델의 기업역량, 기업 생태계 요인 중 공공·유관부처, 경쟁자 등 시장 이해관계자를 고려하여 제품전략 및 개발, 제품 유통 및 생산, 시장 및 소비자, 기업의 내부역량 등 비즈니스 모델상의 4대 핵심전략 요 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수준을 각각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우선 가치사슬상의 최종 종착점인 시장 및 소비자의 경우, 조합원시장과 지역시장, 제한경쟁시장 (정부조달시장), 전국경쟁시장 등으로 나누었다. 보통 초기에 설립된 협동조합들은 조합원들의 복지 와 이익 확대에 목적을 두기 때문에 목표시장을 조합원 시장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조합원시장은 고정고객을 대상으로 한 캡티브마켓(captive market)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초기 협동조합이 자 생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후 경쟁력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조합원 확대 를 위해 지역경제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정부 및 공공시장 등 제한적 경쟁시장을 거쳐 일반기업과 경쟁하는 완전경쟁시장으로 진출하게 된다. 두 번째로 가치사슬 상의 출발점인 제품전략 및 개발의 경우에는 그 수준을 각 협동조합이 목표시장으로 삼는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초기 협동조합이 가 장 쉽게 생산해 낼 수 있는 필수재로부터 지역 또는 특정 시장에 한정된 틈새재, 그리고 카테고리 킬 러인 전문재와 모든 제품을 포괄하는 양판재로 구분하였다. 조합원 중심의 초기 협동조합은 협동조 합 설립 자체가 조합원들의 요구에 기반하여 문제점이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경우가 많아 가장 보 편적인 제품인 필수재를 생산하고, 어느 정도 품질이 안정화되고 난 다음에는 규모의 경제하에서 생 산된 잉여제품에 약간의 차별을 부여하여 지역의 일부시장에 판매하는 틈새재로 확대된다. 그리고 공공시장 등 제한된 경쟁시장에서는 전문성이 강조되는 만큼 전문재로 발전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전국시장 등 완전경쟁시장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고객들의 욕구를 맞추기 위해 각각의 차 별화된 제품을 모두 포함하는 양판재를 취급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가치사슬상의 생산 및 유통과 정의 경우에는 제3섹터 기관들이 자본 등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직접 전국적인 유통망을 구축하기 어렵다는 판단아래 사업연대 수준을 개별 협동조합 → 조합간 연대 → 지역간 연대 → 전국연대로 설정하였다. 협동조합은 읍‧면 단위의 촌락에서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가입되는 조합원의 규모는 외국의 사례를 참조하면 최소 3인~7인 정도로 소규모이다. 이후 개별협동조합은 설립 취지와 목적 에 따라 점차 연대범위를 넓혀가게 되는데, 일단 유사업종의 협동조합이 연계하는 조합간 연대를 추 진하게 된다. 간혹 유사업종 조합간에 상호 M&A 등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추진하지만 대부분 제품

의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와 다른 점은 사회재생 등 비영리사업에 종사하면서 영리사업의 병행 등 정 부의존도가 낮다는 점이다. 또한 공공사업 분야에서 자본에 의한 소수의 독재적 의사결정이 이루어 지는 주식회사 보다는 1인 1주에 의한 민주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협동조합 모델이 더 적합 하다고 판단했다. 실례로 이탈리아의 사회적협동조합을 벤치마킹한 한국의 사회적 협동조합은 주사 업 비중 중 60% 미만에 한해 영리사업을, 40%이상에 대해서는 비영리사업을 추진할 수 있고, 사업 으로 인한 이익발생시, 개인배당이 없는 대신 조합자산으로서 법정적립금을 30%이상 축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둘째는 제3섹터 기관이 담당해야할 사회서비스 산업군을 전략적으로 선택해 집중했 다는 점이다. 스웨덴의 경우 돌봄 및 재활영역을, 영국은 주택과 문화부문을, 프랑스는 돌봄과 환경·

먹거리를, 이탈리아는 돌봄과 영역부문을 제3섹터 기관들의 전략산업 군으로 활용하였다. 셋째는 각국 정부들이 제3섹터 기관들을 육성시키기 위하여 중간지원기관을 차별적으로 육성하였다는 점 이다. 중간지원기관이란 사업을 담당하는 제3섹터 기관들을 지원하여 사업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지 원기관들로서 자금조달, 경영컨설팅, 교육, 사업조성들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이탈리아와 프랑 스는 민간 연합회를, 스웨덴은 정부산하기관을, 영국은 영역별 비영리사업에 성공한 사회적 기업들 을 육성하였다. 넷째는 제3섹터기관들의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한 사업지원제도를 마련하였다는 점 이다. 스웨덴은 기관 운영비의 50% 지원을, 영국은 인건비 대신 사업 거점인 건물 등 자산이전을, 프랑스는 지자체가 조합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중이해관계자협동조합 제도를, 그리고 이탈리아는 소규모 협동조합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정부조달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마지막으 로 다섯째는 제3섹터 기관들에게 사회서비스사업에 대한 우선권을 부여했다는 점이다. 다만 프랑 스, 영국, 스웨덴은 돌봄·환경 등 사회서비스 일부만을, 반면에 이탈리아는 사회서비스 시장 전체를 위탁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림 4-14] 선진 4개국의 제3섹터를 통한 사회서비스 산업의 성공요인

4. 선진국의 제3섹터 생태계 구축 Ⅱ: 해외 제3섹터 기관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

본고에서는 국내외 제3섹터기관들의 경쟁력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3섹터 기반의 발전단계별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착수하였다. 만약 국내외 제3섹터 기관들의 경쟁력 차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 할 수 있다면 향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과제인 고용창출력 감소와 복지재정의 증가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3섹터 기관을 육성하는 방법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진은 1단계로 경영학의 비즈니스모델 관련 연구들과 가치사슬 연구, 그리고 기업수명주기모델 과 생태계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Bekkum(2001)의 협동조합 발전단계 모델을 근간 으로 가치사슬연구의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생산·유통-소비와 관련된 과정과 기업수명주기모델의 기업역량, 기업 생태계 요인 중 공공·유관부처, 경쟁자 등 시장 이해관계자를 고려하여 제품전략 및 개발, 제품 유통 및 생산, 시장 및 소비자, 기업의 내부역량 등 비즈니스 모델상의 4대 핵심전략 요 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수준을 각각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우선 가치사슬상의 최종 종착점인 시장 및 소비자의 경우, 조합원시장과 지역시장, 제한경쟁시장 (정부조달시장), 전국경쟁시장 등으로 나누었다. 보통 초기에 설립된 협동조합들은 조합원들의 복지 와 이익 확대에 목적을 두기 때문에 목표시장을 조합원 시장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조합원시장은 고정고객을 대상으로 한 캡티브마켓(captive market)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초기 협동조합이 자 생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후 경쟁력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조합원 확대 를 위해 지역경제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정부 및 공공시장 등 제한적 경쟁시장을 거쳐 일반기업과 경쟁하는 완전경쟁시장으로 진출하게 된다. 두 번째로 가치사슬 상의 출발점인 제품전략 및 개발의 경우에는 그 수준을 각 협동조합이 목표시장으로 삼는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초기 협동조합이 가 장 쉽게 생산해 낼 수 있는 필수재로부터 지역 또는 특정 시장에 한정된 틈새재, 그리고 카테고리 킬 러인 전문재와 모든 제품을 포괄하는 양판재로 구분하였다. 조합원 중심의 초기 협동조합은 협동조 합 설립 자체가 조합원들의 요구에 기반하여 문제점이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경우가 많아 가장 보 편적인 제품인 필수재를 생산하고, 어느 정도 품질이 안정화되고 난 다음에는 규모의 경제하에서 생 산된 잉여제품에 약간의 차별을 부여하여 지역의 일부시장에 판매하는 틈새재로 확대된다. 그리고 공공시장 등 제한된 경쟁시장에서는 전문성이 강조되는 만큼 전문재로 발전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전국시장 등 완전경쟁시장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고객들의 욕구를 맞추기 위해 각각의 차 별화된 제품을 모두 포함하는 양판재를 취급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가치사슬상의 생산 및 유통과

우선 가치사슬상의 최종 종착점인 시장 및 소비자의 경우, 조합원시장과 지역시장, 제한경쟁시장 (정부조달시장), 전국경쟁시장 등으로 나누었다. 보통 초기에 설립된 협동조합들은 조합원들의 복지 와 이익 확대에 목적을 두기 때문에 목표시장을 조합원 시장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조합원시장은 고정고객을 대상으로 한 캡티브마켓(captive market)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초기 협동조합이 자 생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후 경쟁력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조합원 확대 를 위해 지역경제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정부 및 공공시장 등 제한적 경쟁시장을 거쳐 일반기업과 경쟁하는 완전경쟁시장으로 진출하게 된다. 두 번째로 가치사슬 상의 출발점인 제품전략 및 개발의 경우에는 그 수준을 각 협동조합이 목표시장으로 삼는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초기 협동조합이 가 장 쉽게 생산해 낼 수 있는 필수재로부터 지역 또는 특정 시장에 한정된 틈새재, 그리고 카테고리 킬 러인 전문재와 모든 제품을 포괄하는 양판재로 구분하였다. 조합원 중심의 초기 협동조합은 협동조 합 설립 자체가 조합원들의 요구에 기반하여 문제점이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경우가 많아 가장 보 편적인 제품인 필수재를 생산하고, 어느 정도 품질이 안정화되고 난 다음에는 규모의 경제하에서 생 산된 잉여제품에 약간의 차별을 부여하여 지역의 일부시장에 판매하는 틈새재로 확대된다. 그리고 공공시장 등 제한된 경쟁시장에서는 전문성이 강조되는 만큼 전문재로 발전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전국시장 등 완전경쟁시장에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고객들의 욕구를 맞추기 위해 각각의 차 별화된 제품을 모두 포함하는 양판재를 취급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가치사슬상의 생산 및 유통과

문서에서 사회적 불평등과 정책적 대응 (페이지 8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