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연구의 배경

4. 시사점

□ 영국, 호주, 일본, 싱가포르 4개국 모두 임신, 출산시기부터 0~5세까지의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영유아기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정부의 재정지원 등이 확대되고 있음.

◦ 영국은 0~5세 영유아의 건강을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과를 검 증하고 있으며, 호주에서는 교직원의 권장 백신을 규정하여 질병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음.

◦ 일본과 싱가포르에서도 교직원의 예방접종과 관련된 규정을 제시하는 데, 싱가포르의 경우, 채용 전·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음.

□ 호주는 질병에 따른 최소 격리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아픈 유아의 증상을 확인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영유아가 심각한 질병에 감염될 가능성을 사전에 감지하여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임.

◦ 일본에서도 영유아의 질병의 주요 증상에 따른 대응 매뉴얼에 구체적 인 사항을 제시하고 있는데, 영유아의 증상에 따라 보육소 등원을 피해 야 하는 경우, 보육이 가능한 경우 등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을 제시하 고 있음.

◦ 싱가포르는 아픈 영유아에 대한 격리 규정이 잘 마련되어 있는데, 기본 적으로 열이 있거나 약물 처방을 받은 영유아에 대해서는 수업에 참여 하거나 출입하는 것이 금지되며, 열이 없는 경우에도 의사의 확인서가 있는 경우에만 출입하는 것이 허용됨.

◦ 한편 영국과 호주에서는 응급상황 발생 시 전문적인 대처를 위해서 기 관에 최소 1명이 응급처치 자격을 소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국가별로 위생 관리에 대한 규정과 세부 기준, 실내 환기 관련한 규정과 요구에 차이가 있음.

◦ 호주는 실내 환경 위생관리를 위해 공간별로 청소해야 하는 규정을 마 련하고 있으며, 공간별로 환기에 대한 요구사항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음.

◦ 일본도 영유아의 놀이도구의 청결을 위한 세척방법 등을 매뉴얼에 구 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서 교실의 환기 횟 수를 규정하고 있음.

◦ 싱가포르에서는 공기청정기나 공기여과기가 함께 설치되어 있는 공간 을 두도록 하여 호흡기 질환이 있는 영유아에게 문제가 생기는 일이 없도록 조치하고 있음.

1. 조사 개요

□ 본 연구의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의 일반적 배경은 아래의 <표 Ⅲ -1-1>와 같음.

◦ 유치원의 경우, 공립병설 37.2%, 사립사인 37.2%, 공립단설 13.2%, 사립 법인 12.5% 순이었으며, 원장의 연령은 29~39세가 36.9%로 가장 많았 으며, 경력은 11~20년 이하가 35.7%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함.

◦ 어린이집의 경우, 가정 31.2%, 민간 25.4%, 국공립 19.2%, 법인단체 등 6.6%, 직장 6.4%, 사회복지법인 6.2%, 협동 5.1% 순이었고, 응답자의 연 령은 40~49세가 45.3%로 가장 많았으며, 총 경력은 11~20년 이하가 61.

5%로 가장 많았음.

〈표 Ⅲ-1-1〉설문 조사 응답자 일반적 배경

단위: %(명)

유치원 어린이집

전체 100.0(409) 전체 100.0(808)

기관유형 비율 응답자 총 경력 비율 기관유형 비율 응답자 총 경력 비율

공립단설 13.2 10년 이하 24.7 국공립 19.2 10년 이하 17.9

공립병설 37.2 11~20년 이하 35.7 사회복지법인 6.2 11~20년 이하 61.5 사립법인 12.5 21~30년 이하 27.9 법인단체 등 6.6 21~30년 이하 17.6

사립사인 37.2 31년 이상 11.7 민간 25.4 31년 이상 3.0

가정 31.2

직장 6.4

협동 5.1

기관 정원 비율 응답자 연령 비율 기관 정원 비율 응답자 연령 비율

20명 미만 7.3 29~39세 36.9 20명 미만 17.8 29~39세 22.6 20~50명 미만 23.2 40~49세 35.0 20~50명 미만 45.2 40~49세 45.3 50~100명 미만 16.6 50~59세 26.4 50~100명 미만 26.4 50~59세 27.4 100~200명 미만 41.1 60세 이상 1.7 100~200명 미만 9.3 60세 이상 4.7

200명 이상 11.7 200명 이상 1.4

(표 Ⅲ-1-1 계속)

2. 영유아 및 교직원 건강관리

가. 영유아 건강관리

1) 영유아 건강검진 실시 및 확인

□ 영유아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을 취하고 있는지 질문한 결과, ‘부모가 제출한 건강검진 결과통보서로 확인’한다는 비율이 92.1%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유치원(97.8%)과 어린이집(89.2%) 모두 ‘부모가 제출한 건강검진 결과통 보서로 확인’하는 비율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의 경 우에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어 ‘보육통합정보시스템으로 확인’하는 비 율이 절반 이상으로 나타남.

〔그림 Ⅲ-2-1〕영유아 건강관리 방식(중복응답)

유치원 어린이집

현원 비율 기관 연면적 비율 현원 비율 기관 연면적 비율

40명 미만 30.1 400m2 미만 31.3 40명 미만 58.0 400m2 미만 72.3 41~100명 미만 25.7 400m2 이상 68.7 41~100명 미만 33.8 400m2 이상 27.7

100명 이상 44.3 100명 이상 8.2

2) 영유아 건강검진 도움 정도 및 요구

(표 Ⅲ-2-1 계속)

* p < .05

□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가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

◦ ‘영유아 건강과 직결되지 않는 검진항목이라서’라는 응답이 74.9%로 나 타났으며, ‘검사결과가 신뢰되지 않아서’가 20.9%로 나타남.

〔그림 Ⅲ-2-2〕영유아 건강검진 결과가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

□ 영유아 건강검진에 추가해야 할 필요가 있는 항목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알레르기 10.2%, 발달검사 6.7% 순으로 나타남.

◦ 그 외에도 혈액검사, 아토피, 결핵, 전염성질환, 특이체질검사, 영양상 태, 심장질환 등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됨.

구분

① 전혀 도움되지

않음

② 별로 도움되지

않음

③ 대체로 도움됨

④ 매우 도움됨

①+② ③+④ 계 사례수 평균

(점)

집 직장 0.0 23.1 59.6 17.3 23.1 76.9 100.0 ( 52) 2.94 협동 2.4 43.9 46.3 7.3 46.3 53.7 100.0 ( 41) 2.59

F 2.490*

〈표 Ⅲ-2-2〉추가가 필요한 건강검진 항목(오픈 응답)

◦ 어린이집 설립유형 중 직장어린이집을 제외한 모든 어린이집에서 ’정신

인하지 않음’이 12.0%, ‘기타’가 6.5%로 나타남.

◦ 유치원의 경우는 ‘확인하지 않음’의 비율이 35.2%로 비교적 높게 나타 났으며, 어린이집의 경우에는 보육통합정보시스템에 예방접종에 대한 정보가 있어 ‘시스템으로 확인’하는 비율이 75.6%로 상대적으로 높았음.

〔그림 Ⅲ-2-3〕영유아 예방접종상태 확인 방법(중복 응답)

□ 기관에서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미접종 영유아에 대하여 어떠 한 조치를 취하는지 질문함.

◦ ‘예방접종을 하도록 보호자에게 안내함’이 85.6%, ‘예방접종 사전안내 후, 접종 사실을 재확인함’이 38.9%, ‘별도로 조치하지 않음’이 5.2%로 나타남.

〔그림 Ⅲ-2-4〕미접종 영유아 조치 방법(중복 응답)

나. 교직원 건강관리

1) 교원 건강검진

□ 근무하는 교원의 건강검진 실시 주기에 대해 질문한 결과, 원장(77.5%), 원감(63.2%), 교사(76.8%) 모두 1년 주기로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기관유형별로는 유치원의 경우에는 1년과 2년의 비율이 각각 약 50%대 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어린이집의 경우에는 1년 주기로 실 시하고 있다는 비율이 약 90%대로 나타남.

◦ 유치원 설립유형별로는 공립단설과 공립병설의 경우는 2년 주기로 하 는 비율이 높은 반면, 사립법인과 사립사인은 1년 주기로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남.

◦ 읍면지역의 원감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규모에서 교원의 1년 주기로 건 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읍면지역의 경우 2년 주기로 교원의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대도시, 중소도시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음.

◦ 정원규모별로는 100명~200명 미만, 200명 이상의 기관의 경우, 2년 주 기로 교원의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남.

□ 기관에 근무하는 직원(조리사/영양사, 기타 직원)의 건강검진 주기에 대해 질문한 결과, 교원과 마찬가지로 조리사/영양사(79.0%), 직원(74.1%) 모두 1년 주기로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직원의 건강검진 주기는 기관유형, 설립유형, 지역규모, 정원규모에 따 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앞에서 살펴본 교원의 건강검진 주기 와 비슷한 양상을 보임.

◦ 기관유형별로는 유치원의 경우에는 1년의 비율이 50%대로 나타난 반 면, 어린이집의 경우에는 1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는 비율이 90%대로 높게 나타남.

◦ 유치원 설립유형별로는 공립단설에서 2년 주기로 하는 비율이 가장 높

은 반면, 사립법인과 사립사인은 1년 주기로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 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모든 지역규모에서 1년 주기로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 지만, 읍면지역의 경우 2년 주기로 직원의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대도시, 중소도시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음.

◦ 정원규모별로는 100명~200명 미만, 200명 이상의 기관의 경우, 다른 규 모의 기관에 비해 2년 주기로 교원의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비율이 비 교적 높게 나타남.

2) 교직원 결핵검사

□ 교원의 결핵검사 주기를 살펴보면, 원장(58.8%), 원감(54.1%), 교사(62.1%) 모두 1년 주기로 결핵검사를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기관유형별로는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에서 1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는 비율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 유치원 설립유형별로는 공립병설이 다른 설립유형보다 1년 주기로 실 시하고 있다는 비율이 비교적 낮게 나타남.

◦ 모든 지역규모에서 1년 주기로 결핵검사를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 지만, 대도시의 경우, 중소도시나 읍면지역 보다 1년 주기로 교원의 결 핵검사를 실시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직원의 결핵검사 주기를 살펴보면, 먼저 조리사/영양사(57.0%), 기타 직원 (54.1%) 모두 1년 주기로 결핵검사를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기관유형별로는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에서 1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는 비율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 유치원 설립유형별로는 사립법인과 사립사인에서 1년 주기로 직원의 결핵검사를 실시하고 있다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남.

□ 교직원의 결핵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질문한 결과, ‘신청/검 진 예정’이 24.2%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정교원만 지원대상이고, 교직원은 검진 해당사항이 없어서’가 18.1%,

‘검진에 대해 잘 몰라서’가 15.7%로 나타남.

〈표 Ⅲ-2-4〉교직원 결핵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이유(오픈 응답)

단위: %(명)

3) 교직원 전염성 질환 감염시 조치

□ 교직원이 전염성 질환(독감, 신종플루, 수족구, 결막염 등)에 감염되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어떠한 조치를 취하는지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 교직원이 전염성 질환(독감, 신종플루, 수족구, 결막염 등)에 감염되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어떠한 조치를 취하는지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