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장에서는 영국

,

프랑스

,

스웨덴

,

뉴질랜드

,

싱가포르의 공공기관 지정 및 분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

해외 주요국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결과

,

기관의 특성에 맞추어 공공기관을 지정하고 특정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공공기관 관리의 출발점이자 핵심이라는 것이다

.

공공기관을 어떻게 지정 하고 분류하는지는 공공기관을 관리하는 목적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

국가별로 차이가 있긴 하지만

,

대부분의 국가에서 공공기관의 지정과 분류는 통계적 목적과 관리적 목적으로 구분되어 진행되고 있다

.

통계적 목적의 지정과 분류는 국제회계기준에 맞추어 그 국가의 공공부문 통계를 작성하 기 위해 공공부문을 정의하고 분류한다

.

통계 목적의 경우

,

주로 통계담당 부서

(

통계청 등

)

에서 공공부문 통계를 산출하기 위해 공공부문을 지정 ‧ 분 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관리 목적의 지정과 분류는 그 국가의 공공기 관정책에 있어서 집중 관리의 대상이 되는 공공기관을 정의하고

,

관리의 목적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공기관을 유형화하여 차별화된 지배구조를 적

용하는 것으로서

,

실제 공공기관정책에 있어서 더욱 시사점이 크다고 볼 수 있다

.

해외 주요국의 사례에서는 관리의 목적으로 행해지는 공공기관의 지정 과 분류에 있어서 모든 국가에서 공통적인 기준은 찾기 힘들었다

.

이는 국 가별로 정치

,

경제 구조가 다르고

,

공공기관을 설립한 취지와 운영방식이 상이함에 기인하며

,

각 국가의 공공부문에 대한 정의와 분류가 다르기 때 문이다

.

그러나 어느 정도 공통적인 시사점은 찾을 수 있었다

.

첫째

,

관리 목적의 지정과 분류는 통계담당부서와는 별도로 공공기관을 소유 ‧ 관리하 는 부서

(

재무부 등

)

에서 주로 중앙정부에 소속된 공공기관

(

공기업

,

준정부 기관

)

을 대상으로 집중 관리할 공공기관을 지정하고 세부 유형 분류를 담 당하고 있었다

.

둘째

,

통계 목적으로 지정된 공공기관이 아니더라도 국가 적 중요성이 있는 경우

,

관리 목적상의 공공기관으로 지정 및 관리하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

그러나 반대로 통계 목적으로 지정된 공공기관이 관리목 적상의 공공기관으로 모두 지정되는 것은 아니었다

.

셋째

,

이 연구에서 살 펴본 해외 주요국의 경우 특히 국가경제에 영향력이 큰 주요 공기업에 대 해 별도로 소유권을 집중화하여 관리하는 담당부서가 존재하고 있다

.

넷 째

,

준정부의 분류기준은 국가별로 큰 차이가 있지만

공기업에 해당되지 않으며 정부기능을 대신 수행한다

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

다섯째

,

준 정부 기관의 소유와 관리는 별도의 관리기관이 있는 뉴질랜드를 제외하고 는 주로 해당업무를 담당하는 주무부처에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이는 준정부 기관의 업무 특성상 정부부처와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고 준 정부기관 간의 공통적인 관리 목표나 성과가 상이하여 공통의 관리방식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

해외 주요국에서 공공부문을 정의하는 기준은

<

표 Ⅲ

-18>

에서 보는 것 처럼 각기 다른 기준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영국의 경우 민간부문 과 구분되는 공공부문의 판단 기준으로 기관의 통제력이 정부기관에 있는 지를 적용하였다

.

싱가포르도 공공부문의 기준으로 정부의 지분소유 비율

을 들고 있는데

,

이것 역시도 정부가 공공기관에 지분소유를 통해 통제력 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스웨덴의 경우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거나 공공요금을 받는 기관을 공공부문으로 정의하고 있고

,

이러한 재정 지원 역시도 공공부문을 정의하는 또 다른 공통 기준으로 활용 가능하다

.

뉴질랜드의 경우 기관의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지를 공공부문의 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

이는 공공기관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

국가별로 공공부문을 정의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국가 공공부문 정의 기준

영국 기관의 통제력이 정부기관 (중앙정부, 지방정부, NDPB, 공기업)에 있는가?

프랑스

--스웨덴 세금을 운영자금으로 사용하는 활동을 담당하는 기관 공공요금이나 사용료를 받아 운영하는 기관

뉴질랜드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가?

싱가포르 정부지분이 20%인 경우

<표 Ⅲ-18> 국가별 공공부문의 정의 기준

국가별로 적용하는 공공부문을 정의하는 기준의 공통점을 찾아보면 다 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

<

공공부문의 지정기준

>

◦기관의 의사결정에 대한 통제력이 정부에 있는 경우

◦정부의 재정지원

◦공공의 이익 추구

공공기관의 유형을 분류하는데 있어서는 사용되는 기준이 더욱 다양했 으며

,

공기업에 적용되는 기준은 비교적 명확했지만 그 외 준정부기관의 역할을 하는 공공기관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

영국 프랑스 스웨덴 뉴질랜드 싱가포르

<

공기업의 분류기준

>

◦ 기관의 자체수입 비율

◦ 국가의 지분소유비율 및 의사 결정력

◦ 경쟁시장에서의 상업 활동 여부

◦ 수익성의 추구

공기업으로 분류된 후

,

공기업의 세부유형을 구분하는 데 있어서 공기업 이 추구하는 상업성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거나 공기업이 적용받는 근거법

(

공법

,

상법

,

특별법 등

)

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가 많았다

.

스웨덴과 뉴질랜 드의 경우 공기업의 세부 유형 분류에 있어서 기관이 추구하는 목적의 상 업성 정도에 따라 공기업을 분류하고 있다

.

이 기준에 따라 공기업은 순수 하게 상업성을 추구하는 공기업과 순수하게 상업성을 추구하기 어려운 공 기업으로 구분된다

.

공기업이 추구하는 상업성의 정도나 근거법에 따라 공 기업을 분류하게 되면 공기업의 유형별로 목표활동이 명확해진다

.

따라서 그에 해당하는 성과목표의 수립과 차별화된 관리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더 욱 용이해짐을 알 수 있다

.

공기업뿐만 아니라 전체 공공기관을 분류하는 데 있어서도 기관이 수행 하는 업무의 성격과 추구하는 수익성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은 유형별 로 차별화된 성과목표를 수립 ‧ 관리하는 것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

뉴질랜 드의 경우 순수하게 상업성을 추구하는 공기업

(SOE)

은 수익성을 높이는 것을 기관의 성과목표로 하고 있으며

,

반면 준정부기관

(Crown Entities)

의 경우 주어진 정부재원을 충분히 사용하여 할당된 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성과 목표로 하고 있다

.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

준정부 기관의 역할 을 하는 공공기관의 경우

,

국가마다 지정하는 범위와 방식이 제각각이어서 공통의 기준을 발견하기는 힘들었다

.

그러나 공기업의 조건에서 제외되고 정부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공통점이 있었다

.

준정부기관

의 세부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은 기관의 기능수행 범위와 인력충원 방식

,

재정운영 방법

(

영국

)

과 정부로부터의 독립성 여부

(

뉴질랜드

)

등이 사용되 고 있었다

.

해외 주요국의 사례는 공공기관의 관리에 있어서 유형별로 지배구조와 공공기관 관리의 포커스와 관리방식이 크게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

공공 기관을 지정 ‧ 분류하는 목적을 명확히 하고

,

목적에 따른 차별화된 성과관 리와 지배구조의 적용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

수익성이라는 공통 목 표를 추구하는 시장형 공기업의 경우 소유와 관리가 집중화되어

,

기관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더불어 관리의 효율성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가경제에 중요성이 크고 시장형 업무를 수행 하는 주요 공기업에 대한 관리와 소유권을 집중화하여 담당하는 전담부서 가 존재했다

.

이 전담부서에서는 기관에 대한 통제의 강화보다는 자문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60

여개 미만의 소수의 공기 업만을 대상으로 함에 따라 각 기관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와 자문이 가능 했다

.

해외 주요국의 경우

,

정부업무를 수행하는 준정부기관에 해당하는 공공기관은 주무부처의 책임하에 분산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

뉴질랜드의 경우 준정부기관을 전담하는 부서가 별도로 있었지만 그 외의 국가에서는 주무부처에서 관할을 하고 있다

.

이는 준정부기관이 수행하는 업무의 연속 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 구조라고 볼 수 있다

.

Ⅳ . 현행 공공기관 지정 및 유형화 방식

1. 종전의 공공기관 지정 및 유형화 제도 가. 정부투자기관

정부투자기관이란 개념이 최초로 법률로써 정의된 것은

1962

년 「정부투 자기관예산회계법

(’63.1.1

시행

)

」의 제정에서 비롯한다

.

동법은 정부투자 기관의 예산 및 회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정부투자기관의 합리적 인 운영과 독립채산제의 확립을 기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

동법에 따른 관 리대상은 정부가 자본금의

5

할 이상을 출자한 정부투자기관과 귀속재산 중 그 재산의

5

할 이상이 정부에 귀속된 기업체 등의 기관44)이다

.

정부투 자기관에 대한 법률적 관리체계는

1973

3

월 시행된 「정부투자기관관리 법」을 통해 체계화되었으며 이후 정부투자기관관리법은 「정부투자기관관 리기본법」으로 개편된다

.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의 전신인 정부투자기관관리법은 정부투자기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의 전신인 정부투자기관관리법은 정부투자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