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토대로 연구의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과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축구 동호회원이면서 축구 경기에 참석하지 못한 회원들은 제외되었다. 참석하지 못한 이유가 심각한 스포츠 손상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므 로 비참석자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축구 동호인들을 사회 인구학적 특성(연령과 경력, 직업), 일반적 특성, 축구 전문 지식(전문 지도와 축구 규칙 인지)으로 나누어 스포츠 손상 상황과 손상 유형을 분석하였으나 조사 대상자의 환경적, 심리적 변인들에 대해서는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보완된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축구 동호인들의 축구 활동에 있어 손상 상황(원인, 처치, 손상 후 상태)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였으나 스포츠 손상의 병리적인 접근이 미흡 하였고 스포츠 손상 후 재활 치료에 관한 접목이 요구된다.

넷째, 스포츠 손상 예방에 관해 조사 대상자를 실험 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손 상 예방 프로그램을 교육한 후 교육의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스포츠 손상과 예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축구 동호인들과 전문 선수들과의 손상 역학에 관한 차이를 다각적으로 조사 분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참 고 문 헌

강태욱 (2002). 초등학교 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대한 조사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훈 (2001). 국가대표 축구선수와 대학선수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고병한 (2000). 생활체육 축구회원의 실태 및 참여효과 비교분석 연구. 경기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구, 한석두 (1996). 스포츠 상해 및 처치. 원광대학교 출판국.

김명진 (2004) 축구와 태권도 선수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정(2004). 프로농구선수의 스포츠 손상에 관한 조사, 단국대 스포츠과학대학원 김성복 (1994).

성격요인이 축구선수의 상해발생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 스포

츠과학연구 제94권 제1호: 185~98.

김성호(2001). 축구선수의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승철, 신동성(1992). 기능수준과 포지션에 따른 축구선수들의 심리적 요인 비 교, 한국스포츠 심리학회,3(2) p.86~95

김진수(2006). 축구선수의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장환, 박순택, 박진기 (2004).

축구동호회 참여가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생

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5권. 제4호: 1199~1208.

김정수, 최언회, 최은규 (1999).

축구선수의 생활 스트레스와 스포츠 상해의 관 계; 성취목표 성향과 대처 기술의 결합 중재 효과,

대한스포츠 의학회지.

제17권. 제2호. : 395~405.

김종대 (2006). 축구선수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종천 (2005). 생활 축구 동호인들의 포지션별 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창학 (1992). 축구선수의 스포츠 상해와 위치(position)의 비교연구. 조선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김현태 (2001). 경기 후 피로회복 방법에 따른 혈액성분 및 전해질 농도 변화에 관 한 연구 (스포츠 맛사지 및 향기요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희상 (2003).

축구경기의 손상 예방과 재활치료,

대한의사협회: 930~37.

길창호 (2003). 고교축구선수들의 포지션별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영무외 3인 (2002).

한국스포츠 선수의 손상시 문제점과 관리,

인제의학 제 23권 제1호: 97~106.

대한스포츠의학회 (2001). 스포츠의학. 도서출판 의학출판사.

류원용 (2001).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문재호, 나은주, 조강희 (2001). 재활의 원칙, 스포츠의학. 대한스포츠의학회.

민영선 (2004). 일개 대학 신입생들의 입학 2개월간 안전사고 발생 실태. 동국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박갑홍 (2005). 축구동호인의 스포츠 상해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지역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학과 석사학위논문.

박래규 (1985). 축구선수의 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박래인 (2003). 초등학교 축구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미경 (2002).

스포츠 손상 재활에 있어서의 심리,

인제의학. 제23권. 제4호:

277~80.

박재영 (2004). 생활체육참가자의 심리적 요인이 운동상해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정규 (2006). 프로축구선수의 상해경험이 스포츠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구 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학원(1986). 축구선수들의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방현창(2005). 생활체육축구동호인의 운동상해에 관한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변일우, 최영근 (1987).

“축구 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체육학 논문

제15집: 63~9.

서일한 (1998). 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 유형 및 요인분석 (중・고 중심). 경희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재동 (2005). 중・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포지션별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생활체육지도자연수원 (1999). 생활체육 3급 지도자 연수교재.

스포츠의학(1992). 스포츠상해와 부위비교 연구

오광훈 (2004). 생활체육 축구동호인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진명 (2004). 생활축구 동호인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 연구. 군산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선호(2006). 중・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강원 (2001). 중학교 축구선수들의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성룡 (1999). 남・여 고교 축구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 연구. 군산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태, 최병욱 (2005).

조기 축구선수의 손상 예방에 관한 연구,

대한스포츠 물리치료학회 제1권: 25~29.

이승원 (2005).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일 (1994). 운동상해 발생 및 예방에 관한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영식 (1993). 축구선수들의 스포츠 상해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임번창 (1991).

생활체육의 개면 및 필요성,

스포츠과학 연구회 제36호: 21~9.

장해상 (2002). 초・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상해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진우 외 2 (1996). 스포츠 물리치료학. 대학서림.

정태섭 (1998).

스포츠 상해와 예방,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권 제2호: 65~8.

정홍근, 안진우 (2004).

대학 운동선수들에서의 족부 및 족관절 부위의 스포츠 손상에 대한 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89~93.

진장상곤 (1990). 축구선수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체육총서 편찬위원회 (1980). 스포츠의학. 체육총서.

최창준 (2003). 초등학교 축구선수들의 운동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군산대학교 체 육과학연구센터 논문집 제15권

최춘길 (1992). 운동 상해의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최철순 (1985). 축구선수의 외상에 관한 조사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학위논문 통계청 (2007). 한국 표준 직업분류. 통계청 고시

하권익 (1985).

스포츠 외상의 예방,

대한스포츠 의학회지. 3 (2): 64~8.

하봉수 (2002). 축구선수의 운동 상해에 관한 조사 연구 (중・고교를 중심으로). 경 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89). 스포츠과학개론. 한국체육대학교.

한건수 (2002). 처방사례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영일, 박준희 (2003).

축구 동호회 활동 참가자들의 정서 상태와 여가만족과 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4권. 제4호: 841~50.

허천, 장세원, 정우진 (1988).

축구선수들의 상해에 관한 조사 연구 (강원도 중・고・

대학선수 중심으로),

강릉대학 자연과학논문집. 제4권. 제2호: 114~31.

현문호 (2004). 축구선수의 손상 분석 및 치료. 조선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Adrian M.J. (1985). Sports Biomechanics: Its Contribution to the

Astrid Junge 외 5 (2000).

Psychological and Sport-Specific Characteristics of Football Player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28, No. 5: 22-8.

Cromwell F 외 2 (2000).

A Pilot Study Examining Injuries in Elite Gaelic Footballers.

Br J Sports Med. 34: 104-8.

David C. Schwebel 외 2 (2007).

Brief Report: Bebavioral Risk Factors for Youth Soccer (football),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2 (4):

411-6.

Ekstrand J. & Gillquist J. (1982).

The frequency of male tightness injuries in soccer,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10: 75-8.

(1983).

“Soccer injuries and their mechanisms: a prospective

study,” Med Science Sports Exercise. vol.15: 267-70.

Ekstrand J. Gillquist J. Liljedahl S. O. (1983).

“Prevention of soccer

injuries: Supervision by doctor and physiotherapist,” Am J Sports Med. vol. 11: 116-20.

Giza E. Michlei Lyle J. (2005).

Soccer Injuries,

Med Sport Sci. vol. 49:

140-169.

Leanne Sheen (2002).

Developing an Objective Srtuctured Clinical Examination for Ambulance Paramedic Education,

The Journal of Health Science: 1-6.

Mayhew J. & Wenger L. (1995).

Muscular endurance repetitions to predict bench press strength in men of different training levels,”

Sports Med Phys Fitness, June. 35 (2): 108-13.

Melissa A Schiff (2006).

Soccer Injuries in Female Youth Playe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0: 369-71.

Pertersen L. et al (1985). Sports Injuries, their Prevention and Treatment.

Input Typesetting Ltd.

Victorian Trauma Foundation (2004). Do Simulations in pre-Hospital Trauma Care Education Programs or Student Ambulance and MICA Paramedics Result in Reduced Management and Technique Errors? Monash University.

Wolpa M.E. (1981). Sports Medicine Guide. K. B. H. Production.

New Zealand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ACC Sport Smart 10-point action for sports injury prevention.

Available from URL;//www.acc.co.nz/sportsmart

[ 부 록 ]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지는 조기축구회 동호인들의 축구 경기 중 일어날 수 있는 손상에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스포츠 손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여 경기력 향상과 안전한 경기 수행을 통해 스포츠의 보다 폭 넓은 일반화, 대중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본 조사의 연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조기 축구 회원 여러분의 솔직한 답변과 정성스런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연구자에게 귀한 시간을 할애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본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리며 한 문항도 빠짐없이 응답해 주시면 연구 자료에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8년 5월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안전보건학과

이 현 범 H/P 010-2019-4200

Ⅰ. 일반적 문항

10. 2007년 내에 스포츠 손상이 있었다면 손상 경험의 횟수는? ( 회)

14. 시설 장비 결함 때문이라면 해당 사항이 무엇이라고

21. 경기 중 스포츠 손상 경험 시간은 언제입니까?

① 전반 경기 시작 15분 이내 ② 전반 경기 시작 후 15~30분 이내 ③ 전반 경기 시작 후 30~전반 경기 종료 ④ 후반 경기 시작~15분

⑤ 후반 경기 시작 후15~30분 이내 ⑥ 후반 경기 시작 후 30~경기 종료

22. 각자의 손상 횟수별로 다친 유형을 기재해 주세요.

① 골절 ② 타박상 ③ 염 좌 ④ 탈 구 ⑤ 근육 경련(쥐) ⑥ 찰과상 ⑦ 발톱 빠짐 ⑧ 기 타 ( )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23. 다음 중 어떤 상황일 때 손상이 발생했습니까?

① 슈팅 할 때 ② 드리블 할 때

③ 태클 할 때 ④ 기타 ( )

24. 손상을 입었을 때 응급처치는 누가 했습니까?

31. 손상을 입은 후에 현재 후유증을 느끼는 정도는 어떠십니까?

① 아주 많이 느낌 ② 많이 느낌 ③ 가끔 느낌 ④ 조금 느낌 ⑤ 전혀 느끼지 않음

32. 손상을 입은 후 운동을 계속할지에 대한 상황판단은 누가 했습니까?

① 의사의 판단 ② 지도자의 판단 ③ 동호인의 판단

① 의사의 판단 ② 지도자의 판단 ③ 동호인의 판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