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문제 제기

세계적으로는 경제의 세계화(economicglobalization)와 기술의 발달,국내적으로는 지방자치제의 강화는 지역간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다.인적·물적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운 환경이 조성되고,이를 유치하려는 지역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한편,기술의 발달은 마케팅 행동의 다양성을 가져다 준 반면 제품과 시장의 표준화를 초래하여 기능적 동질 성을 초래하였다.결과적으로 이러한 환경변화는 경쟁관계에 있는 대부분의 관광목적지들 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시설적 차이를 통해서 차별화와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노력의 효력에 대한 의문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1)

관광목적지 브랜딩(destination branding)은 이와 같은 현실적 상황을 반영하여 관 광목적지의 차별화와 경쟁력의 확보란 측면에서 관광목적지 마케팅에 있어 새롭게 주목 받는 주제로 대두되고 있다.2)이것은 관광목적지 브랜딩이 관광목적지를 차별화하고 경 쟁력을 가진 지역의 차별적인 특성을 로고 등 구체적인 수단을 통해 실현가능하게 하고, 이들을 다양한 정책수단과 연결하여 궁극적으로는 지역의 가치를 통합적으로 표출할 수 있게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3)

사실 브랜드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부터 제품 및 서비스 분야에서 이론적‧실무적으 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 왔다.브랜드(brand)란 판매자 혹은 일단의 판매자들의 상품이 나 서비스를 식별시키고 경쟁자와 차별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독특한 이름이나 상징물

1)Hankinson,G.(2004).Relationalnetwork brands:Towardsaconceptualmodelofplace brands.JournalofVacation Marketing,10(2).pp.109-121.

2) Shane, R.C. & L.J. Wood.(1999). Brand Western Australia: A Totally integrated approach to destination branding,JournalofVacation Marketing,5,(3),pp.276-289;

Morgan,N.,Pritchard,A.,& R.Piggott(2002).Destination branding: Creating the unique destination proposition, Oxford: Elsevier.; Konecnik, M., & W.C.

Gartner.(2007). Customer-based brand equity for a destination.Annals of Tourism Research,34(2),pp.400-421.

3) Cai, L.A.(2002). Cooperative branding for rural destinations.Annals of Tourism Research,25,pp.720-742.

(로고,상표,슬로건,디자인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소비자의 감성적이고 주관적인 근 거에 따라서 평가되는 개념이다.4)브랜드 경영적 관점에 따르면 소비자는 합리적․이성 적으로 가격에 대한 가치개념이 반영된 ‘평범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로고,상 표,슬로건,디자인 등에 의해 상품의 차별적 특성이 강조된 ‘브랜드화된 제품(branded products)’을 구매하는 것으로 본다.5)

따라서 브랜드는 하나의 제품이지만 여기에 경쟁제품과 어떤 식으로든 차별화시키기 위해 다른 경쟁요소를 부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브랜드는 이를 통해 제품간의 차이점을 인식하게 만들고 충성고객층을 형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재무적인 이익을 가져 다 주기 때문에 기업이나 조직에서 중요한 ‘무형자산’으로 취급된다.6)무형자산으로서의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자산(brand equity)’으로 개념화된다.7)Aaker에 의해 최초로 개념화된 ‘브랜드 자산’개념은 브랜드 경영의 핵심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되고 있다.하지만 기존 관련 연구를 크게 분류하면,브랜드의 화폐적 가치와 관련한 재무적 관점과 소비자의 기억에 근거하고 있는 소비자-마케팅적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 는데, 브랜드 자산에 접근한 연구자들 가운데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브랜드 자산을 Aaker와 유사하게 개념화하고 소비자-마케팅적 관점에 기반한 브랜드 자산을 브랜드 자 산을 말하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브랜드 자산의 개념화와 마찬가지로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의 개념화에 있어서도 브랜드 인지도,브랜드 이미지,지각된 품질,브랜드 태도 등 다양한 요소 차원을 고려하고 있다.이처럼 브랜드 자산 개념은 보다 구체적인 개념인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점과 이와 같은 요소는 브랜드명,로고,슬로건 등을 활용하여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전술적 활용 면에서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한편,이미지 개념은 관광목적지의 마케팅에 있어 핵심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하

4)Aaker,D.A.(1992).The valuesofbrand equity.JournalofBusinessStrategy,13(4), pp.29-32.

5) Keller,K.L.(1998).Strategic brand management,Prentice Hall,이상민․김준석․최윤희 역,『브랜드 매니지먼트』,2007,서울:비즈니스 북스.

6) Aaker,D.A.(1991).Managing brand equity : Capitalizing on the value ofa brand name,TheFreePress,이상민․브랜드컴퍼니 역,『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경영』.2006,서울:

비즈니스 북스.

7)Aaker,D.A.(1991).전게서.

지만 기존 관광목적지 이미지 기반 접근방법은 방법론적으로 소비자에게 분명히 나타나 는 이미지를 이끌어내기 보다는 통계적 분석에 과도하게 의지하고 있고,빠르게 변화하는 관광환경 속에서 가변적인 관광객들의 의식 및 사회구조를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한계 등 의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8)즉,오늘날 대부분의 관광목적지는 점차 시설적 차이가 감소하고 있고,관광목적지 간에 대체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따라서 다른 경쟁 관광목적 지와 차별화할 수 있는 요소로서 이미지라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장소상품으로서 관광목적지의 가치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적 관리도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관광목적지 마케팅에 있어 로고,슬로건 등의 실천도구를 활용할 수 있 는 브랜드 경영적 관점은 이미지 기반 관점에 비해 보다 구체적이고 전략적이라 볼 수 있다.9)즉,관광목적지 브랜딩 개념의 이점은 이미지와는 달리 속성,그리고 속성이 제 공하는 가치인 브랜드 자산(brandequity)개념을 내포하고 있고,이로 인해 기존의 관 광 연구에서 목적지 이미지에서 명확하게 정리하고 있지 않는 개념인 속성,이익,가치선 택에 대한 보다 더 정교한 설명을 가능하게 해준다.10)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하에 지금까지 관광목적지 이미지 영역과 관광목적지 브랜 드 영역이 각각의 영역에 한정된 주제 하에서 제각각 그 관계를 주변적이고 피상적으로 다루고 있는 관광연구에서 이들 두 주제 영역이 서로를 어떻게 수용하고 다루고 있는지 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관광목적지 브랜드에 대한 논의는 강력한 브랜드가 보다 호의적인 태도와 편익을 이 끌어냄으로써 관광목적지의 선호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방문객(또는 재방문객)을 증가 시키는 긍정적인 마케팅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11)강력한 브랜드를 형 성하기 위해서는 관광목적지에 대한 호의적인 브랜드 자산 창출이 필요하다.이런 맥락에

8) Selby,M.(2004).Understanding urban tourism: image,culture and experience,I.B.

Tauris,pp.16-18.

9)Cai,L.A.(2002).op.cit..

10) Chalip,L.& C.A.Costa.(2005).Sport event tourism and the destination brand:

towardsageneraltheory.Sportsin Society,8(2),pp.218-237.

11) Hoeffler, S., & K.L. Keller(2003). The marketing advantage of strong brands.

JournalofBrandManagement,10(6),pp.421-445.

서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과 관광목적지 선호도와 충성도의 관계의 실증적 검증과 이에 근거한 전략적 시사점 모색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다시 말해서,브랜드는 상품 자체를 상징하는 기호의 총체로서 그 상품 카테고리를 초월한 의미를 표출하여 기능성과 함께 상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와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한다.이런 지속적 관 계는 관광목적지 관련 전략에서 대표적으로 관광목적지 선호도와 충성도와 관련된 연구 가 현재까지도 진행되고 있다.따라서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관광 목적지 선호도 및 충성도와 관련한 연구는 서로 통합적이고 구조적 관점에서 고찰될 필 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이와 같은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과 충성도 및 선호도와의 관계의 실질적 논의 는 구체적인 브랜드 전략으로 제시될 수 있는데,이때 구체적인 브랜드 전략은 반드시 그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의 실제적인 형성주체인 관광객의 세분시장별 특징에 따라서 구 축될 때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브랜딩 전략에 있어서 다양한 소비자 유형을 인지하 고 고려하는 것은 브랜드 자산관리를 위해 중요하기 때문이다.12)즉,세분시장의 특정한 지식과 행동을 반영한 마케팅 프로그램을 신중하게 실행함으로써 브랜드 자산은 구축되 고 강화된다.

본 연구는 이런 관점에서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과 관광목적지 선호도 및 충성도의 관계를 검증하고,이를 세분시장 별 특징에 따라서 어떤 관계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 로써 관광목적지의 브랜딩 전략에 효과적인 정책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의 틀을 제안하고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12)Keller,K.L.(1998).전게서,pp.90-91.

2.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브랜드와 관련된 전반적인 개념체계에 대한 이론연구를 통해 관광목적지 브랜 드,선호도,충성도의 관계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정립한다.이것은 기존 관광목적지 브랜 드 관련 논의가 이미지나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에 국한된 점을 어떤 지점에서 연계하고, 어떤 점에서 차별적으로 이론연구의 확장을 시도했는지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의미 한다.

둘째,그동안 개별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과 관광목적지 선호 도,충성도를 종합적이고 구조적으로 고려하는 연구모델을 개발한다.그리고 이 연구모델 이 실질적으로 관광목적지 브랜딩 전략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세분시장의 특성 에 따라 이들 관계의 차이를 검증할 수 있는 확장된 연구모델을 제시한다.

둘째,그동안 개별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과 관광목적지 선호 도,충성도를 종합적이고 구조적으로 고려하는 연구모델을 개발한다.그리고 이 연구모델 이 실질적으로 관광목적지 브랜딩 전략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세분시장의 특성 에 따라 이들 관계의 차이를 검증할 수 있는 확장된 연구모델을 제시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