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인학습자들에 대한 요구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51)

대금 입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대금 입문 프로 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요구조사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들은 현재 대금을 배우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 70부를 문화 복 지 시설인 빛고을 국악 전수관, 사단법인 내 벗소리 민족예술단, 그리고 광주가톨 릭대학교 평생교육원, 신세계 백화점 문화센터, 개인레슨, 사설학원, 여민락 다음 카페에 배포하여 64부를 회수하여 회수율이 91.4%이었다.

배경변인 내용 응답자(명) 비율

성별 남자 50 78.1

여자 14 21.9

연령

20대 2 3.1

30대 8 12.5

40대 22 34.4

50대 이상 31 48.4

무응답 1 1.6

학력

고졸이하 7 10.9

대졸(또는 전문대졸) 36 56.3

대학원 이상 20 31.3

무응답 1 1.6

월 소득

100만원 미만 9 14.1

100만원-200만원 미만 7 10.9

200만원-300만원 미만 10 15.6

300만 원 이상 33 51.6

무응답 5 7.8

가. 연구 참여자의 배경

요구조사에 응한 성인의 성별은 응답자 중 남자는 50명(78.1%), 여자는 14명 (21.9%)으로 남자가 현저하게 많았다. 연령대는 20대가 2명(3.1%), 30대가 8명 (12.5%), 40대가(34.4%), 50대 이상이 31명(48.4%)으로 연령대가 젊은 층보다 40대 이상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또, 학력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대졸(전문대졸 포함) 이 상 이었으며, 월수입은 300만원 이상이 비교적 많았다(표 2).

일반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SES, Social Economic status)가 높은 사람들일수록 전통음악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으며 이는 저소득‧저학력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공적 차원의 전통음악교육이 필요함을 드러낸다.

<표 2> 응답자의 배경변인 분석 (N=64)

직업

가정주부 7 10.9

경영-관리 1 1.6

사무직 8 12.5

상업 3 4.7

전문직 21 32.8

노무직 1 1.6

학생 1 1.6

기술직 4 6.3

종교인 2 3.1

기타 16 25.0

나. 연구 참여자의 전통음악교육 정도

(1)음악교육의 유무와 분야

첫 번째 문항인 “학교 졸업 후 음악교육 경험”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학교 졸업 이후 음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이 37명(57.8%)로 음악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높게 응답하였다. 졸업 후 음악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주 로 문화예술회관 등 문화 복지시설과 개인레슨 등을 이용하여 교육을 받았다. 음악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받은 교육내용을 분석해보면 악기연 주(92.3%)에 치우친 음악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초의 음악교육경험이 이후 지속적인 음악교육 참여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2)전통음악교육 경험의 유무와 분야

학교 재학 중에 전통음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이 12명(18.8%)에 불과하 였으며 전체의 81.2%는 학교 재학 중 전통음악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 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설문대상자의 연령대가 40대 이상이 다수임을 고려한 다면, 예전에 학교 교육에서 전통음악교육의 비중은 미약하였다고 생각된다. 학교

재학 중 전통음악교육을 받은 시기는 초등학교 3명, 중학교 1명, 고등학교 6명, 대 학교 3명으로 조사되었으며, 배운 내용을 분석해보면, 기악분야가 압도적으로 많았 다(표 3).

<표 3> 학교 재학 중 전통음악 교육을 받은 분야(복수 응답자 포함)

구분 응답개수(개) 비율(%)

가창 2 12.5

기악 12 75.0

감상 2 12.5

합계 16 100.0

학교 졸업 이후 전통음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43명(67.2%)로 재학시 절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학교졸업 후에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여유가 생기면서 자발적인 전통음악에 대한 배움의 욕구가 많아졌으리라 생각된다. 한편, 응답자의 32%는 전통음악교육을 전혀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졸업 후 전 통음악교육 장소”라는 질문에 대한 분포 및 차 검증 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4와 같으며, 비교적 다양한 분야를 고루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4).

<표 4> 졸업 후 전통음악 교육 장소(복수 응답자 포함)

구분 성 나이

남 여 20 30 40 50이상

교육경험 무 32.08 21.43 50.00 42.86 32.00 21.21 문화예술회관 등 문화 복지시설 30.19 57.14 50.00 14.29 24.00 45.45 백화점 문화센터 등 기업체산하 시설 7.55 0.00 0.0 14.29 4.00 6.06 대학부설 사회교육기관 3.77 0.00 0.0 14.29 4.00 6.06 사설학원 22.64 14.29 0.0 14.29 28.00 18.18 개인레슨 3.77 7.14 0.0 0.0 8.00 3.03

합계(N) 53 14 2 7 25 33

x2 4.9025 9.2104

df 5 15

p 0.4279 0.8663

학력 월 소득

고졸이하 대졸 계(N) (전문대포함)

대학원

이상 100만원

이하 100만원-200만원

200만원 300만원

-300만원

이상 무응답

12.50 38.89 21.74 11.11 0.00 25.00 41.18 66.67 28.36 62.50 27.78 39.13 66.67 85.71 16.67 23.53 0.00 34.33 12.50 5.56 4.35 11.11 0.00 0.00 5.88 33.33 5.97 0.00 0.00 8.70 0.00 0.00 0.00 5.88 0.00 5.97 12.50 25.00 17.39 11.11 14.29 50.00 17.65 0.00 20.90 0.00 2.78 8.70 0.0 0.00 8.33 2.88 0.00 4.48

8 36 23 9 7 12 34 3 67

11.3180 31.7323*

10 20

0.3333 0.0459

* p<0.05

졸업 후 전통음악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주로 문화예술회관 등 문화 복지 사설학원 등을 이용하여 교육을 받았다. 월 소득 수준에 따라 100만원 이하와 100~200만원 소득을 갖는 사람들은 주로 문화예술회관 등 문화 복지시설을 이용하 였으며, 200~300만원 소득을 갖는 사람들은 주로 사설학원, 300만원 이상 소득을 갖는 사람들은 문화예술회관 등 문화 복지 사설학원을 이용하였다. 이것은 월 소득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31.73235, p<.05). 그러나 성별 (x2=4.9025, p>.05)과 나이별(x2=9.2104, p>.05)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5> 졸업 후 전통음악 교육 내용(복수 응답자 포함)

구분 응답개수(개) 비율(%)

민요 5 8.6

사물놀이 7 12.1

가야금 2 3.4

단소 11 19.0

판소리 4 6.9

기타 악기 29 50.0

합계 58 100.0

위와 같은 대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배경을 확인해 본 결과, 대 체로 전통음악에 대해서는 학교교육을 통해서는 전혀 접해 보지 못한 경우가 많았 으며 성인이 되어서 참여한 경우는 거의 악기연주 경험에 한정되었다. 이들은 대체 로 월수입 300만원 이상이며 40대 이상의 남성들이 중심이 된 사회적으로 안정된 계층인 경우가 많았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