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4. 성교육의 필요성과 실태

1)성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성교육 개념의 사전적 의미는 성에 관한 과학적인 지식과 함께 관련된 사 회규범을 지도하는 것이다. 올바른 성교육은 왜곡된 성을 바로잡는 것이며 동시에 성의 창조적인 에너지를 올바르게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성교육은 우리 몸의 성적인 현상에 대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바르게 이 해하는 성지식, 권위적인 태도 등의 문제를 바르게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 실천하기 위한 성차별 극복을 위한 인간화 교육이라고 말 할 수 있다(유승 직, 2000).

최근에 학교, 가정, 사회단체 그리고 매스컴에서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청소년들의 성적 문제를 회피하기보다는 적 극적으로 수용해야 할 필요성을 낳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이 성에 대한 관심 이 높고 감수성이 예민하다는 것을 고려할 때 학교 교육에서 성의 문제를 회 피하는 것은 교육이 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다. 지금까지 청소 년들을 위한 성교육을 소극적으로 다루거나 회피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따 라서 청소년의 임신, 낙태, 성범죄 등이 사회 주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 으며 이러한 현실은 성을 학교교육의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교육적으로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과제가 되었음을 의미한다(김대용, 2003).

성에 대한 지식은 생리적 현상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지식이 사회적, 정서 적, 도덕적으로 보다 과학적으로 합리적인 방법으로 얻어져야 한다. 성에 대

한 올바른 지식이 있을 때 건전한 개인 생활,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사회적 문제발생도 줄어들 것으로 생각된다.

때문에 학생들에 대한 성교육은 그들의 신체와 생리적 변화에 따르는 문제 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뿐 아니라, 좀 더 적극적으로 건전한 성 윤리의 확립과 남녀 각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역할을 이해하고, 인간으로 서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성교육 실태

여기서는 중국의 성교육 실태와 외국의 성교육 실태를 개관하기로 한다.

중국의 학교 교육에서 청소년들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은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오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적극적인 지도 계획이나 교육 계획은 아직 까지도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 같다.

1980년대부터 ‘성 지식 편람’, ‘신혼 성 위생’, ‘성 의학’, ‘성 심리학’, ‘성 지 식수첩’이라는 책이 나오면서부터 성교육에 많은 관심을 돌리기 시작하였으 며 1988년에는 국가교육위원회와 계획생육위원회에서 연합하여 ꡒ중학교에서 청소년기 성교육을 실시할 데 관한 공문‘을 배부하였다. 따라서 부분 지역 학 교에서는 성교육을 하기 시작하였고 일부의 성, 시에서 ’청소년기 성교육ꡑ교 재와 지침서가 나왔다.

연변 지역의 성교육 실태를 살펴본다면 성에 대한 내용을 교육과정에서 거 의 취급하지 못하고 있으며, 관련된 내용을 학생 교과서에서 찾아보기 힘들 며 단지 청소년기 신체적 특징, 생리적 특징, 및 심리적 특징에 관한 약간의 내용들이 교사용 지침서에만 실려 있는 실태이다.

중국보다 훨씬 이전부터 성교육을 조직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외국의 경우 각 나라의 전통과 문화에 따라 교육의 방법을 달리 하고 있다. 나라별로 학 교 성교육의 실태를 살펴본다면 미국은 1989년부터 45개 주의 공립학교에서 성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권장하고 주 정부의 대부분은 성교육 추진 을 위해 법적 제도정비와 재정적 보조를 하고 있으며, 학교 성교육을 찬성하 는 비율이 70%를 넘고 있다(유승직, 2001). 일본도 ‘순결교육’을 중심으로 성 교육을 실시하던 데로부터 근래에는 ‘성교’ 부분을 가르쳐야 하는 것에 대해

시비가 일고 있으며, 고등학생용 에이즈예방에 관해서는 ‘콘돔을 바르게 사용 하면, 에이즈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라고 할 정도로 적극적인 성 교육으로 가고 있는 추세이다(고정자, 박은령, 2001). 스웨덴도 성의 해방을 실현한 성교육의 선진국으로서 1956년부터 7-15세에 성교육을 의무화하였으 며, 7-9세 때에는 남여간의 신체 구조상의 차이에서부터 남 여 신체의 작용, 성적 성숙, 성교, 출산 등을 배우고, 10-12세 때에는 사정, 월경, 자위, 피임 등을 배우고, 13-15세 때에는 성병과 가족계획이 첨가된다(유승직, 2001). 한 국도 1950년대부터 성교육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김현옥, 안창선, 1994), 1990년대부터 성교육이 학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는데(고정자, 박 은령, 2001) 2001년에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단계에 따라 성교육 지도 지침서가 나오고 중학교 과정에서 피임교육 내용을 대폭 강화해 피임의 목적 과 종류 및 낙태 문제를 다루고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피임의 종류와 원리, 장단점, 피임방법, 잘못된 피임지식, 피임 실패 원인 등까지 자세히 다루고 있다(김대용, 2003)

이와 함께 한국의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현재 한국 청소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성행동이나 성태도가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보다 이러한 내용이 중국 연 변 성교육 내용에 얼마나 충실하게 반영되었는가를 밝힘으로써 청소년 성교 육의 문제점 및 방향제시에 도움을 삼고자 한다.

이문희, 정옥분(1993)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학생(82%)이 성교육을 받은 적 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15.95%의 학생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성교육의 필요 한 이유는 ‘올바른 성 지식을 배우고 성 가치관을 정립하기 위해서 71%, 성 적 피해 예방을 위해서 9%, 원하는 성교육의 장소는 ‘학교에서 받고 싶다’

54%, ‘학교와 가정에서 모두 받고 싶다’ 23%, 성교육 실시 시간은 중학교 ‘입 학 후부터’ 44%, ‘초등학교 입학 후부터’ 37%,로 나타났다. 원하는 성교육 교 사로는 초빙강사(50%), 양호교사(19%), 관련교사(18%)로 나타났다. 유승직 (2001)의 연구에서는 64.1% 학생들이 성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78.1%가 성교육 과목의 개설을 희망하였으며 성교육의 지도는 전공교사가 담당해야 한다는 응답이 78.1% 나타났다. 강영삼 등(1997)의 조사에서는 고 등학생들 특히 남학생들은 이성교제에 대하여(48.0%), 성충동 유발요인 및

해소방법에 대하여(37.2%), 성에 관한 지식에 대하여(37.0%) 알고 싶다고 응 답한 반면 여학생은 41.0%가 이성교제, 35.5%가 성에 대한 가치관, 34.9%가 성에 대한 지식을 얻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미영(2002)의 연구에서 는 원하는 성교육 내용은 ‘몸의 발달과 변화’ 32.8%, 가장 높게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성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 20.6%, ‘피임, 임신, 낙태’ 12.6%, ‘음란 물’ 10.8%순으로 나타났다. 이창선, 안욱범(1996)의 조사에서는 성 경험은 이 미 초등학교 때 경험해 본 여고생이 12%나 되며, 여고생의 72.8%가 고교 진 학 전에 성경험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성경험의 동기는 ‘강제로’ 성경험을 했다는 반응이 44.8%, ‘상대방이 청에 못이여’가 17.1%, ‘타의에 의해서’가 61.9%이며 ‘자의에 의한 것’이 38.1%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모든 이론적 현실적 자료들은 청소년의 성문 제 의 중요성과 심각성, 그리고 성교육의 긴급성과 필요성을 밑받침하고 있 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