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 장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2.1 근대문학자료 DB 구축 관련 선행연구

국립중앙도서관은 본 연구의 선행연구라고 할 수 있는 국내 근대문학자료 소장 실태 조사를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년도(2014년)에는 조사의 대상 기간을 1894~1945년까지로 한정하고 이 기간에 발간된 근대문학 관련 단행본 등의 소장 현황 조사하였다. 2차년도(2015년)에는 대상기관을 확대하여 1945~1960년 사이의 문학 단행본 소장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추가적으로 1895~1945 년 사이에 식민지 시대 발간된 잡지 목록 322종 중 124종을 조사하였다. 3차년도 (2016년)에는 1894~1945년 사이에 발행된 종합잡지 및 기사색인, 매일신보 소장처 현황을 조사하였다. 자세한 조사 현황은 3장 국립중앙도서관 근대문학서비스 주요 성과 분석(<표 3-2>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년 국립중앙도서관은 근대문학자료 소장 실태 조사와 함께 근대문학 주제가 이드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홍현진 등(2014)은 근대문학분야를 중심 으로 한국문학분야 주제가이드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론적 검토, 국내·외 사례 분석, 이용자 요구 조사 등을 통해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의 방향을 수립하였으며, 근대문학과 관련한 작가 117명을 대상으로 총 24,405건의 근 대문학자료를 구축하였다. 이와 함께 근대문학 작가 117명에 대하여 본명, 호, 생몰 년(태어난 해와 죽은 해), 작가 소개, 주요 작품 등 인물정보를 구축하였다.

근대문학분야 주제가이드 연구(홍현진 등, 2014)의 후속 연구로 노영희 등(2016)은 1차 연구 대상저자 117명 중 75명에 대한 보완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신규 근대문학 대상 저자 413명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총 32,735건의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와 함께 근대문학 주제가이드 평가지표 67개 요소를 개발하였다. 또한 사례조사, 이용자 요구조사 등을 통해 근대문학분야 주제가이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2.2 도서관 근대문학서비스 관련 선행연구

근대문학자료 서비스 방안 개발을 위하여,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서비스 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크게 도서관의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과 중장기 계획, 도서관 특성화에 관한 연구에 관 한 연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가. 도서관의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도서관의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는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 공간에 대한 라키비움 적용에 관한 연구,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문학관 운영방안 연구, 지역 대표도서관 이용활성화 연구,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 공간에 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도서관계와 건축, 공 간디자인 분야 등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어 왔으며, 최근 첨단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요구 변화로 도서관, 미술관, 박물관, 기록관 등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포함한 복합공간의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다.

곽승진, 노영희, 신재민(2017)은 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위해 도서관 공간의 문제 로 제시된 미디어테크(mediatheque), 인포메이션 커먼스(information commons), 라키 비움(larchiveum)과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의 개념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래 도서관의 경우 독서와 정보, 학습, 휴식 커뮤니티 기 능뿐만 아니라 문화와 창작, 창업과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와 이용자, 이용자와 이용자, 이용자와 미디어를 연결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고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복합공간 플랫폼 건립을 제안하였다.

김유승(2012)은 국회도서관의 라키비움 도입과 관련하여 국회도서관과 국회기록보 존소, 헌정기념관의 통합적 발전전략으로 ‘국회 라키비움’ 수립에 대한 필요성과 조건을 분석하고 그 전망을 모색하였다.

또한 박옥남, 박희진(2017)은 국회도서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라키비움 운영모 델 기반으로 한 전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국내·외 의회도서관 및 기록관, 복합문화기관 등을 조사하였으며, GLAM 프로젝트의 사례 조사 등을 통해 국회도서관의 정체성에 부합되는 라키비움 기반 전시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문학진흥법(법률 제13961호, 2016.2.3. 제정, 2016.8.4. 시행)이 2015년 12월 31일 국회를 통과하면서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문학관도 라키비움 공간개념이 도입된 복합문화공간으로 구축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명호, 오삼균, 도슬기(2015)는 국내의 중요한 문화 기관 중의 하나인 문학관에 대한 자료 관리 실태, 전시 운영 실태, 운영 프로그램 실태와 같은 기능적 측면에서 의 조사를 통해 문학관 역시 복합문화공간에서 요구하는 기능적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위해서는 문학콘텐츠 구성이 중요하며, 라키비움 개념에 입각해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국립한국문학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살아있는 문학체험의 장 소로 기능하기 위해서 라키비움 공간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용자가 한 공 간에서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능동적으로 활용한다면 국립한국문학관의 기능도 확장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지역대표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와 이용활성화와 관련한 연구로 곽승진 등(2016) 은 충남대표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 및 활성화 전략 연구에서 어린이자료실, 전자 자료실, 메이커 스페이스, 전시실, 북카페 등 공간특성을 고려한 이용자 서비스 방 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용자 대상별 서비스와 백제학, 충청학 등 지역 특성을 반 영한 장서개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곽승진 등(2017)은 울산대표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인식조사 연구를 통해 울 산의 대표도서관인 울산도서관이 제공해야할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였다. 인식조사 는 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서 운영방향, 이용자 서비스 및 활성화 방안, 공공도서관간 협력체계 구축, 향후 이용에 대한 선호도 등을 조사하였 다.

최연진 등(2013)은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에서 국내 166개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사례와 현황을 조사하고 해당 계정을 직접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 담당자 40명과 이용자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으로 담당자를 위한 교육과 연구 기회 제공, 전담인력의 배치, 다양한 소셜 네 트워크 서비스의 제공, 이용자 모니터링 및 홍보 채널의 다양화, 이용자 참여 및 이 용교육을 제안하였다.

윤희윤(2014)은 도서관 자료서비스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자 료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도별 공공도서관의 핵심 인프라, 자료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이용실적, 핵심 인프라와 이용실적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 자료서비스의 현주소를 평가하였다.

나.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과 중장기 계획에 관한 연구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로는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 직 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품질 간의 관계 연구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응봉(2015)은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관련 국내·외 최신 연구동향과 서비 스 품질 평가 모형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국내의 선행 학술연구를 대상으 로 비판적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에서 적용한 비교·분석의 관점은 디지털도서관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 연구(2002~2007년)와 전반적인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2009~2014년)의 2단계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이응봉(2016)은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를 통 해 학술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국내·외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2010년 과 2011년에 각각 실시된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와 ‘전문대학도서관 시범 평 가’를 진단하고, 2015년 3월 27일 공포(법률 제13222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과 2015년 9월 28일 제정(대통령령 제26547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의 시행에 따른 향후 ‘대학도서관 평가’에 대해 전망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 준 개발에 있어서 참고하거나 적용 가능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김미진, 김기영(2015)은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공공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 스 품질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 10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 으로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LibQUAL+를 적용하여 도서관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만족 중 직무자체 요인과 조직요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도서관서비 스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담고 있는 실무적 함의 를 살펴보았다.

민윤경, 정동열(2016)은 전문도서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개선전략 수립 을 위해 전문도서관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와 성과인식을 분석하였

민윤경, 정동열(2016)은 전문도서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개선전략 수립 을 위해 전문도서관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와 성과인식을 분석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