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45)

OSB 에 관한 학술적 연구로는 해외 자료도 많지 않으며, 필리핀 해저유전 탐사회사인 PNOC 의 manager 인 Jose Allan R. Caringal 이 “Energy Offshore Supply Base”라는 제목으로 2012 년 6 월의 Conference 에서 발표한 자료는 OSB 의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나열하고 있다.

국내 연구들은 해양플랜트산업과 연계한 연구들이 주종을 이루는데, 제조업인 국내 해양플랜트산업의 연장선, 또는 지원산업으로서의 설치작업을 염두에 두고 있다.

국내 해양플랜트산업은 제작 및 건조를 제외하면 설계, 감리 및 서비스 부문의 경험 및 기술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선진 엔지니어링업체 및 전문서비스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외 엔지니어링업체가 주도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피동적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공정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며 (도현재 등, 2014; 홍석원 등, 2013;

박성재 등, 2010; 정웅태, 2012; 성홍근, 2014) 선체부문의 생산설계와 종합설계의 시공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술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Table 3 과 같다.

구분 기술항목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부족 다소

부족 동등 우월 보다

우월 선체

개념설계 O

기본설계 O

생산설계 O

계류시스템

개념설계 O

용량설계 O

성능평가 O

탑 사이드 플랜트

개념설계 O

기본설계 O

생산설계 O

적∙하역설비

개념설계 O

기본설계 O

생산설계 O

종합설계 및 생산

설계 O

조달 O

시공 O

운전 O

구분

타당성 조사 및 예비탐사

시추 및

평가 설계 건조 및

제작 운반 설치 및

시운전

운영 및 유지관리

한국 하 중 중 상 중 중 하

미국 상 상 상 중 상 상 상

일본 중 중 상 중 중 상 중

프랑스 상 상 상 중 중 상 중

영국 상 상 상 중 상 상 상

이탈리아 상 상 중 중 중 중 중

네덜란드 중 중 중 중 상 중 중

Table 3 해양플랜트 제작에 있어서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 수준

성홍근(2014)의 연구에서는 해양플랜트 가치사슬 단계별 역량을 토대로 국가 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Table 4 참조). 건조 및 제작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다른 국가들에 비해 중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당성조사 및 예비탐사와 운영 및 유지관리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국가별 해양플랜트 밸류 체인(Value-Chain) 단계별 역량

스위스 중 중 중 하 중 중 중

중국 하 하 중 중 중 중 중

브라질 중 중 중 하 하 중 중

인도 중 중 중 하 하 중 중

싱가폴 하 하 중 중 중 중 중

이러한 결과는 국내 여건상 경험이 부족했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한국의 설치 및 시운전 부문 기술 수준이 “중”인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설치 부문은 사실상 “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선박건조시장의 침체가 이어짐에 따라 국내 조선업계는 해양플랜트 수주의 확대를 통해 대체안을 마련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2013 년 기준 전체 매출액 대비 해양플랜트가 6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우조선 해양도 5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중공업의 경우 해양플랜트가 35.9%, 조선이 2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건조와 비교하면 해양플랜트는 수익률이 높지만,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이 요구된다. 또한 기본적인 설계 능력이 부족할 경우 손실규모도 클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조선업계의 해양플랜트 관련 손실은 이러한 특성과 국내 기업의 엔지니어링 역량 부족, 경쟁과열로 인한 저가 수주가 주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도현재 등, 2014; 성홍근, 2014). 이에 따라 2012 년 5 월 지식경제부는

‘해양플랜트산업 종합 육성방안’을 통해 2020 년까지 해양플랜트 수주액을 800 억 달러로 약 3 배 이상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링 및 기자재 국산화 비율도 60%

수준으로 증가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조선산업과 해양플랜트 두 분야의 양립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산 기자재의 경쟁력 강화, 엔지니어링 역량 확보, 프로젝트 개발에서 엔지니어링 및 건조에 이르는 종합 역량 확보, 해양플랜트산업의 클러스터 기반 조성 등 4 개 부문에 대한 대책을 제안하였다.

OSB 를 독립된 산업 영역으로 보고 국내에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한 최초의 시도는 2013 년 부산발전연구원(BDI)이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의뢰한 결과물인 “OSB 조성 타당성 및 실행방안 연구”인데, 이 연구는 OSB 의 입지를 부산지역으로 전제하고 허브형 OSB 구축 여부를 판단했는데, 인근에 해양 유전이 없다는 것을 가장 큰 요인으로 하여 OSB 구축은 적절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그 대안으로는, 국내에 OSB 를 조성할 경우 해당지역을 중심으로 해양플랜트 산업의 육성을 비롯한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해양구조물의 제작 및 설치산업은 친환경 해양에너지 개발이나 해양공간 활용, 그리고 광물자원 개발 등으로 적용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김동준, 2013).

OSB 가 일반적으로 항만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작업선박 및 장비 등에 대한 다양한 지원 및 부가기능을 제공해야 한다는 연구는 신창훈 등(2013)의 연구에서 나타나며, OSB 가 일종의 항만으로서, 해양자원산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산업수요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육상지역에 만들어진 거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정수현 등(2016)의 연구에서는 OSB 구축방향의 도출을 위하여 주요 제공 서비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통해 평가하였다.

대항목은 안벽기능, 배후단지기능, 그리고 지원서비스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의 결과 안벽기능(0.546)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후단지기능(0.254), 지원서비스기능(0.200)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SB 조성여건에 관한 SWOT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해양플랜트 건조기술, 전후방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산업분야별 인프라 풍부, 그리고 연관 산업의 성숙도 및 항만물류 인프라 발달과 관련된 사항에서 강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북극해 등 해양자원 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플랜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의 해양플랜트 산업에 대한 지원 및 육성의지가 강해지고 있다는 점은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플랜트 관련 전문인력의 부족과 글로벌 마케팅 능력의 부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조직체계 등과 같은 국내 인프라가 미흡하다는 점 등은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FEED 기반이 취약하여 시장진입장벽이 강화되고 있으며, 폐쇄적 산업구조로 인한 시장진입의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 등은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원활한 업무 진행을 위한 관련 법규의 재정비 및 단일화된 관리조직의 설립 등은 국내 OSB 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과제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예측한 해양플랜트 세계 시장규모는 Table 5 와 같다. 해상플랫폼, 해저시스템(Subsea), 기타, 해양플랜트등의 항목으로 구성된 세계 시장규모에 대한 예측은 2010 년 약 1,450 억 달러, 2020 년 약 3,275 억 달러, 2030 년 약 5,000 억 달러로 연평균 6.4%의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예측은 최근 발생한 저유가 상황이 반영되지 않은 시점의 자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구분 2010 2015 2020 2030 CAGR

해상플랫폼 372 547 749 1,056 5.4

Subsea 450 793 1,165 1,898 7.5 URF 등 기타 630 963 1,361 2,085 6.2 합 계 1,452 2,303 3,275 5,039 6.4

부문별 상대적 규모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자료라 판단된다(Steve, R., & Rod, W., 2013; 서기웅 등, 2012; 지식경제부, 2012).

Table 5 해양플랜트 세계시장 규모 전망

단위 : 억 달러

국내 OSB 의 경우 도입기라고 볼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선행연구나 정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양산업 환경이 급변하고 있고, 그 중에서도 Offshore 산업은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위기에 처한 한국 해양산업계에 돌파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OSB 의 성공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연구가 절실하다.

제 3 장 해양건설업과 OSB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