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05. 3. 25. 청와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업무보고가 있었다. 계획내용 중 최우선 과제로 제시한 것이 대학 구조개혁이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이 미 2004년 12월에 “대학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라는 부제를 달아 『대학구 조개혁 방안』을 발표하였다. 개혁의 목적으로 첫 번째로 내세운 것이 그간 고등교육이 양적 성장에 치우쳐 교육여건이 부실화됨에 따라 과감한 구조개 혁을 통한 질적 도약의 계기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그 내용을 보면 국립대학 교육여건 개선 도모를 위하여 ‘09년까지 국립대학 입학정원의 총 15%를 감 축(8만3천명 → 7만1천명), 국립대학의 다양한 통합, 사립대학 교육여건 개 선, 사립대학간 다양한 통합 및 개편 촉진, 대학원 평가시스템 구축을 포함 한 대학원 구조개혁방안 등이 포함되어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4).

흔히 대학의 기능을 연구, 교육, 사회봉사라고들 한다. 또는 지식의 생산 (production of knowledge), 지식의 보급(dissemination of knowledge), 지식 의 적용(application of knowledge)이라고도 한다(Perkins, 1967; 허형, 1999 재인용). 이 세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하다고 단적으로 이야기 할 수는 없지만 교육의 기능은 본질적이고 중요한 기능임에는 틀림 이 없다.

가르치는 일은 대학교수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자질이며 교육활동은 대학의 기본적 기능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르치는 일과 관련된 ‘알맞는 교 수 목표의 선정, 높은 학업성취율을 올릴 수 있는 수업방법의 선택, 적절한 평가의 기술’ 등은 대학에서 학습자들을 직접 대하는 교수들이 반드시 구비

해야 할 조건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청에 부응해서 오늘날 강의 평가제가

한 가지 수단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이종승, 1993).

강의평가제도의 필요성이 대학(교수)의 책무성(accountability)과 교직개발 (professional development)관점에서 제기된 것이라는 점을 상기하면 동 제도 의 문제점은 운영상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선에서 해결될 것은 아니며, 끊임 없이 제도시행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반성하면서 공정성, 타당성, 신뢰성, 효 율성, 다양성, 생산성 등을 추구해 나가야 해결될 성질의 것이다. 이러한 맥 락에서 이 제도와 직접적인 관계자인 학생들의 의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 용을 분석 정리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반영코자 하는 노력은 지극히 당연 한 것임에도 국내에서는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 를 통하여 강의평가제도의 정착과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문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강의평가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분석하여 강의평가제도의 정착과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강의평가제도의 신뢰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들의 강의평가제도의 타당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들의 강의평가제도의 교수인식․평가주체․평가방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대학생들의 강의평가제도의 활용성․영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