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2003년 제정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은 기존의 전통적 지역발전이 론과 새롭게 변화된 지역발전이론의 경계선상에서 양쪽 이론의 장점과 발전성을 최대한

문서에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법제 연구 (페이지 78-81)

흡수한 법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가 가능한 이유는 낙후지역 등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에 대하여는 변화시키지 않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제 도수단을 법률에 탑재시키면서, 지역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지역경제와 지역문화 및 지역의 자생력 확보를 법률의 주요 내용으로 하면서, 경제적 집중에 의한 지역불균형 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분산정책

41)

을 함께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41) 지역분산정책에 관하여 이른바, “3分정책”이라는 개념이 이 당시에 제기되었는 바,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다음

이러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제정된 2003년 시기의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대해서 국 내 선행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42)

과 같이 3分정책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공간적 중심 집중을 완화시킴으로써 지방의 활성화를 도모하겠 다는 국정목표가 곧 ‘국가균형발전전략’이며, 중앙에 집중된 자원관리의 총괄 기능을 지방으로 이양함으로써 자치역량을 키우고 그에 근거한 지역발전을 지원하겠다는 목표가 ‘분권화전략’이다. 궁극적으로 지방화 정책 의 핵심은 이러한 이중적 불균등(dual dis- parity)을 해소함으로써 균형 잡힌 국가발전을 이루어 내는 것이다.

이는 이른바 3분 정책, 즉 지방분권, 지방분산, 지방분업을 통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상생전략’(win-win strategy)의 추구로 구체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수도권의 억제를 통해 지역불균형을 교정하 는 데 주력하였다면, 새로운 국가균형발전 모델은 내생적 발전전략을 통해 전국 각 지역을 상호의존관계․상 생관계로 발전시켜 전국토의 성장잠재력 극대화에 두고 있는 것이다. 참여정부는 내생적 발전전략을 통해 지 방이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 설 수 있는 ‘자립형 지방화’를 실현해 가자고 밝히고 있다. 자립형 지방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전략의 핵심은 전국 최소기준의 충족을 통한 통합적(교정적) 균형의 실현과 지역의 잠재력과 비 교우위를 극대화하는 역동적 균형을 병행 추진해 나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전략은 기 본을 보장하면서도 차이를 인정하는 ‘통합적 균형과 역동적 균형의 병행전략’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설명하 면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당시에 제기되었던 “3分정책”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민형배, 지역혁신과 내생적 지역발전 전략 : 균형발전을 위한 ‘광주문화중심도시’ 조성 과정을 중심으로, 신행정수도 후속대책과 지역균형발전 토론회 발표문, 2005., p.5)

42) 고병호,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방법론, 도시행정학보(2010.6), p.185.

< 2000년대 초 우리나라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대한 평가 >

혁신지향적 지역정책은 대내외적 환경변화와 지역경쟁력을 고려한 상황적응적 지역정책이라 할 수 있다. 90년대에 들어오면서, 지역의 상황은 지역정책 보다는 궁극적으로 국가와 글로벌 요소 에 의하여 영향 받는다.43) 상황적응적 지역정책(regional adjustment approach)은 지역경제가 변 화하는 환경에 어떻게 부응하느냐가 중요하다. 지역정책이란 정체된 것이 아니며, 환경의 변화 에 비추어 끊임없이 수정되고 적응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예컨대, 긍정적 적응 중의 하나가 기 술개발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또한 지역정책에서 선택적 인센티브 체제(Selective incentive system of regional policy), 수도권 규제방안을 선택하는 것도 그 방안이었다. 혁신지향적 지역정 책(Innovation-oriented regional policy)은 ‘혁신주도형 발전패러다임(Innovation-driven paradigm)’

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지역간 불균형의 시정과 혁신능력의 균형있는 배양의 토대를 마련하고, 성장모형에서의 투입위주의 발전에서 혁신주도형(Innovation-driven) 발전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적극적 지방화 전략’으로는 대내적 발전역량 강화를 목표로 ① 신행정수도 건설, ② 국가균형 발전, ③ 지방분권을 추진했다. ‘적극적 세계화 전략’에서는 대외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① 수 도권 재정비, ② 동북아경제중심, ③ 기술혁신․혁신클러스터44)를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참여 정부에서 국가혁신 및 국토개조전략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통합패키지(Package) 정책으로 추진한 바 있으나 기술적 혁신이나 혁신의 네트워킹 개념이 지역적으로 접목되는 데에는 한계

43)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지역정책에 있어서 “혁신”의 개념등장과 기본요소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즉, “혁

상기한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제정에 따른 2000년대의 우리나

문서에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법제 연구 (페이지 7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