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제 2

제 2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및 결과

1.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가. 산업계 요구분석 정의 및 의의

◦ 산업계 요구분석이란 산업계 종사자들이 분야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을 정의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을 도출하는 과정

◦ 산업계 요구분석을 통하여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취합하여 대학에 전달하고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함

나. 요구분석 절차

◦ SC(Sectoral Council) 등을 통해 요구분석에 참여할 기업을 섭외

◦ 다음 세 단계에 걸쳐 요구분석을 실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해당산업 관련 대표기업의 직무군 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통 직무추출 및 직무절차(process) 구성

[2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1단계]에서 정의된 직무단위를 바탕으로 직무가 존재하는 이유, 직무수행의 예상되는 결과 및 달성해야 하는 수행 목표에 대하여 신입사원이 반드시 갖추 어야 할 직무지식, 능력, 태도(이하 역량)를 제시

∙ 직무수행시 필요한 이론적 지식

∙ 직무수행의 방법, 절차에 대한 지식 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

-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실시 단계를 정의 ∙ 대학: 학사 수준 함양 역량

∙ 대학원: 석사 이상 수준

∙ 기업: 입사 후 현장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요구 수준 ∙ 역량에 따라 교육실시 단계 중복 제시 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산업분야 관련 전공 교과과정 내 개설교과목 분석

- [2단계]에서 「학부」수준 역량으로 분류된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관련 내용 을 포함하는 교과목을 선정

- 선정된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중요도를 설정 ∙ ① 매우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 중요도의 평균이 3점 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목록 제시

[그림 Ⅱ-1] 산업계 요구분석의 절차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 및 능력단위를 활용하여 해당 직무군 에 포함되는 직무단위를 정의

2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역량 추출

∙ 각 직무역량들의 교육시기 : 학부/대학원/기업으로 구분(중복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추출된 역량을 학부교육과정에 맞추어 재분류 및 학부에서 학습할 교과목 정의

∙ 정의된 교과목의 학부 교육시 중요도 평정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개요

산업 현황

◦ 건설경기 침체로 동종업계에 취업하는 졸업생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

◦ 중견직급에 오르기 전까지는 관리업무(본부)와 현장업무를 번갈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양 직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전공지식함양이 요구됨

산업계 요구 분석

◦ 건설 산업에 대한 이해 강화

- 신입사원의 건설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

- 건설경영, 건축계획, 건축시공 등 과목에서 건설 산업과 관련된 내용을 일부 다루기는 하나 건설사업의 발주방식, 사업 추진체계, 엔지니어링에 대한 이해 등 건설산업 전반을 다루는 내용을 강의해야 함

◦ 건축공학이론 이외의 현장실무 능력 배양 요구

- 건축구조·역학과 같은 건축공학적 이론도 물론 중요하지만, 건설회사(시공사)의 경우 공정관리나 원가관리가 더 필요한 직무에 배치되는 경우가 상당수인데, 다수의 신입사원이 건설경영※과 관련한 지식이 부족한 상황임

※ 공사 원가의 구성 요소, 설계 변경 관리법, 물량 산출과 공사 원가 계산에 대한 기법을 보다 심도 있게 함양해야 함

- 대학에서 강의하는 건축법 수업에서는 주로 ‘건축법’에 해당하는 내용만 다루 고 있는데, 건축법 이외에도 주택법, 건설기술관리법, 환경법, 노동법 중 건축 과 관련한 법규 내용의 포괄적 이해가 필요함

◦ ‘건축’이외의 타 공종에 대한 이해 필요

- 현재 건축공학과 과정에서는 토목, 설비, 전기, 조경 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은 것으로 판단됨

- 건설현장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모이게 되는데, 관리자의 입장에서 타 공종 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면 그 품질을 보장하기 어려우므로, 타 공종 전반을 다 루는 내용의 3학점의 옴니버스 강의를 제안함

※ 건축공학과에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와 관련한 트랙이 별도로 있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 건설산업 관점에

직무군 직무단위 직 무 내 용

본사

기술지원

◦ 준공현장 하자보수 시행, 예산관리, 하자발생사례 분석 및 하자예방 대 책 수립, 입주고객 서비스 관리

◦ 품질/성능 향상 건설기술 개발

◦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 시공기술 개선

◦ 신자재/ 신공법 발굴 및 개발

◦ 초고층 시공요소 기술개발

기획 ◦ 전략기획, 업무/프로세스 개선, 경영시스템 관리, 외부정보 관리

◦ 채용/퇴직 관리 및 단위조직별 인력 배치(현장, 본사)

개발영업

◦ 제안형 PF사업 및 공모형 PF사업 개발수주영업

◦ 민간사업자 발주공사 수주 영업

◦ 해외 발주공사 수주 영업

◦ 기준단가조사 및 표준화, 사전손익분석

◦ 실행예산 작성 및 변경

◦ 입찰정보 수집 및 입찰내역서 작성

◦ 입찰견적 및 공사실행예산수립

◦ 시장조사, 상품화 계획, 판매촉진, 선전광고 등 당사 공동주택 브랜드 관리

설계

◦ 수주심의 Project Risk Management, 수주영업지원, 대안설계

◦ 경쟁설계, 상품개선(건축, 구조), 분양지원, 인허가

◦ 중장기 상품 개발, 고객 리서치, 프로세스 및 성과

◦ 관리, MH건립, Interior/Exterior 디자인

◦ 대안입찰 등의 설계 수행 및 관리, 기술지원 관리

◦ 주택 프로젝트 설계 및 구조 검토

◦ 설계 측면에서의 현장 지원

◦ 중간옵션(option) / 특화계획 수립

서는 ‘환경’은 산업계에서는 크게 강조되는 상황은 아님. 다만 미래에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학사 보다는 석·박사 과정(연구)에서 강조해야 할 부분임

나.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및 2008년 1주기 평가결과 자료에 기초하여 건축 시공에 관한 직무를 다음과 같이 구분함

<표 Ⅱ-1> 직무단위의 구분 및 세부 내용

직무군 직무단위 세부내용 교육함양단계 대학 대학원 기업

연구개발 현장공무

현장에서의 재무 및 행정업무 ○ ○

공사진행 중 발생하는 정보의 수집 및 효율적 관리 능력 ○

공사 중 발생하는 민원의 처리 및 관리능력 ○ ○ ○

현장에 적합한 공법 선택 및 적용 ○

계약, 착공 및 준공처리 관련 법규 이해 ○ ○

공사의 품질관리 ○ ○

시공상세 작성능력(3D 설계능력, Autocad 등 사용능력) ○

공정관리능력 ○ ○

타 공정에 대한 이해 ○ ○

주요 공정에 대한 시공 지식 ○

건축공사 전반에 대한 이해 및 공정간 업무 조정 능력 ○

시공상세 작성능력 ○

프로젝트 기획력 ○ ○ ○

현장 내 발생될 안전사고 예방 활동 ○

대관인허가 업무 Process ○ ○ ○

직무군 직무단위 직 무 내 용

현장

현장 공무

◦ 현장실행예산 작성, 원가관리, 설계 변경 등 대내외 업무

◦ 품질관리 등의 계획 및 실시

◦ 시공 시 표면 검토 및 재작성

◦ 공정계호기 수립, 공사 진행현황 파악 및 계획대비 분석 현장 시공 ◦ 현장 시공계획 수립 및 사전점검 관리

◦ 공사수행 총괄 관리

다.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및 직무함양단계

직무단위별 대학에서 함양되어야 하는 직무역량(관련 지식) 및 직무함양단계(학부, 대학원, 기업)는 아래 <표 Ⅱ-2> 참조

<표 Ⅱ-2>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및 직무함양단계

직무군 직무단위 세부내용 교육함양단계 대학 대학원 기업

현장 시공

설계도서 파악능력 ○

설비, 전기, 토목 및 조경 등 타공정에 대한 이해 ○ ○

안전, 환경 및 보건 등 관련 기술 ○ ○

시공상세 작성능력(3D 설계능력, Autocad 등 사용능력) ○

적산 및 공사비 산출 ○

현장품질관리 ○ ○

공정관리(소프트웨어 및 공정계획 능력) ○ ○ ○

건축재료·공법 ○ ○

공사관리 기법 ○ ○

구조역학에 대한 지식 ○ ○

측량기술 ○

외국어 능력(건축관련 전문용어 및 일반 회화능력) ○ ○

본사 개발 영업

Progect Financing 관련 재무·회계 업무 ○ ○ ○

Project Risk Management ○ ○ ○

사업성 분석(MD, 사업수지, 관리운영) ○ ○ ○

Business Model 개발 ○ ○

건설 관련 조달 및 국가계약법 이해(공공발주공사) ○ ○

Consortium 구성 및 관리역량 ○

프로젝트 수행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관리/조정 능력 ○ ○ ○ 사업계획 해당국가의 건설관련 법규 및 관행 이해(해외

Project) ○

외국어 능력(건축관련 전문용어 및 프리젠테이션 능력) ○ ○ 현지 전문건설업체(협력업체) 협업 관리 능력(해외

Project) ○

프로젝트 계약관리능력 ○ ○ ○

사업인허가(대관) 지식 ○ ○ ○

연번 역량구분 필수 함양 수준

1 건설산업에 대한 이해

1) 건설공사에 대한 이해

- 건설산업 발주방식(Turnkey, 대안, 재정사업, PPP사업 등)의 이해 - 건설산업 추진체계(Proposal, 수주, 수행, 발주형식)의 이해 2) 엔지니어링에 대한 이해

- 엔지니어링 사업(설계, 감리, CM)의 이해

- 엔지니어링 추진체계(Proposal, 수주, 수행, 발주형식)의 이해 - 국내외 설계기준의 이해

2 건축시공의 이해

1) 주요 공종에 대한 이해

- 가설공사, 본공사, 마감공사의 이해 2) 현장 적용공법의 이해

- 시공장비 이해 및 활용(양중장비, 측량장비 등) 3) 타 공종에 대한 기초지식 이해

- 토목, 설비, 전기, 조경 등의 요구사항 인지

3 공정관리에 대한 이해

1) 공정표의 작성법 이해

- PERT / CPM 공정표 작성법 2) 건축과 관련된 상호간섭 타 공정 이해 - 설비, 전기, 기계 관련

4 원가관리에 대한 이해

1) 공사원가관리의 이해

- 공사원가 구성, 기성관리, 하도급 관리, 설계변경관리, 정산관리 2) 실행예산 편성실무 이해

- 실행율, 물량산출, 공사내역, 원가계산 기법 이해

5 건축품질관리 의 이해

1) 건축 시험품질의 이해 - 건축재료의 특성 이해 - 시험방법의 이해 2) 건축 시공품질의 이해 - 시공품질의 특성 이해 - 시공품질 확보 방안 이해 3) 건축 시스템품질의 이해

- 시스템품질의 효율적 관리방안 이해

라. 학부 필수 함양 역량

직무의 세부 내용을 기초로 건축(시공) 분야 산업에서 제시한 학부 필수 함양 역량은 다 음 9개로 구분하였으며, 각 직무역량에 대한 필수 함양 수준은 아래 <표 Ⅱ‒3>을 참조

<표 Ⅱ-3> 직무단위별 기초 역량 및 필수 함양 수준

연번 역량구분 필수 함양 수준

6 설계이해

(CAD)

1) 설계도서의 이해

- 설계도서의 종류(도면, 시방서 등)와 개념 이해 - 설계도서의 활용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부분 상세도 등 건축도면 상호간 연관성 이해) 2) 시공상세도 작성

- 시공상세도 작성의 이해 - 시공상세도 작성의 활용

7 건축구조의 이해

1) 건축 구조 설계의 이해

- 적용하중, 설계법, 구조물의 거동, 구조재료, 부재설계에 대한 이해 - 구조설계도서의 이해

2) 구조검토에 대한 이해 - 설계검토 대안 제시 - 시공안전도 체크의 이해

8 친환경

건축의 이해

1) 건축 환경의 이해

- 음, 빛, 열, 소음, 진동 요구사항 이해 2)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이해

- 친환경 재료의 이해 - 신재생 에너지의 이해

9

건축 관련 법규의

이해

1) 건축 시공관련 법규 이해

- 계약, 착공, 인.허가 관련 법규 이해 - 민원처리, 건설분쟁(Claim)관리 이해 2) 품질/안전/환경/보건 관련 법규 이해

- 건축법, 주택법,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환경법, 노동법 이해

연번 역량구분 관련교과목 교과목 중요도

1 건설산업에 대한 이해 건설사업관리 3.8

현장실습/특강 3.8

2 건축시공의 이해

건축시공 4.8

건축일반구조 4.4

* 타 공종 관련 타 전공 해당과목 이수 인정필요 3.8

마. 학부 필수 함양 역량 관련 교과목

건축(시공) 산업에서 제시한 학부 필수 함양 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과목과 그 중요 도는 <표 Ⅱ‒4>과 같이 제시되었음

<표 Ⅱ-4> 필수 역량별 관련 교과목 및 중요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