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 상사와 부하직원간의 리더십을 기반으로 하는 수직적 의사소통(vertical communication)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리더십은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수직적 관계에서 발휘되었다. 그러나 현대 조직 또는 현대 사회는 조직이나 사회에서의 상하관계보다는 대등한 관계의 의사소통이 중요해졌다. 이런 의 미에서 동등한 수준의 시민과 시민, 지역사회와 지역사회 등의 관계가 중요 하게 되었다. 특히 리더십유형의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대등한 관계의 커뮤 니케이션이 강화되고 이런 커뮤니케이션은 수평적 커뮤니케이션(horizontal communication)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C2C의 원칙은 사회적 자본의 형 성과 유지에 있어서 기존과는 달리 수평적 의사소통, 대등한 관계에서의 의 사소통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직의 동료 간의 호혜성이나 지역사회 간의 호혜 성 등의 근간이 된다.

Saguaro 보고서에 기반을 두고 실시된 SCCBS 사업의 경우 사회적 자 본을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호혜성의 규범으로 정의하였다(SCCBS, 2007). 또한 사회적 자본은 사람들이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사회적 신뢰, 규범, 네트워크의 축적된 총합으로 정의되기도 한다(Saguaro Seminar, 2007). 이런 정의에서 보면 Saguaro 보고서 및 SCCBS에서 사회적 자본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 시민참여 등 으로 구성된 총체로서 정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라. World Bank

World Bank의 사회적 자본 관련 연구들은 사회적 자본을 통한 경제적 가치의 향상, 자원으로서 사회적 자본의 의미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왔 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위하여 필요한 요소들이 어떤 것인지에 대 한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과 교육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기도 하였다.

사회적 자본 측정을 주제로 한 World Bank의 연구보고서들은 개인 차원 을 넘어 국가나 기관 또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교육과 관련성이 깊은 최근 연구사례들이 등장하였다. World Bank의 Bain 외(2002), Grootaert(2001),

35

2

The World Bank(2002), Grootaert 외(2004), Ibanez 외(2002), Chase와 Holmemo(2005), Wetterberg(2004), Knack(2000)의 연구보고서들에서 제 시된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개념 정의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관계성, 네트워크, 규범, 신뢰를 통해 다양한 수준의 집합체가 공유된 공동목표를 달성하고자 집합적 행동을 실천하도록 하는 힘이라는 정의를 공 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둘째, 공통적인 부분과 함께 각 연구보고서 마다 독특한 영역 또는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집합체는 일반적으로 개 인과 개인, 가정, 단체,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 등으로 다양하다.

사회적 자본을 처음으로 이론화한 Bourdieu는 사회적 자본을 개인적 차 원으로 귀착시킨 반면 Knack(2000)은 국가와 같은 큰 수준에서 집합적 행 동이 요구될 때 협력을 요청하는 강력한 시민규준과 일반적인 신뢰의 형태 안에서 사회적 자본을 정의하였다.

또한 World Bank(2000)는 사회적 자본을 다음과 같이 3가지 영역에서 설명하고 있다. 사회적 자본의 첫째 영역은 가족, 이웃, 가까운 친구들을 포함하며 결속형(bonding) 사회적 자본을 의미한다. 이들은 자주 대면을 통해 상호작용을 하고, 서로에게 지원을 제공한다. 둘째 영역은 같은 인종, 민족, 종교 혹은 직업이 같은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 이들의 상호작용은 첫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헐적이고, 수단적이며, 어느 정 도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자본을 연결형(bridging)이라고 한다. 셋째 영역은 가난한 사람들과 은행, 법원, 학 교, 병원 등 공식적 조직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이 때 사회적 자본을 고리 형(linking)이라고 한다.

World Bank의 사회적 자본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지역사회 또는 국가 수준에서 사회적 자본의 정의와 역할 등을 탐색한 보고서들이다. 예를 들면, Bain 외(2002)는 사회적 자본이 개인과 개인, 집단과 집단간 관계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집단대처와 위기관리 전략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강조하였다. Grootaert(2001)는 사회적 자본을 미시, 중시, 그 리고 거시의 수준에서 개념화 하면서 거시 단계에서 사회적 자본은 정부,

36 한 Bosnia-Herzegovina 연구(The World Bank, 2002)는 상호믿음과 공공 기관의 자신감(confidence in public institutions) 그리고 시민참여를 사회

37 도적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다(Grootaert, 1998). 상보성과 대체(substitution) 의 역동성에 대해 검증한 Narayan(1999)은 사회적 자본을 분석하는 데 있 어서 국가를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여, 개인과 집단을 이어주는 시민 참여 뿐 만 아니라 국가의 효율성에도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 다(Colleta & Cullen, 2000).

이 외에도 Fukuyama(1995)는 Coleman의 논의를 발전시켜 ‘신뢰’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