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용자비용 2 1)

문서에서 감세의 경제적 효과와 귀착 (페이지 124-129)

법인세는 근본적으로 자본에 대한 과세이기 때문에 자본비용에 영향을 주고 경제주체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자본 비용은 법인의 자금조달, 투자, 재무행태 등을 분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분석대상이다. 더 구체적으로 한계적 투자자금 조달의 비 용을 자본비용(cost of capital)이라고 하며, 자본재를 임대하여 사용 하는 비용을 자본사용자비용(user cost of cap ital)이라고 한다. 자본재 를 임대하는 경우 자본재의 임대료는 자본재 구입에 필요한 자금 의 기회비용과 자본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감가상각비용이 포 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본사용자비용은 자본비용에 감가상각비 용을 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법인세는 자본사용자비용의 변화를 가져와 법인의 자금조달, 재무형태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 고, 이는 다시 실물투자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Jorgenson(1963 )은 자본시장의 균형조건으로부터 법인세하의 자 본 1원당 자본사용자비용 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   

        

여기서 는 자본재가격, 는 자본의 임대료, 은 할인율, 는 경제적 감가상각률, 는 법인세율, 는 투자세액공제율, 는 자본 재 1원 구입 시 향후 계상할 수 있는 세법상 감가상각의 현재가

21) 곽태원(2005)을 참조

치를 의미한다. 이 모형은 법인이 부담하는 자본소득세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여러 법인세 관련 문제들을 분석하기 에는 한계가 있다. 법인세 과세대상인 자본소득은 주주에게 귀속 되는 과정에서 배당소득세나 자본이득세로도 부담되기 때문에 기 업의 재무형태, 자금조달 및 투자 행위 등을 분석하는 데 있어 법 인부문의 세부담만을 고려할 수는 없다. 즉 배당소득세와 자본이 득세 등을 포함하여 자본비용을 분석해야 하며, 이에 대한 대표적 인 연구로는 Auerbach(1979a, 1979 b)가 있다.

Auerbach(19 79b)는 기업의 목적이 주주들의 부의 극대화에 있다 고 보고 법인세, 배당소득세, 자본소득세 등이 존재하는 경우 기 업의 자금조달 행태 및 자본사용자비용을 도출하였다. 자산시장 의 균형조건하에 배당소득세율(), 자본이득세율(), 법인세율( )이 존재하면, 다음과 같은 자본사용자비용 식이 도출된다.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 로, 법 인세 후 투자수익의 할인율을 나타낸다(는 부채비율,

는 물가상승

, 은 명목 세후 균형수익률, 는 차입이자율). 에서 우변의 첫째 항 은 개인소득세 전 명목 수익률을 자기자본비중  으로 가중한 것이고, 둘째 항은 지급이자의 법인소득공제제도하에서 실질(차입) 이자율을 최적부채비율 로 가중한 것이다. 즉 자기자본에 대해 서는 개인소득세 후 명목 수익률 을 지급하고 차입금에 대해서 는 시장이자율 를 지급 시, 필요한 자본의 사회적 총 명목수익률 이 이다. 한편 자본사용자비용에서 경제적 감가상각률을 제외 하면 자본비용이 된다. 이와 같은 자본사용자비용 식은 자본의 기

회비용을 의미하며, 바로 자본수익률이라고 볼 수 있다. 자본소득 의 유효세율(effective tax rate)은, 자본소득에 대한 조세가 자본사용 자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므로 결국은 자본소득세인 법인세 가 경제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자본사용자비용 혹은 유효세율로 파악할 수 있다.

Jorgenson & Sullivan(198 1)은 Jorgenson(196 3)의 자본사용자비용 모형에서 유효한계법인세율 개념을 도출한다. 자본의 사회적 실 질수익률을 , 유효한계세율을 라고 하면, 유효한계세율과 세 법상 한계세율 사이에는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     

이 식을 유효세부담에 관해 정리하면,     와 같 다. 즉 유효세부담은 수익률의 왜곡에 의한 초과부담( 과 실제의 세금납부액()을 합한 것과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자본의 사회적 임대비용을 라고 하면, 자본의 사회적 수익률 사 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  또는  

 

즉 자본의 사회적 실질수익률()은 자본의 사회적 임대비용에 서 감가상각률을 차감한 것이며, 자본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식과 앞서 도출한 자본사용자비용의 식을 이용하면, 다음의 식이 도출된다.

  

   

    

따라서 유효한계법인세율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결과적으로 실제 수익률과 법인세율, 경제적 감가상각률 등을 정확히 측정가능하다면, 유효한계세율도 계산할 수 있음을 의미 한다.

2.

토빈의

Q

모형

토빈의 Q이론은 투자의 조정비용을 명시적으로 고려한다는 점 에서 이전의 투자 이론, 즉 Jorgensen의 자본의 사용자비용을 이용 한 신고전학파 투자이론과 뚜렷한 차이를 갖는다. 이 이론에 따르 면, 미래이윤의 가능성 또는 투자기회를 나타내는 q변수는 투자 를 결정하는 충분통계량(sufficient statistic)으로서 투자함수에서 유일 한 설명변수로 기능한다. 그러나 실제 Q이론에서 상정하는 Q변수 는 한계적인 q(margin al Q)를 의미하며 현실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것이어서, 이를 실증모형의 대상으로 삼을 수가 없다. 따라서 특 정한 가정하에서 한계적인 Q가 관찰 가능한 평균 Q와 동일하다 는 Hayashi(1 982)의 연구에 기초하여 도출된 다음의 실증적인 투자 모형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

  

단,  ≡   

이렇게 도출된 단순 Q 모형을 Devereux & Schiantarelli(1989 )와 Fazzari et al.(19 88)의 접근방법에 따라 보다 현실적인 투자모형으 로 확장할 수 있다. Devereux & Schiantarelli(1 989)는 앞의 Q 모형에

금융제약을 추가하여, 보다 일반화된 투자모형을 얻고자 시도하 였다. 즉 이들은 기업이 직면하는 제약 조건으로서 자금의 원천과 사용의 일치, 그리고 배당 및 신주발행가격의 비음(nonnegativity) 등 을 추가로 도입하고, 이러한 조건하에서의 기업시장 가치극대화 문제를 통해 다음과 같은 투자방정식의 설명변수로 현금흐름과 우동성 그리고 부채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이외 에 조세를 고려하여 Q를 재조정한 연구방법으로 Cummins, Hassett, and Hubbard(19 96) 연구에 기초한 Desai and Goolsbee(200 4) 의 모형을 들 수 있다. 이 모형은 조세경감분의 증가가 조세항의 감소를 가져오고 이를 통해 기업투자가 증가되는지의 여부를 실 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설정된 것으로, 조세경감항은 조세경감 분이 증가하거나 법인세율이 감소하는 경우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업의 투자는 증가하게 되는 인과관계를 보여준다.

II. 법인세 인하의 투자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문서에서 감세의 경제적 효과와 귀착 (페이지 124-12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