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항분석을 통하여 가장 많이 나타난 문제유형중의 하나 가 사료의 분석을 통한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문항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사회 탐구 영역 시험은 “고등학교의 사회과학에서 학 습한 개념 및 원리를 동원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가능성 있는 해결책을 찾아서 적 용하는 탐구 기능 및 문제해결 기능과 같은 고차적 사고력을 측정”40)하는 시험으 로 규정하고 있어 탐구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료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사료를 분석,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이해 를 심화시키고 나아가 역사적 태도와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수업방법으로 다 음과 같은 관점에서 적합하다.41)

(1) 역사의 본질과 전문적 역사가의 저작(著作), 도구(道具), 방법에 관하여 학 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계획된 작업을 종래의 정통적인 역사학습에 가 미할 수 있다.

(2) 사료학습은 지적능력이 모자라는 학생에게 능동적이고 보다 성공적이다.

일차경험의 기회는 추리력과 상상력이 부족한 학생에게 능동적이고 확실한 경험 의 세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3) 역사과는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해석 될 수 있다. 한 학생이 어떤 사료를 이해하는데 있어 전문가나 동료와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개방성이 보장된다.42) 이러한 사료학습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성과로는 (1) 역사적 자료의 근원 찾기, 즉 역사자료의 신빙성을 가려내는 능력이나 지식은 중요한 것이어서 정보지 식의 정확성을 위하여서도 자료의 선택능력이 있어야한다. (2) 역사자료에 대한 외적비판능력(外的批判能力)의 신장. (3) 역사자료에 대한 내적비판(內的批判), 즉

40) 김형립 외(1990), 대학교육적성시험 실험평가연구-수리․탐구영역 , 중앙교육평가원, pp.1-5.

41) 한경자․김한종(1989), 역사과 수업모형의 이론과 실제 , 「기본수업모형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pp.261-291.

42) 李元淳外(1975), 「歷史科 敎育」, 한국능력개발사, p.299.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의견, 이해, 판단 등에 관한 능력. (4) 인과관계(因果關係), 즉 역사의 논리성은 역사적 필연성, 인과간계의 규명 등으로 표현하는 불가피한 변천 과정을 정확하게 찾는데 있고, (5) 인물학습을 들 수 있는데 학생들의 역사에 대 한 관심에서 싹튼다 할 수 있다.43)

이상과 같은 주장들을 정리하면 사료학습이 역사자료에 대한 내외적 비판력을 길러주며 역사적 사실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주는 중요한 학습방법이 되기 때문에 정선된 자료를 선택하여 체험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수업모형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원명: Ⅳ.중세 사회의 발전 2. 중세의 정치적 발전 2) 학습주제: (3) 무신정권 시대 3) 학습목표:

가. 무신정변의 원인과 경과를 설명하고, 무신정권의 성격을 말할 수 있다.

나. 무신정권시기에 집중적으로 일어난 하층민들의 봉기를 말할 수 있다.

다. 무신정권 이후의 고려사회 변화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4) 학습자료 * 사료;

#1. 민중의 생활과 봉기-[고려사절요 명종 3년 4월 ]. [고려사절요 12권 고종 12년 3월].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농부를 대신하여 읊음].

#2. 망이․망소이의 난.-[고려사절요 12권 명종 6년 ].[고려사 20권 세가 명종 12년 3월].

#3. 전주 관노의 난-[ 고려사 20권 세가 명종 12년 3월 ].

#4. 만적의 난.- [ 고려사 129권 열전 최충헌전 ].

#5. 김사미․효심의 난-[ 고려사 20권 세가 명종 23년 7월 ].[ 고려사 20권 세 가 명종 24년 7월 ].[ 고려사 20권 세가 명종 24년 조 ].

43) 康宇哲(1980), 「歷史의 敎育」, 교학사, p.381.

* 자료;

구 분 학 습 활 동 시간 방 법 유 의 점

가설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