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7장

2. 사건계열분석

가. 원표본의 1~14차 응답 패턴 형태

먼저 원표본 7072가구의 응답 패턴의 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1~14차까지의 응답 패턴을 분석하므로 응답 패턴은 총 14자리로 구성되어있고, 각 자리는 해당 차수의 응 답 상태를 의미 한다. ‘1’은 해당 차수에 조사를 응답한 것이고, ‘0’은 해당차수에 조사 를 응답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1000000000000’의 경우는 1,2차 조사 에는 응답하고, 3차부터 14차까지는 응답하지 않은 가구의 응답 패턴이다.

〈표 7-1〉은 1~14차까지 원표본 가구의 응답 패턴에 따른 빈도를 나타낸 것이다. 응 답 패턴의 형태는 총 56개 이다. 가장 빈도가 높은 응답 패턴 형태는 1~14차까지 조사 를 유지한 가구로 원표본 7072가구의 56.82%인 4018가구가 이에 속한다. 반면 1차

만 응답하고 이후 응답하지 않은 가구는 527가구로 전체 가구 중 7.45%에 달한다. 이

11111111111111 4,018 56.82 10000011111111 3 0.04 10000000000000 527 7.45 11010000000000 2 0.03 11000000000000 384 5.43 10111111110000 2 0.03 11111000000000 289 4.09 11110011000000 2 0.03 11110000000000 251 3.55 11111011111100 2 0.03 11100000000000 205 2.90 10000010000000 2 0.03 11111111110000 192 2.71 11011000000000 2 0.03 11111111000000 191 2.70 10111000000000 2 0.03 11111111111000 165 2.33 11111111000110 2 0.03 11111111111110 152 2.15 11111110001000 2 0.03 11111110000000 146 2.06 11101111111111 2 0.03 11111111111100 138 1.95 11111010001111 2 0.03 11111100000000 131 1.85 10000011111110 1 0.01 11111111100000 124 1.75 11000011000000 1 0.01 11111011111111 26 0.37 11011110000000 1 0.01 11111111110001 14 0.20 11100011111111 1 0.01 10111111111111 13 0.18 11000011111000 1 0.01 11011111111111 12 0.17 10000011100000 1 0.01 11111111100011 10 0.14 10111110001111 1 0.01 11111111000111 8 0.11 11111110001100 1 0.01 11111110001111 7 0.10 11111011111110 1 0.01 10110000000000 5 0.07 11100011100000 1 0.01 11000011111111 5 0.07 11011111110000 1 0.01 11111011000000 4 0.06 11111111111101 1 0.01 11111010000000 4 0.06 10111110000000 1 0.01 11111011111000 4 0.06 11110011110000 1 0.01 10100000000000 3 0.04 11011111111110 1 0.01 11111011110000 3 0.04 11110011111111 1 0.01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각 연도). 1~14차 한국복지패널 원자료.

나. 원표본의 1~14차 응답 패턴 유형화

원표본 7072가구의 1~14차까지의 응답 패턴을 사건계열분석(Event sequence analysis) 후 군집분석을 통해 네 개의 집단24)으로 구분하였다. 단, 1~14차 모두 응답 한 4018가구는 집단 구분이 명확하므로 분석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3054가구로 사건 계열분석을 수행 하였다. 또한, 분석 시 응답과 무응답의 패턴만 고려하였으며, ‘사망’,

‘요양소 입소’ 등의 무응답 사유는 고려하지 않았다.

〈표 7-2〉는 원표본 7072가구의 1~14차 응답 패턴을 유형화한 결과이며, 각 집단의 명칭은 응답 패턴의 특성에 따라 (1)초기이탈, (2)중기이탈, (3)후기이탈, (4)지속응답 으로 부여25)하였다.

〈표 7-2〉 원표본 7072가구의 1~14차 응답 패턴 유형화 결과

구분 특성

(1) 초기이탈 조사 초기 1~2차까지는 응답하고, 이탈 후 거의 재진입이 없었던 집단

(2) 중기이탈 조사 중기까지는 응답하고, 이탈 후 거의 재진입이 없었던 집단으로 일부 응답과 무 응답을 반복하는 표본은 있으나, 최근 2년간 조사에서는 응답하지 않은 집단

(3) 후기이탈 조사 후기까지는 응답하고 이탈하거나, 일부 응답과 무응답을 반복하는 표본이 있으 나 응답 횟수가 무응답 횟수보다 많고 최근 2년간 조사에 참여한 가구가 일부 있음.

(4) 지속응답 조사 구축시점부터 14차 조사까지 단 한 번의 이탈 없이 응답을 유지한 집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각 연도). 1~14차 한국복지패널 원자료.

〔그림 7-3〕는 집단 유형별 응답 패턴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초기이탈과 중기이 탈의 경우 이탈 후 재진입이 거의 없었고, 후기이탈의 경우 일부 이탈 후 재진입 및 14 차까지 조사에 응답한 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24) 집단 수의 결정은 Calinski-Harabasz pseudo-F값이 가장 큰 값을 가지는 군집수로 선정하였음.

25) 상세 응답 패턴은 〔부표 1〕 응답 패턴 유형에 따른 집단 유형별 분류를 참조.

〔그림 7-3〕 원표본 7072가구의 집단 유형별 응답 패턴 그래프

(단위: 가구)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각 연도). 1~14차 한국복지패널 원자료.

〔그림 7-4〕는 집단 유형별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집단 유형별 분포를 살 펴보면, 지속응답 비율이 56.82%로 가장 많고, 초기이탈 비율은 12.95%, 중기이탈 비 율은 14.88%, 후기이탈 비율은 15.36%로 구성되어있다.

〔그림 7-4〕 원표본 7072가구의 집단 유형별 분포

(단위: 가구, %)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각 연도). 1~14차 한국복지패널 원자료.

〔그림 7-5〕는 집단 유형별 평균 응답 기간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집단 유형별 평균 응답 기간을 살펴보면, 초기이탈은 1.4년, 중기이탈은 4.8년, 후기이탈은 10.5년 을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응답과 무응답을 반복하는 표본은 응답한 총 횟수만 고려하였다. 평균 응답 기간을 고려해보았을 때, 초기이탈이 12.95%를 차지하는 것은 적지 않은 비율이라고 판단된다.

〔그림 7-5〕 원표본 7072가구 집단 유형별 평균 응답 기간

(단위: 년 )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각 연도). 1~14차 한국복지패널 원자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