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의 종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115)

제4장

사례조사 및 분석

4.1. 자하 하디드의 디자인 배경과 이념

[그림 23] Zaha Hadid

제4장 사례 조사 및 분석

4.1 자하 하디드(Zaha Hadid)의 디자인 배경과 이념

4.1.1. 자하 하디드의 디자인 배경

자하 하디드(Zaha Hadid)는 건축이 사회적 메 시지를 수용하고 생성하기를 원하며 더욱 다양화 되는 현대인들의 삶에 대한 욕구를 반영하고 발 전시키는 작업으로서의 건축을 지양해 오고 있 다. 건축과 도시 디자인의 경계를 확장시켜 온 자하 하디드의 작업은 새로운 공간 컨셉과 도시 랜드스케이프에서 제품, 인테리어, 퍼니처에 이르 기까지 모든 영역의 디자인을 아우르고 있다. 건 축 프로세스 과정에 있어서 실행과 교육 그리고 연구조사가 함께 맞물려 진행되는 것을 강조하는 자하 하디드는 첨단 디지털 기술 및 신재료 등을 최대한 활용하며 실험 가능한 자연 지형학과 휴먼베이스의 시스템에 의해 건축과 랜드스케이프, 지형 사이의 명확한 경계를 통합하려는 시도를 지속적으로 추구해오고 있다. 이러한 시도 속 에서 지형과 건물이 필요로 하는 요건에 의해 예측할 수 없었던 다이나믹하고 유동적인 형태가 생성되는 결과를 추구하고 있는 자하 하디드의 건축은 현재 우 리나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샤넬의 모바일 아트 파빌리온57) 등 다방면에서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다.

57) 샤 넬 의 퀼 팅 백 에 서 영 감 을 얻 어 만 든 작 가 들 의 작 품 들 을 자 하 하 디 드 가 만 든 분 해 , 조 립 가 능 한 박 물 관 ‘파 빌 리 온 ’에 넣 어 전 세 계 7개 도 시 에 서 전 시 하 는 프 로 젝 트

[그림 24] Dongdaemun Design, Chanel Mobile Art Pavilion

1950년에 바그다드에서 태어난 자하 하디드의 초기 경력은 영국의 AA School 에서 공부 했으며 처음에는 학생으로서 다음에는 교수로서 그리고 최근에는 건 축가로서 AA School의 영향은 자하 하디드에게 크다고 본다. 그녀의 건축언어 에서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이론에 형식화되었던 절대주의 수법을 연상시키게 하 는 것은 학생시절에 렘 쿨하스(Rem Koolhaas)와 엘리아 젱겔리스(Elia Jenghelis) 의 디플로마 학생으로 수학을 한 점과 그 후 OMA의 파트너로서 경력을 쌓았다 는 점에서 알 수 있다. 홍콩의 Peak Club 현상 설계에서 1등할 당시 심사 위원 이었던 Atata Sozaki가 그녀의 작품에 대해 모더니즘의 최종 형식인 러시아 절대 주의의 자율적인 형식과 운동성을 구체적으로 검증한 작품이라고 평가한 것처럼 러시아의 절대주의는 그녀의 초기작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58)

이러한 학생시절과 교육자로서의 배경을 토대로 자하 하디드는 본격적인 건축 가로서 활동을 하게 된다. 1987년 Azaba Jyuban 프로젝트와 1989년의 Moon Soon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인 등을 통해 자신의 영역을 인테리어와 가구디자 인까지 확장 시켰으며 자하 하디드를 알릴 수 있었던 유동적인 공간구성으로 대 표되는 Vitra 소방서와 같은 작품을 통해 랜드스케이프 적인 건축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자하 하디드는 많은 현상설계에서 자신만의 실험성이 넘치는 작품을 남기고 있다. 자하 하디드의 건축은 실험적인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이고 폭발적 인 에너지에 의해 광대한 프로젝트로 구현되고 있으며 관념적이고 단일한 형태

58) 세 계 건 축 가 4. Zaha Hadid, 기 문 당 , 1896. p.7

의 기존 건축에 맞서 현대의 다양성의 삶을 통합하고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과 제로서의 건축을 구축해 오고 있다. 이러한 건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기 술로 인해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은 고도의 복잡한 현상을 유동적이고 이 음새 없이 유려한 개체들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길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술적인 혁신과 흥미로운 상관관계를 갖는데 3d 모델링 방식은 자하 하디드의 디자인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복 잡하고 다단한 이중 곡선 표면을 구성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유동적이며 역동적이고 복잡성을 가진 구조물을 창조하기 위한 목표는 기술적 진보와 혁신이 아니었으면 불가능 했을 것이다. 자하 하디드 건축은 구조적 발전 요소로부터 최대한 가능성을 구체화 했다는 명성을 얻었고 실제의 건축으로 구 현하는데 필요한 기술의 발전은 디자인을 더욱 깊이 있게 발전하게 만들어 주는 추진력이 되고 있다. 세계적인 사무소들이 거대화 되어가는 것과는 달리 소규모 사무소를 유지하며 세밀하고 독립적인 마인드로 광범위한 프로젝트를 만들어내 고 있는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는 가구, 조명, 인테리어와 같은 소규모 프로젝트 에 대한 중요성도 대규모 스케일 프로젝트에 못지않은 비중을 두어 실행하고 있 다. 이러한 자하 하디드는 최근 수년간에 걸쳐 현대건축에 뚜렷한 건축학적 궤적 을 남긴 사람을 선정되어 2004년 프리츠커 건축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4.1.2. 자하 하디드의 건축 사고 개념

자하 하디드의 건축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유연성, 비선형성, 연속성, 다공성, 부유성 등의 특징들은 자하 하디드의 고유한 건축 언어들로 작품에서 랜드스케 이프, 투명성, 중첩 등 여러 가지 형태와 시도로 나타난다. 주변 환경과 고립된 오브제로서가 아닌 건축을 바라보는 랜드스케이프 개념은 도시적이든 자연적이 든 배경의 일부로서의 건축을 만들고자 하는 그의 작품들에서 지배적인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59)

59) 최 윤 선 , 건 축 형 태 구 상 을 위 한 디 자 인 컨 셉 형 성 과 정 에 관 한 연 구 , 한 양 대 석 사 논 문 , 2005, p.7

자하 하디드는 “우리의 건축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다른 세계를 엿보게 하여 그 들을 열광시키고 아이디어에 대해 갈망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본다. 우리의 건축 은 직관적이고 급진적이며 국제적이고 역동적이다. 마치 새로운 나라에 간 것 같 은 경험에 비교할 만한 새롭게도 생경한 느낌을 주는 그런 경험을 일깨우는 건 물들을 지으려고 한다.” 라고 말한다.

또한 해체에 대해 병치와 충돌, 분할과 혼성에 의해 변화된 공간을 기이한 오 브제의 주제로 보고 있는데 이들을 층 구조, 영역의 상호 침투, 형상의 다양한 관계 설정 등이라고 인식하고 공간의 동시적 지각을 의미하는 투명성의 관점에 서 바라볼 때 자하 하디드의 건축은 형태와 공간의 겹침에 의해 발생하는 투명 과 중첩의 동시적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자하 하디드가 강조하고 있는 유동 적인 연속성의 문제는 물리적으로 가시화 된 형태이거나 프로그램의 공적 연속 이 되기도 하며 랜드스케이프의 건물과 주변과의 개념적 흐름, 투명, 중첩으로 나타나는 인식과 경험의 이동을 의미하는 흐름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평면 과 입면에서 사용되는 기하학적인 형태들은 기본적인 도형인 정방형과 원을 제 외하며 대부분 불규칙한 비정형 형태들의 무질서한 구성이다. 자하 하디드의 건 축 작품들은 모더니즘이 선호한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벗어나 왜곡된 원, 중심을 알 수 없는 원호들, 다양한 곡선, 부정형 등 서로 독립성을 유지하며 중첩되고 때로는 우연히 결합하기도 한다. 건축에서 보여 지는 의도적인 축의 삽입과 교 차, 사선의 사용 등은 긴장과 역동성을 나타내며 기본적인 공간 개념과 구성은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상호 충돌하고 교차하는 유동적인 것이다. 이러한 자하 하 디드는 자신의 건축 언어에서 직각으로만 연속해서 이루어진 형태는 더 이상 계 속될 여지가 없으며 사선과 곡선의 형태가 직각을 대신해서 압도적인 인기를 누 리고 있으며 건축이 일어나는 공간은 갑작스러운 공간 분할에 의해서가 아닌 연 속적인 형태 변화로 인해 유연하고 부드럽게 일어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구성 주의 수법을 사용하는 다른 현대 작가들보다 그 영향력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림 25] 자하 하디드 건축 작품의 유기적 형태

4.2. 조사개요

4.2.1. 사례선정의 범위 및 개요

본 장에서는 현재 디지털 건축에 나타나는 유기적 표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 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방법들은 크게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작품사례로 나눌 수 있다. 일차적으로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표현특성에 대한 이 론적 고찰과 개념, 특성들을 정리하였고, 이와 같은 특징을 연구하는 기존의 선 행연구들을 토대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정리된 키워드를 토대 로 현재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 표현특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자하 하디드 건축과 실내공간을 토대로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 선정에 있어서 현재 유기적 공간을 구축하는데 있어 디지털의 기술적 변 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분석 범위를 2005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실제 건축 사례 및 현상 설계 계획안, 시공 중인 프로젝트를 포함시켰다. 하루가 다르 게 변화하는 디지털의 발전과 실현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어 계획안을 통해서 도 자하 하디드의 유기적 표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단행본, 학위논문 및 건축 잡지인 Interiors와 C3, CA, Plus 및 인터넷에서 중점적으로 소 개되어 유기적인 특성이 부각되는 건축물로 총 10개의 사례대상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분석 사례 대상은 다음의 [그림 26]과 같다.

[그림 26] 자하 하디드의 작품사례 이미지

[표 15] 사례 분석 목록표

순서 작품명 연도 용도 비고

1 Nuragic & contemporary art Museum 2006 미술관 계획안

2 Nordpark Cable Railway 2007 준공

3 Abu Dhabi performing art center 2007 예술공연센터 계획안

4 London Aquatics center 2005-2011 경기장 진행중

5 heydar aliyev cultural center 2007-2011 문화 센터 진행중

6 Dongdaemun Design Park & Plaza 2007-2011 복합센터 계획안

7 Mobile art - Chanel pavilion 2008-2010 전시관 준공

8 Bahrain Hybrid Museum 2009 박물관 계획안

9 JS BACH Chamber Music Hall 2009 콘서트홀 준공

10 The Guangzhou Opera House 2011 오페라하우스 준공

4.2.2. 사례분석의 틀

본 장에서는 자하 하디드의 건축과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건축의 유 기적인 특성과 그 표현유형을 공간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과 구체적인 공간 이미 지를 통해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건축의 유기적인 특성 을 크게 비선형성 (역동성, 유동성, 위상변화성), 상호관계성 (복잡성, 자기유사성, 연속적관계성), 비물질성 (탈경계성, 초표피성)으로 나누어 분석의 틀로 삼았다.

따라서 총 3가지 체계의 분류 기준으로 자하 하디드의 건축공간에서 나타난 표 현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틀 안에는 사례대상의 기본적인 내용을 살

피고 각각의 항목에 따라 주요한 개념과 특징을 알아볼 것이다. 이는 자하 하디 드의 유기적인 경향을 알 수 있는 하나의 분석도구가 될 것이다.

키워드 분류 과정을 토대로 각각의 항목의 특성과 하위 분석개념들의 의미들 은 다음 [표 16]와 같다.

[표 16] 디지털 건축의 공간에 나타나는 유기적 표현특성 비선형성 유체변형을 통한 유동성과 불규칙적인 운동

1 역동성 한 공간 안에 여러 방향성의 혼재, 정형적 요소를 탈피한 사선, 파동하는 곡선, 부정형, 불규칙, 불안정한 특성

2 유동성 살아있는 듯한 생물학적 형태, 흐르는 듯한 부드러운 표현, 공간에서 접기, 늘리기, 구부리기 등의 조형원리를 통해 나타남

3 위상변환성

벽, 바닥, 천장의 유기적인 관계성,

바닥과 벽의 경계가 없어지고 변화함에 따라 내부를 구성하는 모든 면이 하나의 면으로 연결이 되는 것이 위상변환

상호관계성 단순하게 모여 만들어진 집합이 아닌 부분과 부분은 서로 유기 적인 관계를 갖는 조직적 구성

1 자기유사성 일부분을 확대해서 보아도 그 부분에서 전체의 구조를 다시 찾 을 수 있는 기하학적인 구조, 자기복제적인 성질,

2 복잡성 무질서로 보이지만 나름의 질서가 있는 현상

3 연속적 관계성

외부와 공간내부의 관계를 넘어 동시적 표현가능성을 통한 경계 없는 공간

공간과 공간, 또는 외부와 내부, 관객과 공간의 연속적인 상호관계성

비물질성 현상계에 존재 할 수 없는 관념적인 형태로 인식할 수 상태

1 초표피성 형태의 한계와 재질의 한계를 부정하는 외피의 진화

2 탈경계성 물질적 요소로 인한 현상이 아닌 추상적인 현상으로 인한 기존 건축 경계는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탈경계화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11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