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산식 빗물관리의 적용방안

분산식 빗물관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내 강우특성을 고려하여 관거시스템 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우강도가 낮은 경우는 우선적으로 침투․저류시 설에 의해 처리하고 일정 강우사상 이상의 유출량이 발생할 경우는 침투․저류 시설에 연결된 관거나 지역 내 2차 저류시설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모든 분산식 빗물관리시설에는 관거와 연결하는 시설을 둠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개발유형에 따라 기존시가지, 신시가지에 각각 적용되는 방안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한다(<표 5-4> 참조).

첫째, 기존시가지에는 대부분 개별대지나 단지 규모로 재개발되는 경우가 많 으므로 도시재생․복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분산식 빗물관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시가지에 재건축․재개발단지가 형성되면 개발이후 기존 하수 관거에 부하가 미치게 되는데, 이를 다른 지역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표 5-4> 참조).

따라서 강우초기에서부터 첨두유출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빗물을 모두 대상지 내에서 분산식으로 처리한 후 나머지량은 관거로 방류한다. 이때 오염된 초기유 출수는 녹지나 토양 또는 침투․저류시설에 연결된 전처리시설에 의해 사전 처 리됨으로서 수질개선에 효과가 있다. 초기에 어느 정도 분산식으로 처리할 것인 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강우사상과 적용하고자 하는 시설의 침투․

저류량에 의해 결정된다. 대상지 내부는 지붕녹화, 투수포장재 및 개방형 침투․

저류시설을 설치하여 최대한 자연증발, 침투를 유도하며, 집중강우 시 주변지역 의 관망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적용한다.78) 단지 내에 적용하는 시설은 주로 조경 시설과 연계하여 녹지와 토양 등 자연소재를 이용한 소규모 침투, 저류시설이기 때문에 물순환 효과는 물론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도 갖게 된다. 분산식 빗물 관리의 적용에 대한 법적의무가 없을 때에는 인센티브나 지원금제도 등을 통해

78) 합류식 시스템에 분산식 빗물관리를 일부 적용한 것을 수정합류식(modified mischsystem)이라 하며, 분류식에 적용한 것을 수정분류식(modified mischsystem)이라 한다(W.Geiger und H.Dreiseitl. 2002).

활성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6

C ․ H ․ A ․ P ․ T ․ E ․ R ․ 6

결 론

도시지역 내에서 자연적인 물순환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분산식 빗물관리 를 제안하였다. 생태적으로 도시를 개발하기 위해 물순환 측면에서 구체적 방안을 모 색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제도적 관점에서 분산식 빗물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 검토되어야 하는 내용을 주로 다루었으며, 실제 계획내용 자체에 대해서는 충분히 다 루지 못하였다. 도시지역 전반에 걸쳐 분산식 빗물관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제도적 체계 구축 뿐 아니라, 관련 계획지침 개발이나 계획수립을 위한 환경정보의 구축 등이 요구된다.

1. 연구의 기대효과

생태적으로 도시를 개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생 명의 근원인 물을 자연적으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물순환 체계를 구축 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분산식 빗물관리를 제안하였다. 현재 국내의 도시환경 을 고려하였을 때 분산식 빗물관리의 도입은 필연적이나 이를 확대․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선결과제들이 남아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지역에서 물순환을 이루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제안한 분산식 빗물 관리를 위한 공간계획과의 연계방안은 향후 계획체계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 이다. 특히 환경계획 체계 구축과정에서 물순환 체계를 고려하는데 여기에서 제

안한 연구결과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물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수단을 강구하거나 관련 법 제도 제 동 또는 개선방안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개발지역에 대해 유출량 변 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계획지표로서 제안한 최종 유출허용량과 불투수포장률 은 친환경적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바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분산식 빗물관리계획을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그리고 건축계획에 서 다루고자 할때 무엇을 해야 할지를 고민할 때 이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을 토 대로 구체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분산식 빗물관리를 위해 필요한 재원 확보 방안으로서 제안된 우수세는 장기과제로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제도를 도입하면 상하수도 사용료를 절감 시키는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토지와 건물소유자가 자신의 대지 경계선 안에 내린 빗물을 가능한 적게 공공관거로 배출시키도록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 으로 판단된다. 또한 우수세의 도입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되어 환경개선에도 효과가 예상된다.

다섯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은 향후 분산식 빗물관리를 위한 계획지침 작 성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