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산식 빗물관리의 개념

분산식 빗물관리(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는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빗물이용 및 침투․저류시설 등을 이용하여 현지에서 처리하는 관리방 식이다.11) 이를 위해서는 빗물의 상태나 활용목적에 따라 전처리․이용․저류․

침투시설을 조합하여 계획하게 된다.

분산식 빗물관리의 주요목적은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를 도모하는 것이다. 따 라서 유출지점에서 최대한 자연적인 증발산, 침투, 저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계 획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자연적으로 가능하지 못할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이 용, 저류시킴으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계로 순환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결과적으로 빗물의 침투, 증발량을 늘임으로서 유출률을 줄인다는 개념이며, 투 수포장면의 증대, 지붕녹화, 지표상의 침투, 저류연못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강우사상이나 도시의 개발양상으로 볼 때, 침투, 증발을 통 해 개발이전의 유출량만큼으로 컨트롤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지하 부의 대규모 저류조나 탱크 등을 설치함으로서 유출억제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 하다.

11) 여기에서 빗물의 용어를 rainwater로 쓴 이유는 기존의 토목분야에서 다루었던 빗물의 의미, 즉 stormwater와 다른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stormwater는 주로 강우강도가 큰 강우량에 대해 이를 지역 밖으로 배제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rainwater, 빗물은 일상 적인 강우량에 대해서도 이를 증발, 침투, 저류하기 위한 대상으로서 정의하기 때문이다.

2) 분산식 빗물관리의 접근방법

분산식 빗물관리는 적용하고자 하는 공간 위계에 따라 접근방법이 달라진다.

건축물을 포함한 개별대지에서 빗물을 자연적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단지규모로 개발될 경우의 방법이 달라진다. 이는 주로 침투․저류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토 지확보 여부에 따라 시설의 종류 및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개의 단지로 개발되는 지역차원의 경우 공공 오픈스페이스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에 공공시설이나 공원 등지에 대규모 시설이 적용가능하다(<표 2-1 >참조).

일차적으로 개별 대지에서 빗물을 분산식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축면에 떨어진 빗물을 일시적으로 침투, 저류하기 위해 지붕녹화를 적용할 수 있으며, 또는 빗물이용을 목적으로 저장조를 설치하고 이곳에서 월류되는 빗물 은 연결된 침투․저류시설로 보내지도록 한다(<그린 2-4> 참조). 이 때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물수요가 많은 상업건물이나 체육시설, 유원지 등 단일 건축물에서 는 빗물이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일반주택의 경우에는 물 순환을 고려하여 침투를 주목적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림 2-4> 개별대지에서의 분산식 빗물관리 예

단일 사업주체에 의해 일정규모 이상 개발하는 단지의 경우 빗물이용․침투․

저류를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단지계획 초기에 우선적으로 투수면 확 보가 가능하며, 소방용이나 조경용, 비상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빗물이용도 가능 하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빗물침투․저류시설의 설치로 인해 지 역적 미기후의 개선, 토양기능의 확립, 토양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 등 다양한 생 태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설설치로 인해 경관적 가치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단지차원에서 처리되지 못한 빗물은 각 시설과 연결된 우수 관거 및 지역단위의 2차 저류지로 원류시키는 것이 요구된다(<그림 2-5> 참조).

* 주택에서의 이용 - 청소용 - 화장실용

- 세탁용

- 정원용

지붕으로부터 집수

단지내 대규모 저장시설

* 단지내 외부 공간에서 확보 - 조경용 - 소방용

- 비상용 침투

원류 강우

<그림 2-5> 단지차원에서의 분산식 빗물관리 예

자료 : 이태구 외. 2005. p.64

지역차원에서는 특히 택지개발사업과 같이 신규로 개발되는 지역에서는 토지 이용계획 단계에서 토지확보가 가능하므로 공원이나 하천 주변에 대규모 저류지 등 시설계획이 가능하다. 대규모 저류지는 유출저감과 수해방지의 효과가 있으

며, 이는 도시의 존립 중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중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