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가가치 기준 비교우위 지수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6-110)

로 인한 해외조달의 확대(한국)에 기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는 국내 부가가치의 재 수입 비중이 비교적 높은데 이는 미국 제조업에서 수출된 핵심 중간재가 재가공된 후 중간재로 역수입되어 생산에 활용되는 분업구조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림 3-19> 주요 국가의 제조업 및 서비스산업 VAX 변화 추이

자료: World Input-Output Database를 이용하여 저자 산출.

2. 부가가치 기준 비교우위 지수 분석

해당국가의 해당산업의 총량 수출만으로 판단했을 때 수출량이 과다 계상되어 현시비 교우위지수도 현실보다 더 크게 계산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산업의 경쟁력에 대해 과대 평가할 우려가 있다.

Wang, Wei and Zhu(2013)는 부가가치 기준으로 무역량을 도출된 현시비교우위(New RCA in Value Added)지수를 개발하여 전통무역량 기준으로 계산된 RCA지수의 단점 을 보완하여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에서 해당 산업의 실질 기여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판단할 수 있다. 부가가치 기준에서 도출한 NRCA지수는 해당 국가 해당 산업의 부각 가치를 통해 전방에 있는 산업의 수출에 기여하는 정도가 세계 전체 부가가치에서 해 당 산업이 기여하는 정도 보다 큰 산업이라는 의미이다.

다음 <그림 3-20>는 주요 국가의 상품, 서비스 산업별 경쟁력 구조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그림 3-24>는 상품산업의 경쟁력 구조변화에 나타나듯이 중국과 한국은 미국, EU, 일본보다 NRCA가 높게 나타나다. 이는 상품분야에 전방산업에 위치 에 이는 한국과 중국은 상품산업의 수출 기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상품분야 수 출산업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수출산업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국의 NRCA지수는 점차 하락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이는 중국은 상품분야에서 비교우위 를 잃으면, 경쟁력을 점점 떨어지고 있다.

서비스산업의 NRCA지수는 상품분야와 다르게 상품분야에 비교우위를 가진 한국과 중국은 선진국인 미국, EU, 일본 보다 비교열위 위치에 처한다. 이는 미국, EU는 서비 스분야에 전방산업에 위치하여, 수출산업은 고부가가치 구조를 구성되기 때문이다. 서 비스분야에서 미국, EU, 일본은 수출산업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20> 주요 국가의 상품 및 서비스 NRCA 변화 추이

자료: World Input-Output Database를 이용하여 저자 산출.

나. 주요국의 산업별 NRCA 지수

한국과 주요 국가 간의 광학 및 전자기기 산업의 NRCA 지수를 비교해 보면, 다음

<그림 3-21>과 같다. 한국의 컴퓨터, 광학 및 전자기기 산업에서 전반적으로 비교우위 를 갖고 있으며 추세를 볼 때 대만의 컴퓨터, 광학, 전자기기 산업은 2000년부터 지속적 으로 비교우위 위치에 있고, NRCA가 2000년부터 더욱 커지는 방향으로 경쟁력의 변화 가 일어나고 있다. 일본의 경우, NRCA지수는 변화 없는 것을 측정됨을 나타나고, 중국 의 컴퓨터, 광학, 전자기기 산업의 NRCA지수는 2000년 비해 점차 증가 하는 추세를 보 인다. EU, 미국의 경우는 대만, 일본, 한국, 중국 보다 비교열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21> 국가별 컴퓨터, 광학, 전자기기 NRCA 지수 비교

자료: World Input-Output Database를 이용하여 저자 산출.

한국은 부가가치 기준에서 볼 때 코크스, 석유제품에서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 하지 만, 2000년에 비해 NRCA는 점차 하락하고 있는 추세를 나타나며, 경쟁력을 점점 잃어 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추세를 통해 보면, 코크스, 석유제품 산업에서 미국, 일본은 NRCA가 모두 상승 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NRCA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대만, 한국과 중국 감소하는 추 세인데 반면에 일본, 미국의 NRCA 폭이 커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22> 국가별 코크스, 석유제품 NRCA 지수 비교

자료: World Input-Output Database를 이용하여 저자 산출.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및 기타운송기기산업에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이런 현상이 2014년에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 중국, 일본, EU국가의 NRCA 상승폭이 더욱 확대되어가는 방향으로 경쟁력이 상승하고, 미국과 대만의 NRCA는 2000년에 비해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3-23> 국가별 자동차, 기타운송기기 NRCA 지수 비교

자료: World Input-Output Database를 이용하여 저자 산출.

생산자 서비스산업은 미국, EU 선진국 높은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이런

현상이 2014년에 더욱 두드러진다. 중국의 생산자 서비스의 NRCA 지수 경우에는 미 국, EU보다 비교열위를 가지고 있지만, 2014년 NRCA지수는 2000년보다 상승세를 보 이면서, 제일 큰 상승폭으로 나타나고, 경쟁력이 강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2000년 보다 NRCA 모두가 하락세를 나타나고, 비교열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24> 국가별 생산자 서비스 NRCA 지수 비교

자료: World Input-Output Database를 이용하여 저자 산출.

3.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지수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6-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