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유구 활용방안과 보존 계획

3.2.2. 복원의 목적

• 발굴 성과를 공개하는 장이 될 수 있어야 하고 고증을 통하여 복원함으로서 교육 및 학술자료로 활용한다.

• 역사의 장으로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일조할 수 있 도록 한다.

• 주변유적과 연계한 광범위한 관광권 형성에 이바지한다.

3.3. Image 및 Design 계획 3.3.1. 기본방향 설정

시각매체인 이미지와 디자인계획은 정보 전달에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공

39

보존시설물 Signage System Land Scape Architecture

-친환경 소재 사용

40

-3.5. 활용 계획

3.5.1. 전시

단순 공원시설물로서가 아닌 문화유적 복원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실외전시(Open-air)에서 유구의 복원 순서(동선체계)는 주 출입구에서 가까운 곳으로 부터 발굴 당시의 유구번호 순서에 따라 동선체계를 구성하여 과거부터의의 여행을 느 끼도록 한다.

유적공원에 출입하는 입구와 출구 부분에 Street Furniture를 설치하여 관심 유도사인 으로 계획하고 유적과 유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전․복원된 유구에 발굴당시의 유물 출토 상황을 연출하여 교육적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출토된 유물들 을 복제하여 Display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Land Scape Architecture를 공원 전제의 경 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제작 설치하도록 하고 유구의 상부 보호시설이나 보호각은 최대한 유지관리를 염두에 두고 계획한다.

건축배치 형태는 조경, 유적, 주변 환경과 조화가 되면서 유구의 보존에 악영향이 없도 록 한다.

3.5.2. 조경

조경공간은 휴식공간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편안하고 쉴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하 는데 기본적으로 조경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도록 한다. 고 유적공원의 탐방로 주변으로 는 교목을 식재하여 산책로의 느낌이 들도록 계획하되 유적의 성격과 잘 어울리도록 계 획하여 상징의미와 유적공원이 유적이라는 것을 알리는 기능을 가지게 한다. 각각의 공 간은 독자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식재, 포장, 구조물 설치를 차별화하여 계획한다.

시설물들은 각 요소 사이사이에 배치하여 휴식 및 대화의 기능을 충분히 가지도록 계 획한다.

대지는 이전․복원 유구 사이사이에 낮은 구릉지를 두어 유적지의 독자성 확보 및 단순 함을 피한다. 식재에 있어서는 유적이 위치한 지방의 주 수종을 선택하여 이질적이지 않 도록 하고 단지 내 녹지 축, 학교, 인근도로 등과 보행동선과 서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유적공원 주변 수종은 관목으로 계획하여 공원의 경계, 완충녹지, 소음 방지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유적공원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가능한 한 친환경소재를 사 용하도록 하고 철재, 목재, 석재 등의 다양한 재료를 주변의 경관과 어울리게 계획한 다.(표11)

4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