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4. 변인들 간의 관계

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부모의 양육방식은 자녀들의 발달과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환 경적 요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부모의 양육방식 중 통제는 주로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Barber(1996)에 의해 통제의 형태에 따라 행동적 통제와 심리적 통제로 나누어지기 시작했다. 행동 통제는 비교적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지만, 심리적 통제는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 구되었다(McWayne, Owsianik, Green, Fantuzzo, 2008). Barber(1996)는 부모가 심리적 통제를 지속하게 되면, 자녀들은 부모로부터 정서적 안정을 얻지 못하거

서에 집중하여 관계적 공격성을 높게 보인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김은진(2017) 의 연구에서는 남아와 여아 모두 높은 관계적 공격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관 계적 공격성은 성별에 따른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성별에 따 라 어떤 영향을 각각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나.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중에 대표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요인은 부모와 가족이다. 특히,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경험은 행동적, 정서적 발달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부모와의 관계에서 부정적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경 험하게 되면 정서적 박탈감을 느끼고 우울증 발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신현숙, 2012; 정은선, 조한익, 2009; 정지영, 김종남, 2011; Blatt, & Homann, 1992). 우울 한 사람들은 어린 시절 부모의 양육이 애정과 지지가 적었고 부모의 권위와 통 제, 비난이 과도하게 높은 양육방식이라고 하였다(Blatt, & Homann, 1992).

이와 연관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부모의 돌봄 수준이 낮아 무관심, 냉담함, 거부, 무시와 같은 특징을 보일수록, 그리고 과잉간섭을 통해 사생활을 침범하고 의존성을 유발하는 행동을 할수록 자녀는 우울 증상을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보경, 민병배, 2006). 또한 통제적이고 적대적인 양육행동은 아동의 우울, 외로움, 불안 등의 정서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있다(신나나, 도현 심, 최미경, 김민정, 2013; 신미지, 김태경, 2013; 장창현, 2006). 부모의 지지와 감 독은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지만,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대는 청소년기인 중학생의 우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신현숙, 2012; 정은선, 조한인, 2009; 정지영, 김종남, 2011). 여러 연구에서 어머니가 성취 지향적 심리통제, 죄 의식 유도, 애정철회와 같은 심리적 통제를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의 우울이 높아 진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김희영, 박성연, 2008). 부모가 심리적 수단을 이용하 여 통제한다고 지각할수록 우울 증상을 더 자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혜인, 2010). 아버지가 심리적으로 통제할수록 자녀들은 우울한 감정을 더 자주 느꼈으 며, 일하기 힘들어하거나 귀찮아하고, 대인관계에도 어려움을 겪었다(정유나,

2015).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로 보아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과 밀 접한 관련이 있으며,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 증상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 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다. 우울과 관계적 공격성

청소년기는 발달적․사회 환경적․심리적 특성의 변화로 인하여 우울 증상이 증가하는 시기이며(Rutter, 1986), 특히 우울 증상이 다른 형태의 행동적 적응 문 제로 표출되어 그 심각성이 더해진다. 청소년의 가장 보편적인 심리적 부적응적 인 우울은 건전한 자아의식 발달 및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저해한다(최영희, 박영애, 박인전, 신민섭, 2002). 하지만 청소년기는 어느 때보다 또래관계가 중요 한 시기이다. 또한 사춘기에 접어들고 또래에 대한 자기 개방성이 증가하면서 분 노, 불평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친밀한 또래관계 안에서 교묘하게 표출함으로 써 관계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Crick, Ostrov, & Werner, 2006).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 중 우울은 아동, 청소년의 공격성과 의 공병이 자주 관찰되는 요인으로(신현숙, 2013) 우울은 청소년의 비행에 관한 연구들에서 공격적 행동을 보여주는 가해자의 심리 정서적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다(김유자, 백용매, 2000). 여러 연구에서 청소년의 우울 증상과 공격성 사이의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홍태화, 황순택, 2015), 일반 청 소년 대상의 연구에서는 공격성이 높은 집단의 우울 증상 수준이 공격적이지 않 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Prinstein, Boergers, & Vernberg, 2001), 폭력 가해자가 분노나 적대감 이상으로 심각하게 우울했다(Maiuro, Sahn, Vitaliano, Wagner, & Zegree, 1988)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은 깊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관계적 공격성에 우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