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3 실차 변속 시험

4.3.1 시험 조건

교정이 완료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 측정 장치를 실제 운전이 가능한 트랙 터에 설치하여 변속 시험을 수행하였다. 변속시스템의 동적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엑 추에이터 출력축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와 변속 레일과 연결된 위치센서 (potentiometer)를 이용하여 입력인 변속 엑추에이터의 토크와 출력인 변속 레일의 각 변 위를 각각 측정하였다. 위치센서의 사양은 표 4.6에 나타내었다.

Items Units Value

Sensor - Potentiometer

Manufacturer - KI WON ELECTRONICS

Model - TR750

Resistance Ω 350±0.2

Range % 3

Table 4.5 Specification of potentiometer

실차 구동 시험을 수행한 이유는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파워시프트 변속기의 경우, 싱크로나이저 전/후단에 복수의 습식 다판 클러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변속 시 이 습식 다판 클러치들로 인한 드래그 토크가 싱크로나이저 동기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구동 시험 시 변속기 내부 회전부품과 후륜의 회전력을 통하여 습식 다판 클러치의 드

래그 토크는 실차조건과 유사하게 반영되었으며, 해제된 습식 다판 클러치로 인하여 차

Fig 4.12 Test result of F4-F5 shift at 850 rpm.

엔진 최대회전 속도(2,350 rpm)에서 전진 4단에서 5단 상향 변속 시험을 5회 반복하 였다. 시험 결과, 전진 4단에서 전진 5단 변속 시 더블 범프는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 다. 또한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가 반복 시험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엔진 공회 전 속도(850 rpm) 시험 보다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에서 동기화에 기인한 토크가 평 균 37% 정도 크게 나타났다. 엔진 최대속도에서 전진 4단에서 전진 5단의 결과를 그림 4.13에 나타내었다. 약 0.38초에 전진 4단 변속해제에 의한 토크(9.02 Nm)가 나타났다.

이는 공회전 속도에서와 같은 이유로 마찰력과 역 사면 경사각도에 기인한다. 또한 공 회전 속도와 동일한 이유로 중립구간에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았다. 약 0.55초에 싱 크로나이저 동기화가 완료되었으며, 이때 최대 토크는 30.01 Nm이 발생하였다. 약 0.7 초에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9.28 Nm)가 나타났다.

Fig 4.13 Test result of F4-F5 shift at 2,350 rpm.

(2) 하향(downshift, 5→4단) 변속 시험

엔진 공회전(850 rpm) 속도에서 전진 5단에서 4단 하향 변속 시험을 5회 반복하였다.

하향 변속 시험 결과, 더블 범프가 4번 발견되지만 모두 싱크로나이저 동기화에 기인한 토크의 50% 이하로 변속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 또한, 엔드 스 톱에 기인한 토크는 동기화에 기인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의 토크의 50% 수준이었 다. 수동 변속기의 경우에는, 일정 이상의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가 변속의 절도감을 주어 변속 품질에 유리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DC모터를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하기 때 문에 변속 품질과 관련이 없다. 그러나 DC모터의 부하 및 수명 등의 관점에서 볼 때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가 없거나 작은 것이 이상적이다. 엔진 공회전 속도에서 전진 5단에서 전진 4단의 변속 시험 결과를 그림 4.14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약 0.35초에 전진 5단 변속해제에 기인한 토크가 0.38 Nm로 표시되었다. 상향 변속(4→5단)과 동일 한 이유로 중립구간에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았다. 약 0.51초에 싱크로나이저 동기 화가 완료되어 최대 토크 –14.84 Nm가 발생하였다. 약 0.55초에는 더블 범프에 기인한 토크(–1.61 Nm)가 발견되었다. 슬리브에 가공된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가 0.68초에 – 7.75 Nm 로 발견되었다.

Fig 4.14 Test result of F5-F4 shift at 850 rpm.

엔진 최대 회전 속도(2,350 rpm)에서 전진 5단에서 4단으로 하향 변속 시험을 5회 반 복하였다. 5회의 하향 변속 시험 동안, 더블 범프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공회전에서 하향 변속 시험할 때보다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에서 싱크로나이저 동기화에 기인한 토크가 평균 65.8% 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하여 기어와 허브 의 상대회전 속도가 커지기 때문에 그에 따라 마찰에 의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실시키 기 위해서 더 큰 축 방향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주변속 하향 변속 대비 상향 변속의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의 최대 토크가 엔진 공회전 속도에서 37.4%, 최대 속 도에서 13.8% 크게 나타났다. 이는 변속 시 연결된 회전 관성의 크기와 상대 회전 속 도의 영향으로 싱크로나이저의 슬리브에 작용하는 힘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약 0.35초에 전진 5단 변속해제에 기인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가 0.33 Nm발생하 였다. 주변속 상향 혹은 하향 변속과 동일한 이유로 중립구간에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림 4.15를 보면, 약 0.54초에 싱크로나이저 동기화가 완료되었으며, 이때 변 속 엑추에이터 출력축에 최대 토크 –25.40 Nm가 발생하였다. 슬리브에 가공된 엔드 스 톱에 기인한 토크는 약 0.69초에 나타났다.

Fig 4.15 Test result of F5-F4 shift at 2,350 rpm.

4.3.3 전-후진 변속 시험

(1) 방향 전환(F8→R8단) 변속 시험

엔진 공회전 속도(850 rpm)에서 전진 8단에서 후진 8단 전/후진 변속 시험을 5회 반 복하였다. 시험 결과 전/후진 변속 시 더블 범프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림 4.16에 전진 8단에서 후진 8단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약 0.22초에 후진 8단 기어 해제에 기인 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가 –1.54 Nm의 크기로 발생하였다. 주변속과 동일하게 슬리브와 기어의 스플라인에 가공된 역 사면 경사각도에 의해 발생된 것이다. 전/후진 변속의 경우, 급격한 속도변화에 따른 변속 충격 발생을 감소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하 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시간 중립변속 구간을 갖게 한다. 전진에서 중립으로 변속을 해 제하여 일정시간 지연시키면 회전 속도가 감소하여 싱크로나이저 동기화에 유리해진다.

또한, 싱크로나이저 변속 완료 후 습식 다판 클러치 체결로 전체 변속이 완료될 때 차 량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정속도 이상의 전/후진 변속에는 중립변속 제어를 수행하거나 변속을 제한한다. 따라서, 전진에서 후 진으로의 변속 중 약 0.37초에 중립구간을 두었으며, 약 –1.24 Nm의 오버슈트가 발생 하였다. 약 0.64초에 싱크로나이저 동기화가 완료되며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에서 최 대 토크 –21.02 Nm가 발생하였다. 또한, 약 0.81초에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2.06 Nm)가 발견되었다.

Fig 4.16 Test result of F8-N-R8 shift at 850 rpm.

엔진 최대 회전 속도(2,350 rpm)에서 전진 8단에서 후진 8단으로 전/후진 변속 시험 을 5회 반복하였다. 시험 결과, 전/후진 변속 시 5회의 반복 시험 동안 더블 범프는 발 견되지 않았다. 반복 시험 중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가 3번 발견되었다. 엔진 공회전 속도에서 전/후진 변속 시험을 수행할 때보다 엔진 최대속도에서 동기화를 위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가 39.2% 정도 크게 나타났다. 그림 4.17을 보면 약 0.27초에 전진 8단 변속해제에 기인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가 –1.95 Nm 발생하였다. 주 변속 시험과 동일하게 슬리브와 기어의 스플라인에 가공된 역 사면 경사각도에 의해 발생한 것이며, 임의의 기어 빠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변속 충격 감소 및 안전을 위하여 중립제어를 수행하며, 중립구간인 0.42초에 약 –1.08 Nm의 오버슈트가 발생하 였다. 약 0.75초에 싱크로나아저 전/후진 변속 동기화가 완료되었으며 이때 최대 토크 –28.37 Nm이 발생하였다.

Fig 4.17 Test result of F8-N-R8 shift at 2,350 rpm.

(2) 방향전환(R8→F8단) 변속 시험

엔진 공회전 속도(850 rpm)에서 후진 8단에서 전진 8단 방향전환 변속 시험을 5회 반복하였다. 전/후진 반복 시험 결과, 더블 범프에 기인한 토크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 림 4.18을 보면, 후진 8단 변속해제로 인한 토크가 0.3초에 5.57 Nm로 나타났다. 전/후 진 변속 시 변속 충격 개선을 위해 중립변속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진에서 후진 변속과 동일하게 중립구간인 0.44초에 약 2.86 Nm의 오버슈트가 발생하였다. 약 0.72초 에 싱크로나이저 동기화가 완료되었으며, 이때 최대 토크 23.20 Nm가 발생하였다. 또 한,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가 0.88초(5.6 Nm)에 발견되었다.

Fig 4.18 Test result of F8-N-R8 shift at 850 rpm.

엔진 최대 속도(2,350 rpm)에서 후진 8단에서 전진 8단 전/후진 변속 시험을 5회 반 복하였다. 반복 시험 결과, 전/후진 8단 변속 시 더블 범프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가 5회 반복 시험 중 3회 발견되었다. 공회전 속도 시험 보다 최대 속도에서 전/후진 변속 시험할 때 싱크로나이저 동기화를 위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가 평균 42.92% 정도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각 기어와 허브의 회전 속도도 같이 증가하지만, 회전방향이 반대이므로 두 부품 간 상 대회전 속도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회전 관성과 마찰계수, 싱크로나이저 유효반 경 등 설계인자가 동일할 경우, 동기화 시간이 같으면 슬리브에 작용하는 축 방향 하중 이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의 토크가 켜지게 된다. 전진→후진 변속보다 후진→전진 변속에 대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가 17.35%(850 rpm), 14.27%(2,350 rpm) 더 크게 나타난 이유는 방향전환 변속 시 기어와 허브에 연결된 회 전 관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임의의 기어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리브와 기 어의 스플라인에 가공한 역 사면 경사각도에 의해 약 0.15초에 후진 8단 변속해제에 기 인한 토크(5.7 Nm)가 발생하였다. 전→후진 변속과 동일한 이유로 변속 충격 저감과 안 전을 위하여 중립변속을 거치기 때문에 중립구간인 0.3초에 약 3 Nm의 오버슈트가 발 생하였다. 약 0.63초에 싱크로나이저 동기화가 완료되었으며, 이때 최대 토크 33.29 Nm

엔진 최대 속도(2,350 rpm)에서 후진 8단에서 전진 8단 전/후진 변속 시험을 5회 반 복하였다. 반복 시험 결과, 전/후진 8단 변속 시 더블 범프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엔드 스톱에 기인한 토크가 5회 반복 시험 중 3회 발견되었다. 공회전 속도 시험 보다 최대 속도에서 전/후진 변속 시험할 때 싱크로나이저 동기화를 위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가 평균 42.92% 정도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각 기어와 허브의 회전 속도도 같이 증가하지만, 회전방향이 반대이므로 두 부품 간 상 대회전 속도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회전 관성과 마찰계수, 싱크로나이저 유효반 경 등 설계인자가 동일할 경우, 동기화 시간이 같으면 슬리브에 작용하는 축 방향 하중 이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의 토크가 켜지게 된다. 전진→후진 변속보다 후진→전진 변속에 대한 변속 엑추에이터 출력축 토크가 17.35%(850 rpm), 14.27%(2,350 rpm) 더 크게 나타난 이유는 방향전환 변속 시 기어와 허브에 연결된 회 전 관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임의의 기어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리브와 기 어의 스플라인에 가공한 역 사면 경사각도에 의해 약 0.15초에 후진 8단 변속해제에 기 인한 토크(5.7 Nm)가 발생하였다. 전→후진 변속과 동일한 이유로 변속 충격 저감과 안 전을 위하여 중립변속을 거치기 때문에 중립구간인 0.3초에 약 3 Nm의 오버슈트가 발 생하였다. 약 0.63초에 싱크로나이저 동기화가 완료되었으며, 이때 최대 토크 33.29 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