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국 일기예보 방송

문서에서 정 책 연 구 최 종 보 고 서 (페이지 46-52)

I. 서 론

3) 미국 일기예보 방송

(1) 지역방송의 경쟁력: 일기예보

일기예보는 미국 지역방송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다(Salsberg, 2003). 미국 지역방송의 시청자는 일기예보를 뉴스의 다양한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 한 요소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Galletto, 1997), 일기예보의 내용을 뉴스의 다른 내용 보다 많이 기억한다(Neuman 1976). 이러한 이유로 플로리다 탬파와 세인트피터즈버 그는 지역 방송국평가에 개별 방송국의 일기예보 능력을 포함하고, 캘리포니아의 샌디

에이고 지역방송국은 뉴스 시간의 약 10%를 일기예보에 할애한다. 이는 미국 시청자 가 전국 기상정보보다 거주 지역의 기상정보에 많은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 (Wulfemeyer, 1983).

미국 지역방송의 이미지와 브랜드는 간헐적인 재해/재난 보도보다 일상적인 일기예 보 활동이 좌우한다. 방송국이 재해/재난 상황을 잘 예측하고 보도했다 하더라도 평상 시 일기예보의 수준이 낮았다면 방송국은 좋은 이미지와 브랜드를 형성할 수 없다 (Salsberg, 2003). 일기예보는 지역방송국간 경쟁이 치열한 영역으로 각 방송국은 신 뢰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장기예보의 정확성을 위해 고민한다(Malone, 2007). 이를 위해 지역방송은 예보승인제(seal of approval)를 시행하거나 일기예보 진행자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미국 지역방송 일기예보 진행자 대상 설 문 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전체 진행자 중 과반(56%)이 기상학 또는 기상학 관련 학위를 보유하고 있었다(Earl & Pasternack, 1991). 특히 방송시장 규모가 중 간 정도인 지역에서는 기상학 학위나 자격증과 같은 일기예보 진행자의 전문성이 방송 사 경쟁력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Walker, 2006).

치열한 경쟁 속에서 좋은 이미지와 브랜드 형성을 위해 방송국이 일기예보를 어떻게 차별화하고 있는지 플로리다주 탬파-세인트피터스버그, 알라바마주 버밍햄, 오클라호 마주 오클라호마시티,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 등 미국 다 섯 개 지역에서 수집한 146개의 일기예보 내용을 분석해 보여준 연구가 있다(Daniels

& Loggins, 2010). 연구가 수집하고 분석한 자료는 모두 이른 저녁, 주 시청시간대, 심야 시간대에 방송된 저녁 뉴스에 포함된 일기예보로 이들의 평균 시간은 3분 5초였 다.

모든 일기예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요소는 기상 레이더(radar), 위성 지도(satellite map), 단기예보(short-term forecast), 주와 지역의 관측치(state and regional observation)였다. 전체 일기예보의 80%는 5일 장기예보, 전국 예보, 현재 기상 상황 도 다루고 있으며 단지 약 20%의 일기예보만이 날씨를 보여주는 별도의 영상을 이용 했다. 대부분의 일기예보는 뉴스 진행자의 소개로 시작되었으며, 20%만이 소리와 애 니메이션 등의 신호로 시작을 알렸다. 일기예보의 차별화를 위해 가장 많이 강조된 기 술은 레이더로 많은 방송국이 일기예보의 장점으로 자신이 보유한 레이더를 언급했다.

특히 FOX 직할 방송국(owned & operated station)이 자신이 보유한 레이더 기술과 관련 기구를 강조한 빈도가 타 방송에 비해 높았다.

다수의 방송국이 기술의 강조를 통해 자신의 일기예보를 차별화한 것과는 달리, 소 수의 방송사는 ±3도 범위 안에서 예측을 보장하는 전략(Degree-Guarantee strategy)을 펼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을 사용한 방송의 일기예보가 그렇지 않은 예보에 비해 눈에 띄게 높은 정확도를 보이진 않았다. 예보의 정확성을 전반적으 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54.8%)의 예보가 미국 기상청이 보고한 최고기온과 3도 이내 의 차이를 보였으며, 14.4%의 최고기온 예측이 맞았다. 특히 기상정보업체 (AccuWeather 등)의 전문가를 이용해 중앙화된 형태의 예보를 보인 방송사의 정확도 가 그렇지 않은 방송사에 비해 높았다.

지역에서 경쟁력이 있는 방송이 일기예보의 브랜드화를 이끌었다. 전체 일기예보 브

랜드의 약 70%가 지역에서 1~2위의 시청률을 기록한 방송국에 의해 만들어졌다. 브 랜드 이미지는 지역별 차이가 없었으며, 브랜드명은 방송국의 일기예보 도구와 기술에 도 적용되었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방송국의 브랜드화된 일기예보의 60%는 시간이 전체 일기예보 평균(3분 5초)보다 길었으며, 진행자 대부분은 미국기상학회(AM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혹은 국립기상협회(National Weather Association)의 자격인증을 받았다.

(2) 미국 지역방송의 일기예보

미국 지역방송의 일기예보는 일기예보 진행자가 예보를 전달하는 부분(segment)과 일기예보 진행자와 뉴스 진행자가 가벼운 이야기를 나누는 부분(banter)으로 구성된다 (Doherty & Barnhurst, 2009). 일기예보 진행자가 기상정보를 전달하는 부분은 평 균 61초, 가벼운 대화를 나누는 시간은 평균 13초로, 비율은 5대 1이었다. 가벼운 대 화 부분의 어조와 정규 예보 부분의 전반적인 어조는 상당히 다르다. 전자의 어조는 긍정과 부정이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후자는 대부분 부정적이다. 뉴스의 어조가 전반 적으로 부정적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예보 부분은 뉴스와 비슷한 역할을, 대화 부분은 일반 뉴스와는 다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정규 예보 부분에서, 일기예보 진행자는 단순 정보전달자가 아닌 직간접적으로 날씨 를 통제한다는 인상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일기예보 진행자는 화면에 나타난 구름의 움직임을 보여주며“지금은 구름이 많지만, 오후에는 사라지겠습니다”라고 약속의 형 태로 말하는데, 이러한 약속형태의 일기예보는 일기예보 진행자와 뉴스 진행자와의 가 벼운 대화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일기예보 진행자는 뉴스 진행자와 대화할 때보다 예 보를 전달할 때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기상정보를 제공할 때 일기예보 진행자는 자신 의 권위 있는 역할을 강조하지만, 뉴스 진행자와 대화할 때는 자신의 권위를 감추어 보통의 인간으로 보이도록 노력한다. 마찬가지로 뉴스 진행자와 대화할 때는 일기예보 진행자가 자연에 순종하는 듯한 역할을 하지만, 예보 부분에서는 자연의 예측 불가능 성을 강조한다.

예보 부분과 대화 부분의 화면을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도 다르다. 예보 전달의 대부 분은 날씨 변화를 보여주는 컴퓨터 그래픽과 영상에 의존한다. 대화 부분은 컴퓨터 그 래픽과 같은 시각 묘사 없이 대화 중인 두 사람을 보여주는 데 그친다. 기상정보의 권 위 관점에서 영상과 그래픽은 다른 의미가 있다. 영상은 일기예보 진행자가 전하는 날 씨 정보의 진실성과 사실성을 지지하는 시각적인 현실 근거로서 역할을 하며, 지도와 기상도와 같은 그래픽은 일기예보에 담긴 과학과 기술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대화 부분은 인간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예보 부분은 일기예보 의 과학적 측면을 강조한다. 이와 같은 미국 지역방송의 일기예보 전달방식은 과학정 보를 일상생활과 연관시키는 일기예보 진행자의 역할과 일맥상통한다. 일기예보 진행 자의 임무는 시청자에게 기상학이라는 과학지식이 가득한 일기예보를 어떻게 이해하고 일상에서 이용해야 하는지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3) 미국 지역방송 일기예보의 언어와 숫자

인간의 역사에서 날씨를 숫자로 표현하고 이해한 것은 400년이 되지 않는다 (Brunskill, 2010). 오랫동안 인간은 형용사 등을 통한 질적 표현(qualitative description)으로 날씨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에 적응해왔다. 17세기부터 이루어진 관 측 도구의 개발과 발달로 인간은 대기의 변화에 숨어있는 물리적 법칙을 발견하고 이 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숫자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관측은 정교해지고 기상 현 상과 관련한 새로운 수많은 개념이 만들어졌으며, 기상 예측의 정확성도 높아졌다. 이 렇듯 관측기술과 분석기법의 발전은 인간의 날씨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크게 이 바지했다.

숫자를 이용한 양적 표현(quantitative description)으로 날씨에 대한 인간의 이해는 확대되었고 동시에 일반인과 기상학자가 사용하는 기상과 관련한 개념과 용어 사이의 틈도 넓어졌다. 인간은 개인 경험에 기초해 날씨를 이해한다(Morss, Demuth, &

Lazo, 2008). 따라서 숫자로 표현된 날씨 정보와 숫자가 가리키는 날씨 상황에 대한 개인 경험이 일치하지 않으면 개인은 기상과학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다. 게다가 개인의 날씨 경험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다르므로(Brunskill, 2010) 숫자로 표현된 날씨 정보를 일반인이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기상정보 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날씨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 한 형용사와 같은 질적 표현과 기상학자가 사용하는 숫자 표현이 어떻게 관계되어 있 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미국 동부 해안과 중서부 지역의 일부를 포함하 는 23개 도시의 지역방송 일기예보 진행자가 기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형용 사를 분석한 연구(Brunskill, 2010)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지역방송의 일기예보 진행자는 기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절대(absolute), 맥 락(context), 평균(average), 지역(geographic) 등 네 가지의 범주로 나눌 수 있는 기준틀(reference frame)을 이용한다. 절대 프레임(absolute frame)은 일기예보 진 행자가 기온을 언급할 때, ‘따뜻한(warm)’, ‘더운(hot)’, ‘추운(cold)’ 등과 같 이 시청자가 기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형용사를 사용한 일기예보를 의미한다. 평균 프레임(average frame)은 진행자가 기온을 말할 때, ‘오늘 기온은 평년보다 높다 (Today’s temperature will be above average)’와 같이 평균 기온과 비교하는 형용사를 사용하는 일기예보를 뜻한다. 맥락 프레임(context frame)은 진행자가 기온 정보를 전달할 때, ‘내일은 오늘보다 시원하다(Tomorrow will be cooler than today)’와 같이 전날 기온과 비교하는 형용사를 사용한 일기예보를 말한다. 지역 프 레임(geographic frame)은 일기예보 진행자가 기온을 전달할 때, 예보지역 전체의 기 온 변화를 언급한 일기예보를 의미한다.

절대 프레임을 선택한 일기예보에서 많이 쓰인 형용사는 ‘따뜻한(warm)’, ‘시원 한(cool)’, ‘더운(hot)’, ‘포근한(mild)’, ‘추운(cold)’, ‘쌀쌀한(chilly)’ 등 이었다. 일기예보 진행자의 기온에 대한 형용 표현과 미국 국립기상국(NWS: National Weather Service)의 해당 날짜 관측치를 비교한 결과(표 1), 이들 중 ‘추운 (cold)’ 형용사는 하루평균기온 –1.1℃, ‘따뜻한(warm)’은 21℃, ‘더운(hot)’은

28℃를 나타냈다.

용어 하루 최저기온 하루 평균 기온 하루 최고기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추운 -4.4 6.7 -1.1 6.1 2.8 6.7

쌀쌀한 1.1 6.1 4.4 5.1 8.9 6.1

시원한 6.1 6.1 10 6.1 14 6.1

포근한 7.2 6.7 13 6.1 19 6.1

따뜻한 14 6.1 21 5.6 26 5.6

더운 22 2.8 28 2.2 33 4.7

출처: Brunskill(2010). 수정 인용

<표 22> 절대 프레임 일기예보의 형용사 표현과 실제 기온

평균 프레임을 선택한 일기예보에서 진행자가 기온을 전할 때 이용한 대표적인 형용 표현으로는 ‘평년보다 낮은(below average)’, ‘평년보다 약간 낮은(a bit below average)’, ‘평년과 비슷(around normal, normal)’, ‘평년보다 약간 높은(a bit above average)’, ‘평년보다 높은(above average)’ 등이 있었다. 이러한 표현들 이 어느 정도의 기온 차를 의미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미국 국립기상국 관측치와 비교 한 결과(표 2), ‘평년보다 낮은(below average)’은 해당 일의 기온이 평년기온과 평균 –4℃의 차이가 있을 때, ‘평년보다 약간 낮은(a bit below average)’은 기온 차가 평균 –1.6℃일 때, ‘평년과 비슷(around normal, normal)’은 평균 0.36℃일 때, ‘평년보다 약간 높은(a bit above average)’은 2.4℃일 때, ‘평년보다 높은 (above average)’은 기온 차가 평균 4.3℃일 때 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맥락 프레임 표현은 기온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해당 표현이 나타내는 기온 차이 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형용 표현 평년과의 차이

(평균) 표준편차 평년과의 차이

(최저/최고)

평년 대비 최저기록(record low) -8.1 2.1 -8.9/-7.2

평년보다 꽤 낮은(well below) -5 5 -11/0.56

평년보다 낮은(below) -4 4.1 -8.9/0.56

평년보다 약간 낮은(a bit below) -1.6 3.2 -5/2.2

평년과 비슷(around normal) 0.36 4.9 -4.4/7.2

평년 기온(normal) 0.36 4.9 -8.3/12

평년보다 약간 높은(a bit above) 2.4 4.9 -1.1/9.4

평년보다 높은(above) 4.3 5.8 -2.2/17

평년보다 꽤 높은(well above) 6.2 6.6 -5/13

평년 대비 최고기록(record high) 10 6.9 -1.1/21

출처: Brunskill(2010), 수정 인용

<표 23> 평균 프레임 일기예보의 표현과 기온 차이

앞서 설명했듯이 맥락 프레임은 예보일 기온과 전날 기온을 비교해 시청자에게 기온 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프레임은 진행자의 표현을 ‘더 시원한(cooler)’, ‘더 따 뜻한(warmer)’, ‘비슷한(stay the same)’ 세 범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그 결과 (표 3), 전날 대비 기온 변화가 평균 –3.3℃일 때, 일기예보 진행자는 ‘어제보다 더 시원한’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며, 기온 변화가 평균 0.28℃일 때는 ‘어제와 비슷 한’, 기온 변화가 평균 2.6℃일 때 ‘어제보다 더 따뜻한’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 으로 나타났다.

표현

최저 기온 평균 변화

평균 기온 평균 변화

최고 기온 평균 변화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훨씬 더 추운 -5.3 3.8 -6.1 3.2 -6.7 4.7

훨씬 더 시원한 -5.3 3.6 -5.6 2.6 -6.1 3.7

더 시원한 -2.8 3.7 -3.4 3.1 -4 3.9

더 추운 -2.5 4.6 -3 4.2 -3.6 2.7

약간 더 시원한 -0.89 2.9 -1.8 2.3 -2.8 3

약간 더 따뜻한 1.2 3.1 1.3 2.5 1.6 3.2

더 더운 1.7 2.3 1.9 1.7 2 1.8

더 따뜻한 2 3.8 2.8 2.8 3.5 3.3

더 포근한 1.5 3.2 2.8 2.8 4.1 3.6

훨씬 더 따뜻한 3.4 3.7 4.5 2.8 5.6 3

출처: Brunskill(2010). 수정 인용

<표 24> 맥락 프레임 일기예보의 표현과 기온 변화

문서에서 정 책 연 구 최 종 보 고 서 (페이지 4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