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상 정보 보도 가이드라인

문서에서 정 책 연 구 최 종 보 고 서 (페이지 72-78)

I. 서 론

3) 기상 정보 보도 가이드라인

앞서 기상 정보를 취급하는 과학보도 및 과학 저널리즘의 원칙, 방향, 기능, 윤리 등 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기상 정보는 다른 과학보도와 공통점을 가지나 또한 독특한 특 이점을 지닌다. 기상 정보는 매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예보라는 뉴스 형식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기상 정보는 진화론을 태동시킨 찰스 다윈의 비글호 선장이던 피츠 로이(FitzRoy)가 “forecast”라는 이름으로 영국의 “Met Office”에서 도입한 이래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과학 정보이다(Moore, 2005). 오늘날 세계 각국의 날씨와 기상정보를 미디어를 통해 내보내는 형식은 피츠로이가 애초에 고안했던 ‘쾌청’,

‘양호’, ‘비’, ‘폭우’와 같은 분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만큼 날씨 정보 라는 과학 정보는 생활 정보로 태어났다는 점을 알 필요가 있다.

기상 정보가 생활 정보로 깊숙이 자리 잡으면서, 예보와 같은 날씨 정보는 기상국이 나 민간 관측소의 표준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뉴스 포맷으로 발전되었다. 기상 예측의 과학화로 예보의 수준과 정확성이 증가하였고, 기상 정보의 생산, 가공, 처리, 소비의 루틴이 예보를 중심으로 정립되었다. 따라서 관행화 된 기상 정보 처리는 이제 언론의 몫이 되었으며 첨단 예측 과학으로서의 기상 정보의 연구와 소통 영역은 다른 과학 부 분처럼 과학 저널리즘의의 영역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상 정보는 다른 과학 정보와 다르게 매일 불확실성을 감내해야 한다. 불확실성이 내재된 과학을 지속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2008년 세계 기상 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는 불확실성을 다루 는 예보라는 필수적 행위를 위해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예보는 예측 가능성을 다루는 한편, 반드시 매번 불확실성을 담지 해야만 하는 특수한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점에서 이용자들에게 각별한 이해를 요구한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은 신문의 기상 담당 자, 방송의 기상 캐스터, 기상 서비스 제공자와 같이 불확실성을 반드시 이해하고 대중 에게 그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목적을 가진다. 불확실성은 기상학의 한계, 기상예 보를 가공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의 한계, 소비자가 그것을 이용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서의 한계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은 수용자가 불확실성을 이해하고 자신 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 음의 세부 사항을 제시한다.

Ÿ 언론의 역할: 예측의 불확실성 원천 이해하기

ü 대기는 본질적으로 ‘카오스’적으로 유동적이며 최초 조건에서 끊임없이 복잡성 을 더해나간다.

ü 예보가 예보 정보에 의해 순간 제시되지만 여전히 데이터와 모델은 복잡한 불확 실성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ü 예보 용어와 표현은 발생할 기상 시나리오를 정확히 담아내지 못한다. 예보의 포 맷이나 길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일어날 기상 현상을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고.

넓은 지역을 세분화하여 예보하기 힘들다.

ü 대중이 기상 용어에 익숙하지 않거나 이해하기 힘들거나 전문가와 다르게 사용할

경우 역시 불확실성의 원천이다. 사람들끼리도 예보를 다르게 받아들이고 심지어 기상 예보관 사이에도 용어를 달리 사용한다.

ü 호주 기상국 서베이에 의하면 ‘30%의 강우 확률’을 질문할 경우, 55%의 응답 자는 30% 확률로 도시의 ‘어느 곳’에서는 비가 올 확률이라고 대답한 반면, 36%의 응답자는 30%의 확률로 ‘언제든지’내릴 가능성이라고 대답했다.

ü

Ÿ 수용자 측면: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

ü 인간의 불확실성 지각에서 첫 번째 경향은 “과장”에 더 민감하다. ‘가벼운 비’와 ‘폭우’가 내릴 확률이 10%라고 한다면 대부분 폭우가 내릴 가능성을 더 높게 해석한다(exaggeration)

ü 동시에 인간은 상대의 ‘과장’을 자신은 ‘과소’해석할 수 있다는 신념 경향을 지닌다. 즉, 남이 우려할 만한 일을 과도하게 나에게 주의시키는 것을 자신은 적 당히 이해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decode).

ü 따라서 기후변화정부간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은 언론의 예보에서 다음과 같이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언어’로 된 용어를 발생 가능성의 ‘확률적 용어’로 제시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용어(Terminology) 발생확률(Likelihood of the occurrence/outcome) 거의 확실(virtually certain) 99% 보다 높은 확률(greater than 99% probability) 매우 높음(very likely) 90%보다 높은 확률(greater than 90% probability) 높음(likely) 66%보다 높은 확률(greater than 66% probability) 가능성이 비슷(about likely as not unlikely) 33~66%의 확률(33% to 66% probability)

낮음(unlikely) 33%보다 낮은 확률(less than 33% probability) 매우 낮음(very unlikely) 10%보다 낮은 확률(less than 10% probability) 예외적으로 낮음(exceptionally unlikely) 1%보다 낮은 확률(less than 1% probability)

<표 27> IPCC Likelihood Scale

ü 색깔의 사용은 신중하고 정교해야 불확실성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아래의 그림 은 호주의 계절 강우 예보인데, 좌측의 경우 50%와 55%는 마치 건조지역과 초 원지역이라는 혼란을 준다. 우측 그림은 단순화 되었지만 동일한 정보로 보다 직 관적이고 효과적이다. 정확하고 쉽게 이해되는 과학적 시각화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그림 19> 계절 강수 예보(호주기상국)

ü 그래프는 숫자를 다루는 불확실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그래프는 수용자가 한 눈에 가장 빈번한 경우가 무엇인지를 알아차리는 것뿐 만 아니라 다른 경우의 상대적 확률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우측의 아 이콘의 사용도 이용자의 불확실성을 줄여주는데 도움을 준다.

<그림 20> 강수 확률 파이 차트의 예시(좌) 및 아이콘과 강수 예시(우)

ü 기상 정보의 불확실성을 다루는 다양한 방법(예시)

<그림 21>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온 예보와 불확실성 제시의 예시

<그림 22> 강수량 예보 제시 예(좌) 및 기온 예보 제시 예시(우)

<그림 23> 강풍 예보 예시(좌) 및 지역의 강수량과 기후 예시(우)

<그림 24> 보통 이상과 보통 이하의 예보 예시

<그림 25> 가장 확률이 높은 경우의 예보 예시

<그림 26> 열대 태풍 경로 예보 예시(좌) 및 스위스의 기온과 확률 4일 예보 예시(우)

Ÿ 방송 매체를 위한 예보 가이드라인

ü WMO는 2005년 세계의 방송사들이 개발한 각기 다른 예보방식과 스타일에 대해 서 예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과학적 입장의 가이드라인을 제시 한 바 있다.

ü 비주얼 규칙과 언어 규칙을 담고 있으며 방송 예보뿐만 아니라 기상 담당자와 다 양한 언론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이 될 수 있어 소개한다.

비주얼 규칙 Ÿ 첫 장면이 가장 중요. 첫 이미지가 나머지를 좌우한다.

Ÿ 차트는 단순하게. 5개 이상 한꺼번에 넣지 말 것.

Ÿ 한 번에 한 개씩. 하나씩 보여주고 하나씩 제시할 것.

Ÿ 그래프와 멘트의 싱크: 항상 자료는 적절한 멘트에 위치 할 것.

Ÿ 제목은 명확히: 그래프와 차트의 타이틀은 보자마자 알 수 있게.

Ÿ 애니메이션은 신중: 움직이는 그림은 깨끗하고 명확해야.

Ÿ 연결은 단순하게: 복잡하고 과다한 연속적 차트를 피할 것.

Ÿ 차트의 직관성: 진행자가 차트의 디자인에 대해서 고민할 것.

Ÿ 그래픽 시스템: 자신이 사용하는 그래픽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이해 필요.

언어 규칙 Ÿ 가급적 단순성을 유지하라.

Ÿ 어려운 것은 쉽게 설명하라.

Ÿ 긴 문장은 쪼개라.

Ÿ 맞는 문법이 중요하지만 딱딱하다면 유연성을 가져라.

Ÿ 핵심 단어에 강조를 부여하라.

Ÿ 중요한 것을 말한 뒤에는 잠시 시간을 가져라.

Ÿ 창의적인 표현에 도전하라.

Ÿ 예보에는 의성어가 잘 어울린다. 번개가 쾅쾅!

Ÿ 예보에 의인화도 좋다. 성난 바람!

Ÿ 불확실한 상황은 가감 없이 그대로 전달하라.

Ÿ 거슬리는 말과 음성 습관을 고쳐라.

<표 28> 방송 예보를 위한 WMO 가이드라인(2005)

ü WMO는 좋은 방송을 위해서 예보를 전달하는 전문인이 구체적으로 견지해야 할 사항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Ÿ 아는 것이 힘: 날씨 상황에 대한 탄탄한 지식이 있는지 명확히 하라. 탄탄한 지식은 당신뿐만 아니라 시청자에게 자신감울 제공한다.

Ÿ 보기 좋은 떡: 스마트하게 보이고 깔끔하게 입고 진행하는 것, 전문인답게 비춰져야 한다.

Ÿ 정리의 달인: 스튜디오와 장비를 항상 사전 점검하라. 리허설의 시간을 가져라. 빠져들어 집중하라.

Ÿ 책임과 주도: 스튜디오를 책임지고 방송기술인들과 좋은 협력을 만들어 당신이 원하는 형태로 세팅하라.

Ÿ 전달은 명확히: 준비한 것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제시하고 어려운 용어를 피하고 일상 언어를 구사하라.

Ÿ 자연스럽게: 카메라와 방송을 의식하지 않고 여유가 있으면서 생생하고 친근할 때 자연스럽다.

Ÿ 익숙한 진행: 카메라와 차트를 오갈 때 차트를 보면서 카메라와 컨택을 잘 유지하라.

Ÿ 좋은 스피치: 너무 급하게 말하는지 점검하라. 강조할 때 쉬어줘야 하고 고저장단없이 밋밋한 발음인지 주의하라. 남성은 약간 더 높은 톤, 여성은 약간 더 낮은 톤을 추구하라.

Ÿ 쉽게 풀기: 어려운 전문 기술 용어는 되도록 쉽게 풀어서 제시하고 날씨에 시각화를 더하면 좋다.

Ÿ 굴뚝 원칙: 긴 정보를 제시할 경우 반드시 예보를 요약하여 핵심을 제시해야 한다. 단순한 얘기 는 더 잘 이해되고 더 오래간다.

<표 29> 좋은 기상 방송을 위한 10가지 가이드라인(WMO, 2005)

문서에서 정 책 연 구 최 종 보 고 서 (페이지 7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