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재정책 가운데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국민들이 문화유적에 대한 의식수준 이다. 국민들에게 문화재가 왜 소중하고 보존되어야 하는지를 계도하여야 한다.

기성인들에 대해서도 이루어져야 하지만 어릴 때 초등교육에서부터 이루어져 문 화재에 대한 의식을 생활화해야 한다. 지금까지 문화유산에 대한 의식은 최근 동

61) 細野善彦外, 人間과 環境과 文化遺産 , 山川出版社, 2000, P. 71.

산 유물에 대해 얼마짜리 도자기 또는 그림, 글씨냐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공영 방송에서까지 문화재감정을 단순히 재산가치로만 평가하고있는 것은 문화재를 국 민에게 인식시키는데 좋은 것만은 아니다. 가격 이전에 문화재의 진정한 가치와 그 속에 담겨진 우리 선인들의 정신과 정서 그리고 그런 문화재를 탄생시킨 배경 등이 설명되어야 한다.

제주도는 50년대까지 현대적 개발의 변방으로서 원형적인 민속문화와 손떼 묻 지 않은 원초적 자연환경과 제주적인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었다. 1960년대 초부 터 제주도의 잘 보존된 민속문화와 자연을 상품으로 개발이 시작되고 막혔던 교 통이 하늘과 바다에서 트이자 제주도의 유물들인 民具類 등은 골동품수집상에 의 해 싹쓸이되고 이러한 민속문화유적을 형성시킨 마을의 정자목까지 조경업자들에 게 팔아 넘기는 현상이 벌어졌다. 이러한 현상이 10년여 계속되자 제주고유의 문 화 환경유산 풍경은 없어지고 살벌한 신개발도시로 변해버렸다.

물론 지역주민들의 문화유산에 대한 의식이 없었기 때문에 벌어진 사건이고 정 부당국도 60년대 새마을운동으로 ‘잘 살아보세’ 라는 구호를 앞세워 우리의 문화 유산을 깡그리 없애는데 앞장섰다. 앞장섰다기보다 문화유산을 부수도록 방조했 다. 제주에서 가장 큰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제188호인 城邑民俗마을은 1984년 지정된 후 오히려 민속마을 원형이 없어졌다. 이를 관리하는 문화재청 자체가 지 정 초가를 복원 또는 관리한다면서 초가의 원형과는 거리가 먼 다른 변형적인 설 계를 하였고 지역주민들도 생활의 불편을 내세워 마을안 도로와 수목까지 마음대 로 무질서한 도시형으로 변화시키고 말았다.

주민과 관리들의 합작으로 문화재를 훼손시킨 결과가 되고 있다. 성읍 민속마 을은 이와 같은 변형 때문에 외국인이나 제주의 원형문화를 모르는 관광객이나 민속학자들에게는 제주 본래의 원형문화유산을 오인하게 하고 있다. 특히 문화재 보수는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자격자만이 할 수 있도록 한 규정(문화재보호법 제 18조) 때문에 제주적 건축이나 석축쌓기 등을 다른 지역 기법으로 함으로써 원형 을 없애 버린 결과가 되고 말았다. 문화재 수리에 대한 자격은(문화재보호법 제18 조의2) 당초 비전문가에 의해 복원이나 보수가 잘못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법에 명

시하였으나 지금은 이권독점이라는 독소조항이 되어 모든 건축양식이나 석축방 식, 자연과의 조화 기법 등 지역의 정체성을 없애고 획일적 문화형태를 만들어 내고 있어 법개정이 있어야 한다.

〈사례 3〉시민 박물관 대학운영

제주시에서는 지방 자치단체 주관으로는 유일하게 문화재 전반에 대한 시민들 의 인식을 높여 나가기 위한 ‘시민 박물관 대학’ 과정을 1년 단위로 운영하고 있 다. 1993년에 태동하여 시작된 본 과정은 역사학, 고고학, 민속, 향토사 현장답사 등 문화재에 관한 전문적인 커리큘럼으로 매주 토요일 2시간씩 1년 간 총 35강좌 에 이르는 강의를 하고 있다. 수강자는 대학교수, 교사, 공무원, 회사원에서부터 가정주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참여율 역시 대단하다,

본 과정은 2001년 현재 9년째를 맞고 있으며 수료인원도 900명에 달하고 있어 문화재에 대한 시민의 인식도가 크게 변하고 있다.

특히 이 과정을 수료한 시민들로 구성된 사단법인 탐라문화보존회는 자구적인 노력을 통해 도․내외 및 국외의 유적답사, 세미나 및 강연회 개최는 물론 해외 의 우리 문화를 찾아보는 답사를 실시하고 있다.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사업에는 행정기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이를 보는 시민의 안목과 관심도가 가장 중요하여 본 ‘시민박물관대학’과정의 운영은 시민의 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높여 나가는 성공적 사례이다.

제3절 문화재 보존과 지역발전에 따른 정책적 제안

제주의 발전전략은 1차 산업과 3차 산업인 관광산업이 주 전략산업일 수밖에 없다. 이는 제주도가 가진 자원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산업구조라고 할 수 있다.

1970년 제주지역 총생산은 240억 원이었고 이 가운데 3차 산업인 관광산업 수입 은 3%인 8억 원에 불과하였는데 1997년에는 도민 총생산 4조 4천 6백 63억 원 가운데 3차 산업인 관광산업수입이 1조7백 60억 원으로 무려 24%에 달했다. 제주

의 생명산업인 감귤수입은 4천억 원으로 9%에 불과했다. 제주도의 산업구조는 농림어업이 24.1%, 관광을 포함한 금융 등 서비스업이 55,5%로 이는 제주도의 관 광산업과 이에 수반한 서비스업이 제주경제에 미치는 비중을 말해주는 것이며 제 주도의 경제는 1차 산업인 농업과 관광산업을 두 지주로 하여 운영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산업별취업인구로 보면 1차 산업이 82.000명으로 30% , 3차 산업 이 179.000명으로 65.4%로 제주의 산업은 1차 산업을 기본 구조로 하여 3차 산업 이 제주의 미래산업으로 부상했다.62)

전국비율로 보면 1차 산업이 11%로 한국에서는 1차 산업종사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이런 1차 산업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 은 1차 산업자체가 단순 식량작물 등 재래농업이 아니라 관광과 연계된 관광농업 이기 때문에 관광 과 농업수입이 혼재되었다고 볼 수 있다.

관광산업은 세계적 미래산업으로 등장한 지 오래다. 그러면 제주지역의 전략산 업으로서의 관광산업은 장차 한국경제 정책의 핵심적 산업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 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관광산업이 제주도에서는 세계적으로 아름다움을 공인 받고 있는 천혜적 바탕 위에서 198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고 1994년 본격적으로 정부와 제주도민의 합의 하에 진행되었다. 더 주목할 것은 1997년 제주도민이 자 발적인 투자로 관광의 세계화로 가는 첫 문인 국제컨벤션센터를 착공하는 기민성 을 보였다.

이 같은 제주지역발전의 전략산업으로서의 관광산업은 지금까지는 경관적 아름 다움을 유일한 자원을 기반으로 하였다. 그러나 최근 제주도의 전략산업으로서의 관광산업은 단순히 보는 구경거리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 작했다. 여기서 요즘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행정당국은 즐길 수 있는 시설유치라 는 단편적이고 단순한 정책으로 제주 관광산업의 기본인 자연경관을 무시하면서 경관지 중심에 시설을 유치하고 있다. 제주도 관광의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는 것 이 문화정책이고 그 가운데서도 문화재 정책인 것이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문화 재정책은 걸음마 단계이다.

62) 제주도, 통계연보 , 2000.

자연경관은 어느 곳이나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볼 수 있고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과 지역, 나라와 나라를 이동하는 고급관광이나 순수한 구경여행이 아닌 수학여행, 학술적 여행, 비즈니스 여행 등에 나서는 사람들은 아직까지 체 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 미지의 세계를 보려는 호기심과 의욕이 충만해 있다 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은 그 지역만이 가진 문화체 험이다. 그 지역의 문화는 그 지역사람들의 생활의 기록이고 흔적이다. 현존하 는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독특할 수도 있어 흥미를 끌 수도 있다. 그러나 현대 문명사회 통신 교통 정보의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현대 생활방식 은 획일화되어 가고 있어 이색적인 새로움을 느끼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통신 과 공중전파가 지구전체를 하나로 묶어 일일 생활권이 되지 않았던 1950년대까 지 만해도 지역과 지역 나라와 나라 특히 대양을 달리하고 지구의 반대편에서 의 인간들의 생활 양식은 전혀 달랐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요구하는 이제부터의 관광의 대상은 무엇보다 그 지역의 문화유적과 현존하는 대중적 문화가 될 수 밖에 없다.

지역 문화재가 한 지역의 발전 정책적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문화에 대한 이해와 문화의 개념이 설명되어야 한다. 지역개발의 한 수단 내지 자원으로서 문 화는 문화를 관광하는 것이지 관광하는 형태 내지 관광의 내용을 문화라고 하는 개념이 아니다. 연간 순수 외국인 관광객만 400만 명이 몰려들어 세계적 민속문 화 관광지가 되고 있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관광전략은 힌두교를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생활양식 종교적 의례, 전통 건축양식, 전통 도시구성, 전통음악, 전통의 상, 민속놀이와 농사법과 전통 음식 등 모두가 고유의 전통적 양식을 생활 속에 실행함으로써 ‘지구상에 마지막 남은 신들의 나라’ 라는 이름으로 세계적 관광지 가 되고 있다. 그곳 관광책임 관리들은 “우리들은 특별히 관광객을 위한 정책이

지역 문화재가 한 지역의 발전 정책적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문화에 대한 이해와 문화의 개념이 설명되어야 한다. 지역개발의 한 수단 내지 자원으로서 문 화는 문화를 관광하는 것이지 관광하는 형태 내지 관광의 내용을 문화라고 하는 개념이 아니다. 연간 순수 외국인 관광객만 400만 명이 몰려들어 세계적 민속문 화 관광지가 되고 있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관광전략은 힌두교를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생활양식 종교적 의례, 전통 건축양식, 전통 도시구성, 전통음악, 전통의 상, 민속놀이와 농사법과 전통 음식 등 모두가 고유의 전통적 양식을 생활 속에 실행함으로써 ‘지구상에 마지막 남은 신들의 나라’ 라는 이름으로 세계적 관광지 가 되고 있다. 그곳 관광책임 관리들은 “우리들은 특별히 관광객을 위한 정책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