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무인항공기 연관 산업 및 기술경쟁력 분석

문서에서 2013년도 제4회 방산부품 지식연구회 (페이지 122-132)

표 13 I 항공산업 산업경쟁력 순위 국가명 매출액(억달러) 비중 고용(만명) GDP대비

주력 분야 매출액

1 미국 2,012 46.8% 64.3 1.41 완제기, 엔진

2 프랑스 531 12.3% 16.0 1.86 완제기, 엔진

3 영국 431 10.0% 15.5 1.63 엔진, 부품

4 독일 320 7.4% 10.6 0.87 부품

5 캐나다 236 4.5% 8.3 1.69 중형항공기

김병정-내지 2013.08.09 09:44 AM 페이지34 001 PDF변환목록

세계 주요 항공기 제조업체 현황을 살펴보면 유럽의 EADS가 2008년

※출처: 2009 Aerospace Top100 (Flight Int’l, PriceWaterhouseCoopers) 주 : EADS, Lockheed Martin, BAE, Northrop Grumman, Raytheon, Thales의 항공부문 매출은 일부 방산부문 포함

표 14 I 세계 10대 항공업체 현황

6 General Dynamics(미국) 290.0 92,300 3.1

7 United Technologies (미국) 245.4 223,100 2.6

8 Raytheon(미국) 231.7 73,000 3.1

9 Finmeccanica (이태리) 230.3 73,398 3.1

10 Thales(프랑스) 185.3 63,248 2.9

67 KAI (한국) 7.6 2,848 2.6

김병정-내지 2013.08.09 09:44 AM 페이지35 001 PDF변환목록

우리나라 항공업체의 2008년도 기준 매출기준으로 KAI가 9,101억 원, 삼성테크윈이 4,682억원, 대한항공 3,580억원이다.

특허건수 대비 항공산업 경쟁력 비교

항공시장은 미국이 전 세계의 시장에서 46.8%(2008년 기준) 차지하 고 있고 기술수준도 세계 최고로 항공산업의 기준이 되는 미국특허를 기 반으로 하여 특허건수와 항공시장을 비교하였다. 항공시장은 지식경제부 에서 발표한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2010-2019)을 출처로하여 2012년도 시장을 추정하였다.

특허출원건수와 항공시장을 비교해보면 미국이 특허건수가 309건에 항 공시장이 2,372억달러로 세계 최고 수준이고 영국의 경우 특허건수가 3건인데 비해 항공시장은 508억달러로 분석되었고 한국은 특허건수가 9건인데 비해 항공시장은 24억달러로 낮은 편이다.

0362013정보분석보고서

※출처: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2010~2019, 지식경제부(2010.1월) 표 15 I 국내 주요 항공 업체 현황

순위 업체명 항공매출(억원) 종업원수

(항공부문,명) 비 고

1 KAI 9,101 2,950(2,950) 완제기, MRO

2 삼성테크윈 4,682 4,188(969) 엔진

3 대한항공 3,580 15,158(2,533) MRO, 기체구조

4 LIG넥스원 2.097 2,344(168) 항공전자

5 (주)한화 479 3,031(234) 유압부품

6 삼성탈레스 384 1,600(200) 항공전자

7 현대위아 356 1,967(30) 착륙장치

8 쎄트렉아이 208 108 소형위성

9 위다스 201 101(28) 안전진단장비

10 제일정공 193 58(20) 금형부품

11 현항공산업 162 100 구조부품

12 아스트 152 196(188) 구조부품

13 한벨헬리콥터 126 123 회전익기

14 수성기체 104 95(89) 구조부품

15 다윈프릭션 99 40 항공소재

김병정-내지 2013.08.09 09:44 AM 페이지36 001 PDF변환목록

특허기반 국방과학기술 경쟁력 분석

국방과학기술수준은 선진 국방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를 대상으로 8 대 전략분야 24개 무기체계분야의 기술수준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방법 은 산학연군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최고기술보유국 의 기술수준을 100%으로 하고 조사대상 국가의 기술수준을 상대적인 숫 자로 지수한 것이다.

주요 조사대상은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기동, 함정, 항공우주, 화력, 방호, 기타로 구분되며 무인항공기는 항공우주 분야에 포함되어 있다.

주요 국가별 2010년 대비 2012년도의 국방기술수준을 살펴보면 미국 의 경우 최고 선진국을 유지하고 있으며, 감시정찰, 지휘통제, 항공·우

037특허기반무인항공기기술경쟁력분석

(단위 : 건, 억달러) 표 16 I 특허출원건수 대비 항공산업 경쟁력 비교

구분 미국 이스

독일 영국 이탈

중국 스웨덴 한국 일본 캐나다 스페인

라엘 리아

특허출원건수

309 12 38 3 3 2 13 9 58 7 3

(2001-2012)

항공시장 2,372 59 377 508 157 94 45 24 137 278 45 (2012)

※출처: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 2010~2019, 지식경제부(2010.1월), KISTI 재조정

김병정-내지 2013.08.09 09:44 AM 페이지37 001 PDF변환목록

주, 함정, 화력분야 등 전(全)분야에 걸쳐 최고수준의 기술기반, 자체계발 능력, 생산역량을 확보 및 신개념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감시정 찰, 지휘통제, 정밀타격 체계간 합동성 및 상호운용성을 극대화하는 C4ISR-PGM 개념을 선도하고 있다. 프랑스는 기술수준이 91%에서 92%로 상승하였으며, 감시정찰 및 항공·우주분야의 상승 견인(탈레스 사의 방공 레이더 및 육상용 다기능 레이더(MFR) 분야에서 미국과 경쟁 이 가능한 레이더개발능력 보유, 회전익체계는 X-3에 이은 X-4를 개발 중에 있다.

러시아의 기술수준은 2010년과 동일하게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 기체계별로 일부 등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과년도 수준을 유지이며, 고속로켓 추진을 이용한 대어뢰용 어뢰에 대한 연구를 추진 중이며, 초공 동 탄환 개발 등 초공동 현상을 이용한 수중 무기체계와 관련기술 개발을 활발히 수행 중에 있다.

영국은 2010년과 동일하게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기체계별로 일 부 등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과년도 수준을 유지( DII(F) 프로그램을 통해 2005년부터 2015년까지 국방부의 개별 정보시스템을 하나의 효 율적인 정보기반체계로 대체 중에 있고, 최신 이지스 함정인 Daring급 (Type 45)을 2016년까지 총 6척을 취역시킬 예정이며 차기 항공모함 인 Queen Elizabeth호도 2016년 취역을 목표로 자체 건조 중에 있다.

독일은 2010년과 동일하게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기체계별로 일 부 등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과년도 수준을 유지(TerraSAR-X 후속 프로그램이 진행 중으로, 2016년 개발 목표인 TerraSAR-X2는 해상도 를 25~50㎝로 향상시킬 계획으로, 광대역 고해상도 영상획득이 가능한 HRWS(High Resolution Wide Swath) 개념이 적용, 로켓 엔진을 사용 한 요격어뢰인 SEASPIDER 개발 중에 있다.

일본은 2010년과 동일하게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기체계별로 일 부 등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과년도 수준을 유지(사거리 350km이 상, 램제트엔진을 이용한 초음속 공대함 유도무기(XASM-3) 및 초음속 함대함 유도무기(XSSM-2) 등 첨단유도무기 개발진행, 2014년까지 광 학군사위성·레이더군사위성 각 2기 운용으로 주·야간 정보수집 능력

0382013정보분석보고서

김병정-내지 2013.08.09 09:44 AM 페이지38 001 PDF변환목록

확대 예정 예정이다.

이스라엘은 2010년 83%에서 2012년 84%으로 상승하였고, 감시정 찰, 항공·우주, 방공분야의 상승 견인(ELTA사의 레이더 개발 역량 증 대, EO/IR 센서 개발 선도, 무인항공기 수출 증대, 탄도탄방어체계인 Arrow 시리즈를 개량 중에 있다.

중국은 2010년 81%에서 2012년 82%으로 상승하였고, 항공·우주, 함정, 방공분야의 상승 견인(항법위성인 북두체계 운용 시작 및 우주정거 장 도킹성공, 항공모함인 Varyag(쉬랑(施琅))함 시험운항, 지대공 유도무 기 개량체계를 이용한 탄도탄 요격을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2010년 80%에서 2012년 82%으로 상승하였고, 감시정 찰, 함정, 항공·우주분야 상승 견인(고해상 SAR체계를 탑재한 감시정찰 위성인 Cosmos-Skymed 1~4호기 자체개발, 항모운용국으로 차세대 방공 구축함 Andrea Doria(Horizon)급 건조, 공격/기동 회전익체계를 개발 중에 있다.

스웨덴은 2010년 79%에서 2012년 80%으로 상승하였고, 감시정찰 및 함정분야 상승 견인(항공기탐재 사격통제 레이더인 PS-05/A 개랑 및 능동 위상배열 구조의 공중 조기경보레이더 Erieye 개발, 함정 스텔스 분 야의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 2010년 78%에서 2012년 80%으로 상승하였고,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기동, 함정, 항공·우주 분야인 능동선형위상배열 레이더 개발, 사령부급인 전략 및 육해공 전술C4I의 지속개량 및 대대급 이하 C2체계인 B2CS 구축 중, 전차의 능동방호체계와 한국형 기동헬기 및 틸트로터 무인항공기 개발, 209 급 개량형 잠수함의 인도네시아 수출 등으로 기술수준 상승에 기여하였다.

캐나다는 2010년 73%에서 2012년 74%으로 상승하였고, 감시정찰 및 함정분야 상승 견인(MDA 사의 위성 SAR체계 개발운용 및 Wireless SAR시제 개발, CPF(Canadian Patrol Frigate) 프로그램 추진과 수중 방사소음과 같은 함정 특수성능분야에서 기술를 보유하고 있다.

인도는 2010년 71%에서 2012년 73%으로 상승하였고, 함정, 기동, 화력분야 상승 견인(항모운용국으로서 프랑스와 러시아로부터의 기술도입

039특허기반무인항공기기술경쟁력분석

김병정-내지 2013.08.09 09:44 AM 페이지39 001 PDF변환목록

을 통한 Indigenous Aircraft Carrier급 항모건조 중 및 Arihant급 핵 추진 잠수함 시험운항 중, 차세대 주력전차 (FMBT: Future Main Battle Tank)에 대한 요구사항을 2010년 확정 발표했으며, 인도 국방 연구개발기관인 DRDO가 2020년까지 개발 예정이다.

스페인은 2010년 71%에서 2012년 72%으로 상승하였고, 감시정찰 및 지휘통제 통신분야인 수동위상배열 방식의 지상용 중/장거리 3차원 방공레이더 분야에서 자체 레이더 개발능력을 보유, 군단부터 플랫폼 수 준까지 지휘통제 및 감시정찰 기능을 제공하는 ne.on 기반의 육군 및 해 군 지휘통제체계를 구축 및 아랍에미레이트에 수출 등으로 기술수준 상승 에 기여하였다.

미국은 2008년 이후부터 최고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군사 기술 분야에서 최고 선진국 지위를 확고부동하게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프랑스, 러시아, 영국, 독일이 거의 비슷한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지만 프랑스가 미국 대비 92% 수준으로 감시정찰, 항공, 우주 분야에 기술우 위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과 이스라엘이 84%, 중국과 이탈리아가 82%, 스웨덴과 한국이 80%수준으로 공동 10위이다.

특허대비 국방과학기술수준을 비교해 보면 미국이 309건 특허건수에 국방과학기술수준은 100%이고, 독일의 경우에는 특허출원 38건에 국방 과학기술수준이 90%으로 우위를 확보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에는 특허 건수가 58건인데 비해 국방과학기술수준은 84%으로 상대적으로 낮다.

한국의 경우에는 특허건수 9건에 국방과학기술수준은 2010년 대비 2%

가 상승하여 80%로 향후 기술수준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랑스와 러시아는 특허건수가 조사되지 않아 국방과학기술수준 비교에서 제외하 였다.

0402013정보분석보고서

표 17 I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

구분 미국 이스

독일 영국 이탈

중국 스웨덴 한국 일본 캐나다 스페인

라엘 리아

2010 100 83 90 90 80 81 79 78 84 73 71

2012 100 84 90 90 82 82 80 80 84 74 72

※출처: 국방과학기술수준조사서, 2012. 9, 국방기술품질원

김병정-내지 2013.08.09 09:44 AM 페이지40 001 PDF변환목록

041특허기반무인항공기기술경쟁력분석 표 18 I 특허출원건수 대비 국방과학기술수준 비교

041특허기반무인항공기기술경쟁력분석 표 18 I 특허출원건수 대비 국방과학기술수준 비교

문서에서 2013년도 제4회 방산부품 지식연구회 (페이지 122-13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