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개요

2.1.2. 몽골기상청의 역량분석

❍ 기상업무는 크게 9가지: 기상관측, 기상통신, 기상예보, 수문기상, 기상통계, 기후자료관리, 농업기상, 항공기상, 환경모니터링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몽골기상청의 기상업무 역량을 <표 8>과 같이 Moon Chart 형식으로 분석함

❍ COVID-19로 인해 현지조사 실행이 어려운바, 국내외 문헌연구, 2012년 몽골기상청 현대화 마스터플랜 수행인력과의 인터뷰, 비대면 회의를 통해 몽골기상청 주요 담당자와 인터뷰 실행하여 업무별 역량수준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음. 그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부문은 기상관측, 기상통신, 기상예보로 나타남

❍ 기상관측의 경우 일부 시스템에서 선진화 작업이 진행 중이고, 기상통신은 현재 타 사업과 연동하여 진행하고 있음. 또한, 몽골기상청 관계자는 기상예보에서 수치예보 모형화 기술의 선진화와 기존 자동기상관측시스템 및 고층기상관측시스템에 대한 수요를 언급함

­ 몽골의 관측자동화율은 저조하고, 사용 중인 장비의 대부분은 여러 나라에서

대상 사업 우선순위 분석

몽골 기상청의 수요 부합성 수원국 파급효과 한국 기상청의 기술 역량

기상관측 ● ● ●

기상통신 ● ● ●

기상예보 ● ● ●

수문 기상 ◐ ◐ ○

기상통계 ◐ ○ ●

기후자료관리 ◐ ○ ●

농업기상 ○ ○ ○

항공기상 ● ◐ ◐

환경 모니터링 ● ◐ ●

<표 8> 몽골기상청 선진화 진행에 따른 사업 과제 분석

지원을 받아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조달이 어려운 상황임

❍ AWS 및 고층기상관측시스템은 지상 기상관측의 주요 인프라로, 몽골의 자연재난을 예측하고 위험경보 및 예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구축되어야 함. 이에 본 사업에서는 AWS 및 고층기상관측시스템 인프라 및 분석시스템 현황을 중점으로 분석함

□ 몽골 AWS 및 고층기상관측 현황

❍ 2020년 10월 기준, 몽골기상청에서 보유한 AWS 현황은 다음과 같음

­현재 132개의 Station(AWS)과 54개의 Post(AWS) 등 총 186개를 보유하고 있음

­참고로 총 186개 중 몽골 자체적으로 설치한 것은 총 5개임(관측소 3곳, 포스트 2곳)

AWS 설치현황 유인관측소 설치현황

<그림 3> 몽골 AWS 및 유인관측소 설치현황

­몽골에 설치된 186개의 AWS 위치를 살펴보면 AWS는 남고비 사막을 제외하고 몽골 전역에 퍼져있고, 유인관측소는 울란바타르 인근을 제외하고 몽골 전역에 퍼져있음

❍ 하단의 표는 몽골 측에서 자체적으로 설치한 5곳을 제외한 181개에 대한 공여국별 통계이고, <그림 5>에서는 공여국별 설치현황을 위치별로 표기함

단위: 개

핀란드 한국 중국 총계

Station 97 0 32 129

Post 20 32 0 52

181

<표 9> 몽골 내 AWS 공여국별 현황

<그림 4> 몽골 내 AWS 공여국 4개국 현황(통합)

중국(32개) 핀란드(117개)

한국(32개) 몽골(5개)

<그림 5> 몽골 내 AWS 공여 국가별 현황

<그림 6> 몽골 고층기상관측시스템 현황(작동/미작동 위치 표기)

❍ 2020년 11월 기준, 몽골기상청 측 자료에 따르면 몽골은 현재 보유 중인 7개의 고층기상관측시스템 중 Uvurkhangai 지역의 Arvaikheer, Govi-Altai 지역의 Altai, Dornod 지역의 Choibalsan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됨

□ 몽골의 전력, 통신, 교통 등 인프라 현황

❍ 교통, 전력, 통신은 관측인프라의 정상작동 및 유지보수에 필수적인 전제로, 세 조건이 충족되어야 사업 대상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음. 이에 몽골기상청이 인프라 지원을 요청한 세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별 인프라를 조사, 결과는 <표 10>, <그림 7>, <그림 8>과 같음

주 도시명

교통

육로(수도기준, km)/시간 공항 인접성

(해당 도시 기준, km/도달 시간)

Dundgobi (Mandalgovi

Airport)

Adaatsag 294 km / 4 hr 24 min 465 km / 8 hr 58 min Delgerkhangai 424 km / 6 hr 9 min 239 km / 5 hr 32 min Deren 249 km / 3 hr 35 min 430 km / 8 hr 16 min Luus 325 km / 4 hr 27 min 339 km / 7 hr 14 min

Ulziit 481 km / 9 hr 16 min

Khuld 361 km / 4 hr 55 min 303 km / 6 hr 46 min

Dornogobi (Sainshand

Airport)

Airag 328 km / 4 hr 15 min 130 km / 1 hr 43 min Altanshiree 534 km / 7 hr 8 min 92 km / 1 hr 41 min Ikhkhet 638 km / 8 hr 52 min 196 km / 3 hr 25 min Urgun 504 km / 6 hr 27 min 63 km / 1 hr 04 min Ulaanbadrakh 754 km / 9 hr 45 min 313 km / 4 hr 27 min Khatanbulag 696 km / 10 hr 6 min 256 km / 4 hr 46 min Saikhandulaan 542 km / 7 hr 15 min 106 km / 2 hr 00 min

Umnugob (Dalanzadga

d airport)

Bayandalai 660 km / 8 hr 39 min 85 km / 1 hr 09 min Bayan-Ovoo 469 km / 7 hr 18 min 172 km / 3 hr 10 min Mandal-Ovoo 472 km / 8 hr 21 min 170 km / 2 hr 49 min

Nomgon 128 km / 3 hr 18 min

Noyon 783 km / 10 hr 40 min 208 km / 3 hr 10 min Sevrei 785 km / 10 hr 56 min 210 km / 3 hr 25 min Khurmen 631 km / 8 hr 31 min 60 km / 1 hr 11 min Tsogttsetsii 593 km / 8 hr 14 min 114 km / 2 hr 04 min

<표 10> AWS 교체 관련 지역별 인프라 현황

출처 : Ministry of Energy, “Energy sector of Mongolia, Policy and Challenges”(2017).

<그림 7> 몽골 권역별 태양에너지 전력 인프라 현황 (2017)

출처 : Ministry of Energy, “Energy sector of Mongolia, Policy and Challenges”(2017).

<그림 8> 몽골 권역별 전력망 인프라 현황 (2017)

<그림 9> 몽골 고층기상관측시스템 설치 지역 후보군(사이샨드 / 바룬우르트)

❍ 고층기상관측소의 경우, 몽골의 전력 인프라, 낮과 밤의 온도 차이, 인근에 도시 존재 여부, 인구, 한국과의 인접성, 그리고 특히 해당 지역까지의 접근성을 분석, 몽골 남동쪽에 있는 사인샨드(좌측 삼각형)와 바룬우르트(우측 삼각형)지역이 적합한 곳으로 파악됨. 두 도시의 상세 현황은 <표 11>와 같음

지역명 사인샨드

(Dornogovi Province의 Capital)

바룬우르트

(Sükhbaatar Province의 Capital)

인구 약 20,500명 약 16,100명

접근성

(공항/철도/도로) Trans-Mongolian Railway 바룬우르트 공항 (매주 1회 운행) 전력 인프라 수준4)

(상/중/하) 중 하

기온 (최저/최고)

연평균 최고 기온: 10.7도 연평균 최저 기온: -2.4도

연평균 최고 기온: 7.1도 연평균 최저 기온: -5.4도

<표 11> 사이샨드 / 바룬우르트 비교표

4) 2018년 몽골의 에너지부(Ministry of Mongolia)에서 발표한 지역별 에너지 시스템 자료에 의하면 Eastern Energy System이 관통하는 지역이 바로 사인샨드로 확인되고, 특히 사인샨드는 몽골 내 1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고,

❍ 두 지역 중 사인샨드 지역은 황사감시탑이 설치된 곳으로, 현재 미작동 상태인 처이발상(Choibalsan) 지역의 고층기상관측시스템을 지원해 원상 복구하고, 1기를 신규로 남고비 지역 달란자드가드에서 약 530Km 떨어진 사인샨드 지역에 설치하게 되면 기존의 황사감시탑과 함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됨

­ 또한 사인샨드는 지리적으로 우리나라와도 매우 가까워 매년 우리나라 쪽으로 불어오는 황사 바람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됨. 지리적 특성, 주변 인프라, 기온 등을 고려했을 때 사인샨드가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