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명제의 증명

문서에서 2020 셀파 수학하 답지 정답 (페이지 24-39)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자연수 n에 대하여 n이 홀수이면 n€은 홀수 이다.’

n=2k-1(k는 자연수)로 놓으면 n€=4k€-4k+1=2(2k€-2k)+ 1

k가 자연수일 때, 2k€-2k는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n€은 홀수 이다.

따라서 대우가 참 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1-1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실수 a, b, c에 대하여 c+0일 때, ac=bc이면 a=b 이 다.’

ac=bc에서

ac-bc=0, c(a-b)=0

c+0이므로 a-b=0, 즉 a=b 이다.

따라서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 이다.

1-2

⑴ x>0, ;x@;>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x+;x@;>2æ√x_;x@;=2'2

{단, 등호는 x=;x@;, 즉 x='2일 때 성립}

따라서 x+;x@;의 최솟값은 2'2

⑵ x>0, 14x >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x+ 14x >2æ√x_ 1

4x =2æ;4!;=1

{단, 등호는 x= 14x , 즉 x=;2!;일 때 성립}

따라서 x+ 14x 의 최솟값은 1

x€=2에서 x='2 (∵ x>0)

x€=;4!;에서 x=;2!; (∵ x>0)

2-1

⑴ x>0, ;x(;>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x+;x(;>2æ√x_;x(;=2_3=6

{단, 등호는 x=;x(;, 즉 x=3일 때 성립}

따라서 x+;x(;의 최솟값은 6

⑵ 2x>0, ;x$;>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2x+;x$;>2æ√2x_;x$;=2'8=4'2

{단, 등호는 2x=;x$;, 즉 x='2일 때 성립}

따라서 2x+;x$;의 최솟값은 4'2

x€=9에서 x=3 (∵ x>0)

x€=2에서 x='2 (∵ x>0)

2-2

본문 | 76~83 확인 문제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두 자연수 x, y에 대하여 x, y가 모두 짝수이면 x+y는 짝수이다.’

x, y가 모두 짝수이므로 x=2m, y=2n (m, n은 자연수)이라 하면

x+y=2m+2n=2(m+n)

이때 m+n은 자연수이므로 x+y는 짝수이다.

따라서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01-1

셀파 명제 p cbd q가 참이면 그 대우 ~q cbd ~p도 참 이다.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a, b, c가 양의 정수일 때, a, b, c가 모두 홀수이면 a€+b€+c€은 홀수이다.’

a, b, c가 모두 홀수이므로 a=2l-1, b=2m-1, c=2n-1 (l, m, n은 자연수)이라 하면

a€+b€+c€ =(2l-1)€+(2m-1)€+(2n-1)€

=4l€-4l+1+4m€-4m+1+4n€-4n+1

=2(2l€-2l+2m€-2m+2n€-2n+1)+1 이때 2l€-2l+2m€-2m+2n€-2n+1은 자연수이므로 a€+b€+c€은 홀수이다.

따라서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01-2

셀파 명제와 그 대우의 참, 거짓은 일치한다.

4. 명제의 증명 | 31

답_031035_수1(하)1-4_사.indd 31 2017. 3. 2. 오후 7:49

'3이 유리수라 하면 '3= nm (m, n은 서로소인 자연수)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3= n€m€ 에서

n€=3m€ yy㉠

여기서 n€이 3의 배수이므로 n도 3의 배수이다.

n=3k (k는 자연수)로 놓고 ㉠에 대입하면 (3k)€=3m€, 9k€=3m€ 4 m€=3k€

이때 m€이 3의 배수이므로 m도 3의 배수이다.

이것은 m, n이 서로소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3은 유리수가 아니다.

02-1

셀파 '3이 유리수라 하고 모순됨을 보인다.

n이 홀수라 하면 n=2k-1(k는 자연수) n€=(2k-1)€=2(2k€-2k)+1

이때 2k€-2k는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n€은 홀수이다.

이것은 n€이 짝수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n€이 짝수이면 n은 짝수이다.

02-2

셀파 n이 홀수라 하고 n€이 짝수라는 가정에 모순됨을 보인 다.

⑴ |x-y|€-||x|-|y||€

=(x-y)€-(|x|-|y|)€

=x€-2xy+y€-(x€-2|xy|+y€)

=2(|xy|-xy)>0 ∴ |x-y|€>||x|-|y||€

|x-y|>0, ||x|-|y||>0이므로

|x-y|>||x|-|y||(단, 등호는 xy>0일 때 성립)

⑵ x€+y€+3-2(x-y) =x€+y€-2x+2y+3

=x€-2x+1+y€+2y+1+1

=(x-1)€+(y+1)€+1>0 ∴ x€+y€+3>2(x-y)

⑶ x€+y€+1-xy-x-y

=;2!;(2x€+2y€+2-2xy-2x-2y)

=;2!;(x€-2xy+y€+x€-2x+1+y€-2y+1)

=;2!;{(x-y)€+(x-1)€+(y-1)€}

x, y가 실수이므로

(x-y)€>0, (x-1)€>0, (y-1)€>0

∴ x€+y€+1>xy+x+y (단, 등호는 x=y=1일 때 성립)

03-1

셀파 A-B의 부호 또는 A€-B€의 부호를 조사한다.

2a>0, 3b>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2a+3b

2 >"ƒ2a_3b

∴ 2a+3b>2"ƒ6ab (단, 등호는 2a=3b일 때 성립) 이때 2a+3b=6이므로 6>2"ƒ6ab

2"ƒ6ab<6의 양변을 제곱하면 24ab<36 ∴ ab<;2#;

이때 등호는 2a=3b일 때 성립하고 2a+3b=6이므로 2a=3, 3b=3

따라서 a=;2#;, b=1일 때, ab의 최댓값은 ;2#;

04-1

셀파 a>0, b>0이면 a+b>2'ßab이고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⑴ 3a>0, 5b>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3a+5b

2 >'ß3a_5b

∴ 3a+5b>2'ß15ab (단, 등호는 3a=5b일 때 성립) 이때 ab=15이므로 3a+5b>2_15=30

따라서 3a+5b의 최솟값은 30

⑵ a€>0, b€>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a€+b€

2 >"ƒa€b€

∴ a€+b€>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이때 ab=4이므로 a€+b€>2_4=8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8

04-2

셀파 a>0, b>0이면 a+b

2 >'ßab 이다.

{a+;b!;}{b+;a!;}=ab+1+1+;a¡b;

=ab+;a¡b;+2 이때 ab>0, ;a¡b;>0이므로

ab+;a¡b;>2æ√ab_;a¡b;=2

{단, 등호는 ab=;a¡b;, 즉 ab=1일 때 성립}

{a+;b!;}{b+;a!;}=ab+;a¡b;+2>2+2=4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

05-1

셀파 주어진 식을 전개하여 (산술평균)>(기하평균)을 이 용한다.

x, y가 실수이므로 (x-1)€>0, (y+1)€>0

32 | 정답과 해설

답_031035_수1(하)1-4_사.indd 32 2017. 3. 2. 오후 7:49

⑴ a, b, c, d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서 (a€+b€)(c€+d €)>(ac+bd)€

이때 a€+b€=3, c€+d €=27이므로 3_27>(ac+bd)€, (ac+bd)€<81

∴ -9<ac+bd<9 {단, 등호는;aC;=;bD;일 때 성립}

⑵ a, b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서 (2€+3€)(a€+b€)>(2a+3b)€

이때 a€+b€=13이므로 13_13>(2a+3b)€

∴ -13<2a+3b<13 {단, 등호는 ;2A;=;3B;일 때 성립}

따라서 2a+3b의 최댓값은 13

⑶ a, b, c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서 (3€+4€+5€)(a€+b€+c€)>(3a+4b+5c)€

이때 a€+b€+c€=8이므로 50_8>(3a+4b+5c)€

(3a+4b+5c)€<400 ∴ -20<3a+4b+5c<20

{단, 등호는 ;3A;=;4B;=;5C;일 때 성립}

06-1

셀파 ⑴, ⑵ (a€+b€)(x€+y€)>(ax+by)€을 이용한다.

⑶ (a€+b€+c€)(x€+y€+z€)>(ax+by+cz)€을 이용한 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a+;a!;}{a+;a$;}에서 a>0이므로

a+;a!;>2æ√a_;a!;=2, a+;a$;>2æ√a_;a$;=4 두 식을 변끼리 곱하면

{a+;a!;}{a+;a$;}>2_4=8

과 같이 생각하여 {a+;a!;}{a+;a$;}의 최솟값을 8이라 하면 안 된다.

1 a+;a!;>2æ√a_;a!;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는 a=;a!;, 즉 a=1일 때이다.

2 a+;a$;>2æ√a_;a$;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는 a=;a$;, 즉 a=2일 때이다.

1, 2에 의하여

{a+;a!;}{a+;a$;}>2æ√a_;a!;_2æ√a_;a$;

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실수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식을 전개하여 (산술평균)>(기하평균)을 이 용할 수 있는 부분을 찾는다.

LEC TURE

{2x+;y#;}{;x#;+2y}=6+4xy+ 9xy +6

=4xy+ 9xy +12 이때 4xy>0, 9xy >0이므로

4xy+ 9xy >2æ√4xy_ 9 xy =12

{단, 등호는 4xy= 9xy , 즉 xy=;2#;일 때 성립}

{2x+;y#;}{;x#;+2y}=4xy+ 9xy +12>12+12=24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4

{a+;a!;}{a+;a$;}=a€+4+1+ 4a€=a€+4 a€+5 이때 a>0이므로 a€>0, 4a€>0에서

a€+ 4a€ >2æ√a€_ 4a€=4

{단, 등호는 a€= 4a€, 즉 a='2일 때 성립}

{a+;a!;}{a+;a$;}=a€+ 4a€+5>4+5=9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9

임의의 실수 a, b, c, x, y, z에 대하여

(a€+b€+c€)(x€+y€+z€)>(ax+by+cz)€

이 성립함을 확인해 보자.

(a€+b€+c€)(x€+y€+z€)-(ax+by+cz)€

= a€x€+a€y€+a€z€+b€x€+b€y€+b€z€+c€x€+c€y€+c€z€

-(a€x€+b€y€+c€z€+2abxy+2bcyz+2acxz)

=(a€y€-2abxy+b€x€)+(b€z€-2bcyz+c€y€)

+(a€z€-2acxz+c€x€)

=(ay-bx)€+(bz-cy)€+(az-cx)€>0

∴ (a€+b€+c€)(x€+y€+z€)>(ax+by+cz)€

ay-bx=0, bz-cy=0, az-cx=0, 즉 ay=bx, bz=cy, az=cx에서 ;aX;=;bY;=;cZ;

이때 좌변은 0이 되므로 임의의 실수 a, b, c, x, y, z에 대하 여 등호는 ;aX;=;bY;=;cZ;일 때 성립한다.

세미나 (a€+b€+c€)(x€+y€+z€)>(ax+by+cz)€의 증명

4. 명제의 증명 | 33

답_031035_수1(하)1-4_사.indd 33 2017. 3. 2. 오후 7:49

본문 | 84~85 연습 문제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두 자연수 m, n에 대하여 m+n이 짝수이면 m€+n€도 짝수이 다.’

m+n이 짝수 이면 m, n은 모두 짝수이거나 모두 홀수이다.

m, n이 모두 짝수이면 m€, n€은 모두 짝수이고, m, n이 모두 홀 수이면 m€, n€은 모두 홀수 이다.

그러므로 m€+n€은 짝수 이다.

따라서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 ㈏, ㈐에 알맞은 것을 차례로 나열한 것은 ③

01

셀파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면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n+1이 홀수라 하면 n은 짝수 이므로 n은 2의 배수 이다.

그런데 이것은 n이 2가 아닌 소수 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n이 2가 아닌 소수이면 n+1은 짝수이다.

㈎, ㈏, ㈐에 알맞은 것을 차례로 나열한 것은 ④

02

셀파 n+1이 홀수라 하고 n이 2가 아닌 소수라는 가정에 모순 됨을 보인다.

n이 3의 배수가 아니라 하면

n=3k+1, 3k+2(k는 음이 아닌 정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1 n=3k+1일 때

n€=(3k+1)€=3(3k€+2k)+ 1 이므로 n€은 3의 배수가 아니다.

2 n=3k+2일 때

n€=(3k+2)€=3(3k€+4k+1)+ 1 이므로 n€은 3의 배수가 아니다.

1, 2에서 n€이 3의 배수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n€이 3의 배수이면 n도 3의 배수이다.

a=1, b=1이므로 a+b=2

03

셀파 n이 3의 배수가 아니라 하고 n€이 3의 배수라는 가정에 모순됨을 보인다.

① x€-x-2>0, (x+1)(x-2)>0 ∴ x<-1 또는 x>2

따라서 부등식 x€-x-2>0은 x<-1 또는 x>2일 때만 성 립하므로 절대부등식이 아니다.

② x€+1>x에서 x€-x+1>0

x€-x+1={x-;2!;}€+;4#;>0이므로

x€-x+1>0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성립한다.

04

셀파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성립하는 부등식을 찾는다.

③ x€>0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성립한다.

④ x=y=0이면 x€+xy+y€=0<1이다.

따라서 부등식 x€+xy+y€>1은 절대부등식이 아니다.

⑤ x=-1, y=-1이면 x+y=-2, 2'ßxy=2 ∴ x+y<2'ßxy

따라서 부등식 x+y>2'ßxy는 절대부등식이 아니다.

구하는 절대부등식은 ②, ③

직선 ;aX;+;bY;=1이 점 (2, 3)을 지나므로

;a@;+;b#;=1 yy㉠

a>0, b>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a@;+;b#;>2æ√;a@;_;b#;=2æ√;a§b;

㉠을 대입하면 1>2æ√;a§b;

æ√;a§b;<;2!;의 양변을 제곱하면

;a§b;<;4!;, ab6 >4

∴ ab>24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24이므로 구하는 답은 ③

06

셀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식의 최솟값을 구한다.

x€+2y€+1-2y(x+1)

=x€+2y€+1-2xy-2y

=x€-2xy+y€+y€-2y+1

=(x-y)€+(y-1)€

 이때 x, y는 실수이므로 (x-y)€>0, (y-1)€>0 ∴ x€+2y€+1-2y(x+1)>0

 ∴ x€+2y€+1>2y(x+1) (단, 등호는 x=y=1일 때 성립)

채점 기준 배점

우변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완전제곱식 꼴로 정리한다. 50%

실수 조건을 이용하여 ㈎에서 구한 식의 부호를 구한다. 30%

x€+2y€+1>2y(x+1)임을 보이고 등호가 성립하는 실수 x, y의 값

을 구한다. 20%

05

셀파 우변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한 다음 (완전제곱식)>0 을 이용한다.

34 | 정답과 해설

답_031035_수1(하)1-4_사.indd 34 2017. 3. 2. 오후 7:49

두 직선 ax+y=3, 3x+by=4가 평행하므로

;3A;=;b!;+;4#; ∴ ab=3

a>0, b>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a+b>2'ßab=2'3 (단, 등호는 a=b='3일 때 성립)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2'3이므로 구하는 답은

08

셀파 두 직선 ax+by+c=0, a'x+b'y+c'=0이 평행하면 a'a =b'

b +c' c

x€4 +y€

9 ={;2X;}€+{;3Y;}€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2€+3€)[{;2X;}€+{;3Y;}€]>{2*;2X;+3*;3Y;}€

{단, 등호는 ;4X;=;9Y;일 때 성립}

13{ x€4 +y€

9 }>(x+y)€

이때 x+y=2이므로 x€4 +y€

9 >;1¢3;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3;

09

셀파 (a€+b€)(x€+y€)>(ax+by)€을 이용한다.

직각삼각형 모양의 텃밭에서 빗변이 아닌 두 변의 길이를 각각 a m, b m(a>0, b>0)라 하면

1 a, b, 6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a+b>6 åå㉠

2 피타고라스 정리에서 a€+b€=36 이때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서 (1€+1€)(a€+b€) >(a+b)€

2_36>(a+b)€, (a+b)€<72

∴ -6'2<a+b<6'2 åå㉡

㉠, ㉡에서 6<a+b<6'2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이때 텃밭의 둘레의 길이는 (a+b+6) m이다.

따라서 12<a+b+6<6+6'2이므로 텃밭의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은 (6+6'2 ) m

11

셀파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이 아닌 두 변의 길이를 각각 a m, b m로 놓는다.

6 m a m

텃밭 b m

x+ 1x-3 =(x-3)+ 1 x-3 +3 x>3에서 x-3>0

x-3>0, 1x-3 >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x+ 1x-3 =(x-3)+ 1

x-3 +3

>2Ƙ(x-3)_{ 1x-3 }+3

=2+3=5

{단, 등호는 x-3= 1x-3 , 즉 x=4일 때 성립}

따라서 x+ 1x-3 의 최솟값은 5

07

셀파 주어진 식을 (x-3)+ 1

x-3 +3으로 변형하여 (산술평균)>(기하평균)을 이용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지름의 길이가 30 cm인 원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 를 각각 x cm, y cm(x>0, y>0)라 하면 피타고라스 정리에서

x€+y€=30€

또 x€>0, y€>0이므로 (산술평균)>(기하평균)에서

x€+y€

2 >"ƒx€y€=xy (∵ xy>0)

이때 직사각형의 넓이는 xy이고 x€+y€=900이므로 xy<450 (단, 등호는 x€=y€, 즉 x=y일 때 성립) 따라서 밑면의 넓이의 최댓값은 450 cm€

10

셀파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x cm, y cm라 하 면 대각선의 길이는 "ƒx€+y€ cm이다.

30 cm x cm

y cm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활용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➊ 양수 조건

➋ 문자의 합이 일정한 경우

➌ 문자의 곱이 일정한 경우

➍ 등호 조건 을 확인해야 한다.

LEC TURE

4. 명제의 증명 | 35

답_031035_수1(하)1-4_사.indd 35 2017. 3. 2. 오후 7:49

본문 | 89, 91, 93

X f

주어진 대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1)=-1, h(0)=0, h(1)=1 i(-1)=1, i(0)=0, i(1)=1 에서

f(-1)=h(-1), f(0)=h(0), f(1)=h(1)이고 g(-1)=i(-1), g(0)=i(0), g(1)=i(1) 따라서 서로 같은 함수는

① ② ③

집합 X={1, 2, 3, y, 10}에 대하여 1 항등함수의 개수는 f(x)=x로 1

2 상수함수는 f(x)=c (c는 상수)에서 c가 될 수 있는 수는 1, 2, 3, y, 10 중 하나이다.

따라서 상수함수의 개수는 10

07-1

셀파 X={1, 2, 3, y, 10}에 대하여 X에서 X로의 상수 함수의 개수는 n(X)이다.

함수 f는 항등함수이므로 f(x)=x이다.

∴ f(2)=2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4이므로 g(x)는 상수함수이다.

∴ g(-2)=4

f(2)g(-2)=2_4=8

07-2

셀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4이므로 g(x)는 상수 함수이다.

함수 f(x)=2x+k는 증가함수이므 로 f(x)가 일대일대응이려면 f(3)=3이어야 한다.

즉, 직선 y=2x+k의 그래프가 점 (3, 3)을 지나야 하므로 3=6+k ∴ k=-3

06-2

셀파 집합 X={x|x>3}에 대하여 f(x)는 X에서 X로 의 함수이므로 정의역은 {x|x>3}, 공역은 {y|y>3}이다.

x y

O 3

3

y=f(x)

1에 대응할 수 있는 집합 Y의 원소는 4, 5, 6, 7, 8 중 하나이 므로 5개

2에 대응할 수 있는 집합 Y의 원소는 4, 5, 6, 7, 8 중 하나이 므로 5개

3에 대응할 수 있는 집합 Y의 원소는 4, 5, 6, 7, 8 중 하나이 므로 5개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5_5_5=5‹=125

1에 대응할 수 있는 집합 Y의 원소는 4, 5, 6, 7, 8 중 하나이 므로 5개

2에 대응할 수 있는 집합 Y의 원소는 1에 대응한 것을 제외한 4개

08-1

셀파 정의역 X의 각 원소에 대응할 수 있는 공역 Y의 원소 의 개수를 구한다.

정의역 X의 원소 a에는 공역 X의 원소 a, b, c, d 중 하나가 대 응할 수 있고, b에는 a에 대응한 원소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중 하 나가 대응할 수 있다.

또 c에는 a, b에 대응한 원소 2개를 제외한 나머지 2개 중 하나가 대응할 수 있고, d에는 a, b, c에 대응한 원소 3개를 제외한 나머 지 하나가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구하는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4_3_2_1=24

08-2

셀파 집합 X의 원소의 개수가 n개일 때, X에서 X로의 일 대일대응의 개수는 n_(n-1)_y_2_1

두 집합 A={a¡, a™, y, an}, B={b¡, b™, y, bm}에 대하여 f:A ad B일 때

➊ 함수 f의 개수 ⇨ mn

f(a¡)

b™

bm

f(a™)

b™

bm

y f(an)

b™

bm

위의 수형도에서 f(a¡), f(a™), y, f(an)이 각각 m가지의 함숫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함수의 개수는 mn이다.

위의 수형도에서 f(a¡), f(a™), y, f(an)이 각각 m가지의 함숫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함수의 개수는 mn이다.

문서에서 2020 셀파 수학하 답지 정답 (페이지 24-3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