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0 셀파 수학하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0 셀파 수학하 답지 정답"

Copied!
7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0 이하의 소수는 2, 3, 5, 7이므로 A={2, 3, 5, 7} ⑴ 1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1 I A ⑵ 2는 집합 A의 원소이므로 2 G A ⑶ 3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3 G A ⑷ 4는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4 I A

1-1

⑴ {x|x는 5 이하의 자연수}={1, 2, 3, 4, 5} ⑵ {x|x는 4의 배수}={ 4 , 8, 12, 16, y} ⑶ {1, 2, 4, 8}={x|x는 8 의 약수} ⑷ {3, 6, 9, 12, 15, y}={x|x는 3의 배수}

2-1

⑴ {x|x는 15의 약수}={1, 3, 5, 15}{x|x는 100보다 작은 4의 배수} ={4, 8, 12, 16, y, 96} ⑶ {1, 3, 9}={x|x는 9의 약수} ⑷ {1, 2, 3, y, 9}={x|x는 10보다 작은 자연수} | 참고 | ⑷ 주어진 집합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1, 2, 3, y, 9} ={x|x는 10보다 작은 자연수} ={x|x는 10 미만의 자연수} ={x|x는 9 이하의 자연수}

2-2

16의 약수는 1, 2, 4, 8, 16이므로 A={1, 2, 4, 8, 16} ⑴ 1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1 G A ⑵ 4는 집합 A의 원소이므로 4 G A ⑶ 6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6 I A ⑷ 10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10 I A

1-2

본문 | 11, 13 쪽 개념 익히기

1.

집합

⑴ 소수는 2, 3, 5, 7, 11, y이므로 집합 {1, 3, 5}의 원소 중 1이 집합 {x|x는 소수}에 속하지 않는다. ∴ {1, 3, 5} E {x|x는 소수} ⑵ 6의 약수는 1, 2, 3, 6 이므로 집합 {x|x는 6의 약수}의 모든 원소가 집합 {1, 2, 3, 4, 5, 6}에 속한다. ∴ {x|x는 6의 약수} A {1, 2, 3, 4, 5, 6} ⑶ {2x|x는 자연수}={2, 4, 6, 8 , y} {x|x는 자연수}={1, 2, 3, 4, 5, 6, 7, 8, y} ∴ {2x|x는 자연수} A {x|x는 자연수}

3-1

⑴ {x|x는 홀수}={1, 3, 5, 7, 9, y} 이므로 {1, 3, 5, 7}의 모든 원소가 집합 {x|x는 홀수} 에 속한다. ∴ {1, 3, 5, 7} A {x|x는 홀수} ⑵ {x|x는 6 미만의 짝수}={2, 4} 이므로 집합 {2, 4, 6}의 원소 중 6이 집합 {x|x는 6 미만의 짝수}에 속하지 않는다. ∴ {2, 4, 6} E {x|x는 6 미만의 짝수} ⑶ 두 집합이 같으므로 2의 배수의 집합의 모든 원소가 짝 수의 집합에 속한다. ∴ {x|x는 2의 배수} A {x|x는 짝수}

3-2

⑴ 집합 A의 원소가 5 개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2fi=322, 5를 제외한 집합 {1, 3, 4 }의 부분집합의 개수 와 같으므로 25-2=2‹=8

4-1

A={x|x는 10보다 작은 소수}={2, 3, 5, 7} ⑴ 집합 A의 원소가 4개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2›=165, 7을 제외한 집합 {2, 3}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24-2=2€=4

4-2

08 | 정답과 해설 답_008013_수1(하)1-1사.indd 8 2017. 3. 2. 오후 7:48

(2)

본문 | 14~23 쪽 확인 문제 12의 약수는 1, 2, 3, 4, 6, 12이므로 A={1, 2, 3, 4, 6, 12} ④ 8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8IA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

0

1-1

셀파 집합 A의 원소를 구한 다음 집합과 원소 사이의 관계 를 알아본다.

2GA이고 2GB, 3GA이고 3IB, 4GA이고 4GB, 7IA이고 7GB 따라서 구하는 상수 a의 값은 3

0

1-2

셀파 a는 집합 A에는 속하고 집합 B에는 속하지 않는 원 소이다. k=1, 2, 3, 4, y이므로 3k-1=2, 5, 8, 11, y ∴ A={2, 5, 8, 11, y}

0

2-1

셀파 조건에 맞는 원소를 구하여 집합 기호 안에 나열한다. ① 원소가 2, 4, 6, 8로 유한개이므로 유한집합이다. ② 0과 1 사이의 정수는 없으므로 {x|x는 0과 1 사이의 정수}=z 즉, 공집합이므로 유한집합이다. ③ {x|x는 7의 배수}={7, 14, 21, y} 즉, 원소가 7, 14, 21, y로 무한히 많으므로 무한집합이다.

0

3-1

셀파 무한집합은 원소가 무한히 많은 집합이다. ① {z}은 z을 원소로 가지므로 공집합이 아니다. ② {x|x는 두 자리 자연수}={10, 11, 12, y, 99} 즉, 원소가 10, 11, 12, y, 99이므로 공집합이 아니다. ③ {0}은 0을 원소로 가지므로 공집합이 아니다. ④ {x|x는 100보다 큰 짝수}={102, 104, 106, y} 즉, 원소가 102, 104, 106, y이므로 공집합이 아니다. ⑤ 3<x<5인 홀수 x는 없으므로 {x|x는 3<x<5인 홀수}=z 따라서 공집합인 것은 ⑤

0

3-2

셀파 공집합은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이다.

A={2, 4}, B={1, 2, 3}에서 xGA, yGB이므로 x가 될 수 있는 값은 2, 4이고 y가 될 수 있는 값은 1, 2, 3이다. 오른쪽 표와 같이 x+y의 값을 구하 면 3, 4, 5, 6, 7이다. ∴ C={3, 4, 5, 6, 7} ⑵ ⑴과 같은 방법으로 x-y의 값을 구 하면 -1, 0, 1, 2, 3이다. ∴ D={-1, 0, 1, 2, 3}

0

2-2

셀파 표를 이용하여 두 집합 C, D의 원소를 구한다. [x+y의 값] y x 2 4 1 3 5 2 4 6 3 5 7 [x-y의 값] y x 2 4 1 1 3 2 0 2 3 -1 1 ⑴ A={10, 20, 30, y, 90} ∴ n(A)=9 ⑵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이므로 약수가 3개인 소수는 없다. ∴ n(A)=0 ⑶ A={z, {z}, {1}}에서 원소는 z, {z}, {1}이다. ∴ n(A)=3

0

4-1

셀파 10의 배수는 10, 20, 30, y이다. 소수와 합성수 1보다 큰 자연수 중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수를 소수 라 한다. 소수(소수:prime number)는 바탕이 되는 수라는 뜻이다. 이때 1은 ‘1보다 큰 자연수’란 조건에 어긋나므로 소수가 아니 다. 또 2는 약수가 1, 2이므로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진다.’ 는 조건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2는 유일하게 짝수인 소수이다. 또 소수 중에서 그 차가 1인 두 소수는 2와 3이 유일하다. 2를 제외한 다른 소수는 모두 홀수이므로 그 차가 2 이상이기 때문 이다. 한편 자연수 중에서 1과 소수를 제외한 수를 합성수라 한다. 즉, 합성수는 1보다 큰 자연수 중 1과 자기 자신 이외의 또 다 른 약수를 갖는 수이므로 1은 소수도 아니고 합성수도 아니다. LEC TURE ④ {x|x는 50보다 큰 홀수}={51, 53, 55, y} 즉, 원소가 51, 53, 55, y로 무한히 많으므로 무한집합이다. ⑤ {x|x는 100 이하의 3의 배수}={3, 6, 9, y, 99} 즉, 원소가 3, 6, 9, y, 99로 유한개이므로 유한집합이다. 따라서 무한집합인 것은 ③, ④ 1. 집합 | 09 답_008013_수1(하)1-1사.indd 9 2017. 3. 2. 오후 7:48

(3)

① n({z})=1, n(z)=0이므로 n({z})+n(z) ② n({1})=1, n({2})=1이므로 n({1})=n({2}) ③ n({1, 2, 3})-n({2})=3-1=2이므로 n({1, 2, 3})-n({2})+{1, 3} ④ 2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자연수는 없으므로 n({x|x는 2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자연수})=0 ∴ n({x|x는 2보다 크고 3보다 작은 자연수})+z ⑤ n(A)=3, n(B)=3이므로 n(A)=n(B) 따라서 옳은 것은 ⑤

0

4-2

셀파 n(z)=0이지만 n({z})=1 ㄱ. 집합 {0, 1}의 원소는 0, 1이므로 0G{0, 1} (참) ㄴ.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zA{0, 1, 2} (참) ㄷ. 집합 {1, 2}의 원소는 1, 2이므로 1G{1, 2} ∴ {1}A{1, 2} (참) ㄹ. 집합 {z, 0}의 원소는 z, 0이므로 zG{z, 0} (거짓) ㅁ. 집합 {0, 1, 2}의 원소는 0, 1, 2이므로 1G{0, 1, 2} ∴ {1}A{0, 1, 2} (거짓) ㅂ. 집합에서 원소를 나열하는 순서는 관계없으므로 {2, 3}={3, 2} 또 모든 집합은 자기 자신의 부분집합이므로 {2, 3}A{3, 2}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ㅂ

0

5-1

셀파 G는 집합과 원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A는 집합 과 집합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① 1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1IA ② {0}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0}GA ③ 집합 A의 원소는 0, {0}, {0, 1}, z이므로 n(A)=4 ④ 0과 z은 집합 A의 원소이므로 {0, z}AA ⑤ 1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0, 1, z}EA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 | 참고 |

⑤ {0, 1}GA, zGA이므로 {{0, 1}, z}AA

0

5-2

셀파 원소의 형태와는 상관없이 집합에 포함되어 있으면 원 소가 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① A={1, 9}, B={1, 3, 9}이므로 AAB

② A={2, 4, 6, 8, 10, 12, y}, B={4, 8, 12, y}이므로

BAA

③ A=z, B={1}이므로 AAB, BEA

④ A={4, 8, 12, 16, 20}, B={4, 8, 12, 16}이므로 BAA ⑤ A={1, 2, 3, 6}, B={1, 2, 3, 4, 6, 12}이므로 AAB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0

6-1

셀파 두 집합 A,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낸 다음 두 집합 의 원소를 비교한다. 1 a=-2일 때 A={-2, -1, 0}, B={-2, 0, 2, 3}이므로 AEB 2 a=0일 때 A={0, 1}, B={-2, 0, 2, 3}이므로 AEB 3 a=2일 때 A={0, 2, 3}, B={-2, 0, 2, 3}이므로 AAB 4 a=3일 때 A={0, 3, 4}, B={-2, 0, 2, 3}이므로 AEB 1~4에서 a=2

0

7-1

셀파 AAB이므로 a=-2, 0, 2, 3인 경우를 각각 구한다. A=B이고 4GA이므로 4GB

a€-3a=4, a€-3a-4=0, (a+1)(a-4)=0 ∴ a=-1 또는 a=4 1 a=-1일 때, A={-3, 0, 4}, B={2, 4, 5}가 되어 A=B가 성립하지 않는다. 2 a=4일 때, A={2, 4, 5}, B={2, 4, 5}가 되어 A=B가 성립한다. 1, 2에서 a=4

0

7-2

셀파 상수 a의 값을 구한 다음 두 집합 A, B의 원소를 구하 여 A=B가 성립하는지 확인한다. A={3, 5, 7}, B={1, 3, 5, 7, 9}, C={3, 7}이므로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세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는 CAAAB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④

0

6-2

셀파 두 집합 A,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낸 다음 A, B, C 사이의 포함 관계를 알아본다. B A C 1 9 5 3 7 10 | 정답과 해설 답_008013_수1(하)1-1사.indd 10 2017. 3. 2. 오후 7:48

(4)

⑴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6을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A에서 원소 6을 제외한 집합 {1, 2, 3}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 24-1=2‹=8 ⑵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짝수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 는 집합 A에서 짝수인 원소 2, 6을 제외한 집합 {1, 3}의 부분 집합의 개수와 같다. ∴ 24-2=2€=4 확인 체크

01

셀파 특강 본문 | 22 쪽 집중 연습 A={1, 2, 3, 4, 5}에서 n(A)=5 ⑴ 2fi=32 ⑵ 2fi-1=32-1=31 ⑶ 25-2=2‹=8 ⑷ 25-2=2‹=8 ⑸ 25-3=2€=4 ⑹ 25-3=2€=4 ⑺ 소수로만 이루어진 부분집합은 집합 {2, 3, 5}의 부분집 합 중 z을 제외한 집합이므로 그 개수는 2‹-1=8-1=7

0

1

A={x|x는 12의 약수}={1, 2, 3, 4, 6, 12} 이므로 n(A)=6 ⑴ 2fl=64 ⑵ 2fl-1=64-1=63 ⑶ 26-2=2›=16 ⑷ 26-2=2›=16 ⑸ 26-4=2€=4 ⑹ 26-4=2€=4 ⑺ 소수로만 이루어진 부분집합은 집합 {2, 3}의 부분집합 중 z을 제외한 집합이므로 그 개수는 2€-1=4-1=3

0

2

부분집합의 개수 구하기 집합 A={1, 2, 3}의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해 보자. 위의 수형도와 같이 원소를 포함하는 경우를 ◯, 포함하지 않 는 경우를 _로 나타낼 때, 어떤 부분집합에서 특정 원소를 포 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즉, 집합 A={1, 2, 3}의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할 때, 세 개의 원소 1, 2, 3 각각에 대하여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으므 로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_2_2=2‹=8 특정한 원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 구하기 집합 A={1, 2, 3}의 부분집합 중 원소 3을 포함하는 집합은 3을 제외한 {1, 2}의 부분집합을 구한 후 3을 넣었다고 생각하 면 되므로 다음과 같다. 즉, 집합 A={1, 2, 3}의 부분집합 중 원소 3을 포함하는 집합 은 3을 제외한 원소 1, 2 각각에 대하여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으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2_2=2€=4

원소가 n개인 집합 A={a¡, a™, a£, y, an}에 대하여

➊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n ➋ 특정한 k개의 원소를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n-k ➌ 특정한 l개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n-l ➍ 특정한 k개의 원소는 포함하지만 특정한 l개의 원소는 포 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n-k-l 예 집합 A={1, 2, 3, 4, 5}의 부분집합 중 원소 1, 2는 포함하고 원소 5는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5-2-1=2€=4 부분집합 {1, 2, 3} {1, 2} {1, 3} {1} {2, 3} {2} {3} z 1_ 2__ 3____ 세미나 부분집합의 개수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3을 포함하지 않는 것 ooooooq 각 집합에 원소 3을 넣는다.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3을 포함하는 것 z {A3} {1} {1, A3} {2} {2, A3} {1, 2} {1, 2, A3} 1. 집합 | 11 답_008013_수1(하)1-1사.indd 11 2017. 3. 2. 오후 7:48

(5)

① {1, 3, 5, 7, y, 99}는 원소의 개수가 50인 유한집합이다. ② {x|x€=2, x는 정수}=z이므로 원소의 개수가 0인 유한집 합이다. ③ {x|x는 한 자리 자연수}={1, 2, 3, y, 9}는 원소의 개수가 9 인 유한집합이다. ④ {x|x는 약수가 2개인 짝수}={2}는 원소의 개수가 1인 유한 집합이다. ⑤ {x|x는 50보다 큰 5의 배수}={55, 60, 65, 70, y}은 원소 가 무한히 많은 집합이므로 무한집합이다.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⑤

0

4

셀파 무한집합은 원소가 무한히 많은 집합이다. 1의 약수는 1에서 (a, b)=(1, 1) 2의 약수는 1, 2에서 (a, b)=(1, 2), (2, 2) 3의 약수는 1, 3에서 (a, b)=(1, 3), (3, 3) 4의 약수는 1, 2, 4에서 (a, b)=(1, 4), (2, 4), (4, 4) 5의 약수는 1, 5에서 (a, b)=(1, 5), (5, 5) 6의 약수는 1, 2, 3, 6에서 (a, b)=(1, 6), (2, 6), (3, 6), (6, 6) 따라서 구하는 집합 X의 원소의 개수는 1+2+2+3+2+4=14

0

3

셀파 집합 A의 원소의 약수를 집합 A의 원소에서 구한다. ㄱ. 집합 A의 원소는 무한히 많으므로 무한집합이다. (참) ㄴ. 집합 A를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내면 A={x|x는 4의 배수} (참) ㄷ. 집합 A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A={4, 8, 12, 16, 20, y} (거짓) ㄹ. 24와 32는 모두 4의 배수이므로 24GA, 32GA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0

2

셀파 집합 A의 원소는 4, 8, 12, 16, 20, y으로 4의 배수이다. (6, 2)GA이므로 x=6, y=2를 ax-by=12에 대입하면 6a-2b=12 ∴ 3a-b=6 yy㉠

(-3, -2)GA이므로 x=-3, y=-2를 ax-by=12에 대입하면 -3a+2b=12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8, b=18

0

1

셀파 (6, 2)GA, (-3, -2)GA를 이용하여 a, b에 대한 연 립방정식을 세운다. 본문 | 24~25 쪽 연습 문제  A={u, b, i, q, t, o, s}이므로 n(A)=7B={10, 11, 12, y, 99}이므로 n(B)=99-9=90C={5, 10, 15, y, 50}이므로 n(C)=10  ∴ n(A)+n(B)-n(C)=7+90-10=87 채점 기준 배점 n(A)의 값을 구한다. 30% n(B)의 값을 구한다. 30% n(C)의 값을 구한다. 30% n(A)+n(B)-n(C)의 값을 구한다. 10%

0

5

셀파 집합의 원소는 중복하여 쓰지 않으므로 원소의 개수를 구 할 때, 중복되는 것은 한 번만 센다. 전체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소수 2, 3, 5, 7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 집합의 개수를 뺀 것과 같으므로 2‡-27-4=128-8=120

0

8-2

셀파 (적어도 한 개의 ~를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 =(전체 부분집합의 개수) -(~를 한 개도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 ‘적어도~’라는 표현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 중 ‘적어도~’라는 표현이 포 함된 것은 그 반대의 경우를 생각한다. 예를 들어 이 문제에서 ‘적어도 한 개의 소수를 포함하는’의 반 대 경우는 ‘ 소수를 한 개도 포함하지 않는’이다. LEC TURE A={1, 2}, B={1, 2, 4, 8}에서 AAXAB이므로 집합 X는 집합 B의 부분집합 중 원소 1, 2를 포함하는 집합이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24-2=2€=4

0

8-1

셀파 집합 X에 포함되는 원소를 찾는다. 12 | 정답과 해설 답_008013_수1(하)1-1사.indd 12 2017. 3. 2. 오후 7:48

(6)

1번 로봇부터 8번 로봇까지 각 로봇을 원소로 갖는 집합을 A라 하면 A={1번 로봇, 2번 로봇, 3번 로봇, …, 8번 로봇} 이 중 1번 로봇과 3번 로봇을 모두 포함하는 합체 로봇의 개수는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1번 로봇과 3번 로봇을 포함하는 부분집 합의 개수와 같다. ∴ 28-2=2fl=64

11

셀파 집합 {1, 2, 3, y, 8}의 부분집합 중 1, 3을 포함하는 부 분집합의 개수를 구한다.

A={3, a-1, a€+1}, B={a+1, 3-a, 2a+1}에서 3GA이므로 3GB이어야 한다. 1 a+1=3, 즉 a=2일 때 A={1, 3, 5}, B={1, 3, 5} 이때 A=B를 만족한다. 2 3-a=3, 즉 a=0일 때 A={-1, 1, 3}, B={1, 3} 이때 A=B를 만족하지 않는다. 3 2a+1=3, 즉 a=1일 때 A={0, 2, 3}, B={2, 3} 이때 A=B를 만족하지 않는다. 1, 2, 3에서 a=2

0

9

셀파 A=B이면 두 집합 A, B의 원소가 서로 같다.

① 집합 {a, b, {a}}의 원소는 a, b, {a}이므로 {a}G{a, b, {a}}

② z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zA{z} ③ {a, b}={b, a}이므로 {a, b}A{b, a} ④ 집합 {{a}, b, c}의 원소는 {a}, b, c이므로 {a}G{{a}, b, c} ⑤ 집합 {a, b, c}의 원소는 a, b, c이므로 {a}A{a, b, c}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

0

8

셀파 G는 원소와 집합 사이의 관계, A는 집합과 집합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세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 B는 집합 {4, 5, 6, 7, 8}의 부분집합 중 공집합을 제외한 것이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 B의 개수는 2fi-1=31

12

셀파 집합 B는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원소가 4 이상인 것들로 만 이루어진 집합이다. x와 5-x가 모두 자연수이므로 x>1, 5-x>1 ∴ 1<x<4 이때 x의 원소가 될 수 있는 자연수는 1, 2, 3, 4이고 xGS이면 5-xGS이므로 1GS이면 4GS, 2GS이면 3GS 따라서 1과 4, 2와 3은 짝이 되어 S의 원소가 되어야 한다. 원소의 개수에 따라 집합 S를 구하면 1 원소의 개수가 2일 때, S={1, 4}, {2, 3} 2 원소의 개수가 4일 때, S={1, 2, 3, 4} 1, 2에서 구하는 집합 S의 개수는 3 | 다른 풀이 | 집합 S는 1, 2, 3, 4 중의 어떤 원소로 구성되고 1GS이면 4GS, 2GS이 면 3GS이다. 즉, 1, 2가 집합 S의 원소인지 아닌지에 따라 집합 S가 결정되므로 집합 S 의 개수는 2_2=4 이 중에는 S=z도 포함되므로 주어진 조건 S+z으로부터 집합 S의 개 수는 4-1=3

0

7

셀파 x와 5-x가 모두 자연수이므로 x의 값의 범위를 먼저 구 한다. AAB가 되도록 두 집합 A, B를 x a 1 -2a A B 6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 림과 같으므로

a<1, 1<-2a<6 ∴ -3<a<-;2!;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3, -2, -1의 3

10

셀파 AAB이므로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의 원소이 다. a=1일 때, AAB가 성립하지 않으므로 등호는 제외한다. ① {2}는 2를 원소로 가지는 집합이므로 n({2})=1 ② z은 원소가 하나도 없으므로 n(z)=0 ③ n({1, 3, 5})-n({1, 3})=3-2=1

④ n(A)=0이면 집합 A의 원소가 하나도 없으므로 A=z ⑤ {x|x는 10보다 큰 자연수}={11, 12, 13, 14, y}는 원소가 무한히 많은 집합이므로 무한집합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④

0

6

셀파 {0}과 {z}은 원소가 1개인 집합으로 {0}+z, {z}+z 이다. 원소가 3개 원소가 2개 1. 집합 | 13 답_008013_수1(하)1-1사.indd 13 2017. 3. 2. 오후 7:48

(7)

U A 2 3 7 4 8 1 6 5 BUA 2 3 7 4 8 1 6 5 B AC={1, 4, 5, 6, 8 } BC={1, 3, 5, 6}U A 2 3 7 4 8 1 6 5 BUA 2 3 7 4 8 1 6 5 B A-B={ 3 } B-A={4, 8}

2-1

U A B 0 2 4 7 9 5U A B 0 2 4 7 9 5 AC={7, 9} BC={4, 5, 7, 9}U A B 0 2 4 7 9 5U A B 0 2 4 7 9 5 A-B={4, 5} B-A=0

2-2

본문 | 29, 31 쪽 개념 익히기

2.

집합의 연산

A 1 2 4 5 3 6 B A 1 2 4 5 3 6 B A={1, 2, 4, 5 } B={1, 2, 3, 6}A 1 2 4 5 3 6 BA 1 2 4 5 3 6 B ADB={ 1 , 2} ACB={1, 2, 3, 4, 5, 6}

1-1

A 2 4 8 6 10 1 3 B A 2 4 8 6 10 1 3 B A={2, 4, 6, 8, 10} B={1, 2, 3} A 2 4 8 6 10 1 3 B A 2 4 8 6 10 1 3 B ADB={2} ACB={1, 2, 3, 4, 6, 8, 10}A 1 5 10 2 B A 1 5 10 2 B A={1, 2, 5, 10} B={1, 2} A 1 5 10 2 B A 1 5 10 2 B ADB={1, 2} ACB={1, 2, 5, 10}

1-2

⑴ (ACB) B B ⑵ BD(ACB) = B A B ACB A B BD(ACB)

3-2

⑴ (ADB) A A ⑵ AC(ADB) = A A B ADB A B AC(ADB)

3-1

14 | 정답과 해설 답_014021_수1(하)1-2.indd 14 2017. 3. 13. 오전 9:39

(8)

U A B A -U A B ADB = U A B A-(ADB) ACB B (ACB)-B U A B A -U A B ADB = U A B A-(ADB) ∴ A-(ADB) = (ACB)-B 일치

4-2

U A B B -U A B A = U A B B-A U A B B D U A B AC = U A B BDAC ∴ B-A = BDAC 일치

4-1

본문 | 32~45 쪽 확인 문제 A={1, 2, 4, 8}, B={1, 3, 9}이므로 ⑴ ADB={1, 2, 4, 8}D{1, 3, 9}={1} ⑵ ACB={1, 2, 4, 8}C{1, 3, 9}={1, 2, 3, 4, 8, 9} ⑶ BC=U-B ={1, 2, 3, 4, 5, 6, 7, 8, 9}-{1, 3, 9} ={2, 4, 5, 6, 7, 8} ⑷ A-B={1, 2, 4, 8}-{1, 3, 9}={2, 4, 8} ⑸ ADBC={1, 2, 4, 8}D{2, 4, 5, 6, 7, 8}={2, 4, 8} ⑹ AC=U-A ={1, 2, 3, 4, 5, 6, 7, 8, 9}-{1, 2, 4, 8} ={3, 5, 6, 7, 9} ∴ B-AC ={1, 3, 9}-{3, 5, 6, 7, 9}={1}

0

1-1

셀파 A={1, 2, 4, 8}, B={1, 3, 9}이다.

ADBC=A-B=A이므로 ADB=z

U={1, 2, 3, 4, 5}, A={1, 2, 3} 이고 ACB=U이므로 B={4, 5}

0

2-1

셀파 ADBC=A-B=A이므로 ADB=0이다.

U={0, 1, 2, 3, 4, 5, 6, 7}, (ACB)C={0}, ADB={2, 3}, B-A={5, 7}을 벤 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A-B는 색칠한 부분과 같으므로 A-B={1, 4, 6} | 다른 풀이 | (ACB)C={0}이므로 ACB={1, 2, 3, 4, 5, 6, 7} 또 ADB={2, 3}이고 B-A={5, 7}이므로 B=(ADB)C(B-A)={2, 3, 5, 7} ∴ A-B=(ACB)-B={1, 4, 6}

0

2-2

셀파 주어진 조건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다. U 0 A B 1 4 6 2 3 57 (ACB)C ADB B-A

ADB={1, 4}에서 1GA, 4GA 4GA에서 a€+3=4, a€=1 ∴ a=-1 또는 a=1 1 a=-1일 때, A={1, 2, 4}, B={-2, -1, 0} 이때 ADB=0이 되어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2 a=1일 때, A={1, 2, 4}, B={0, 1, 4} 이때 ADB={1, 4}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한다. 1, 2에서 a=1 | 다른 풀이 | (ADB)AB에서 두 원소 a, 3a+1의 값이 1, 4 중 하나의 값을 각각 가 져야 하므로 다음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1 [a=13a+1=4 2 [a=43a+1=1 1 a=1일 때, 3a+1=4가 성립한다. 이때 a€+3=4이므로

A={1, 2, 4}, B={0, 1, 4}에서 ADB={1, 4} 2 a=4일 때, 3a+1=13+1

1, 2에서 a=1

0

3-1

셀파 aG(ADB)이면 aGA이고 aGB이다.

2. 집합의 연산 | 15

(9)

A={2, 4, 6, 2a+1}, B={2, 7, 8, a€-5}에 대하여 A-B={6}이므로 4GB

즉, a€-5=4에서 a€=9 ∴ a=-3 1 a=-3일 때 A={-5, 2, 4, 6}, B={2, 4, 7, 8} 이때 A-B={-5, 6}이 되어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다. 2 a=3일 때 A={2, 4, 6, 7}, B={2, 4, 7, 8} 이때 A-B={6}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한다. 1, 2에서 a=3

0

4-1

셀파 A-B의 원소는 A에는 속하고 B에는 속하지 않는다. a+4이므로 a의 값은 1, 2, 3, 5 중 하나의 값을 가진다.

이때 ADB=0이므로 1IB, 3IB ∴ a+1, a+3 따라서 구하는 a의 값은 2 또는 5

0

3-2

셀파 두 집합 A, B가 서로소이면 ADB=z이다.

ADBC=A-B=0이므로 AAB이다. (단, A+B)

이때 2GA이므로 2GB 1 x-1=2, 즉 x=3일 때 A={2, 10}, B={2, 10} 이때 A=B가 되어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2 x€-7=2, x€=9, 즉 x=-3일 때 A={2, 10}, B={-4, 2, 10} 이때 A-B=z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한다. 1, 2에서 x=-3

0

4-2

셀파 ADBC=0에서 두 집합 A, B 사이의 포함 관계를 판단한다. ⑴ AC(BDAC) =(ACB)D(ACAC) =(ACB)DU =ACB ⑵ (ACB)D(AC CB) =(BCA)D(BCAC) =BC(ADAC) =BC0=B 교환법칙을 이용

0

5-1

셀파 ⑴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식을 전개한다. ⑵ 공통이 아닌 부분 A와 AC을 괄호로 묶는다. (ADB)C(B-A) =(BDA)C(BDAC) =BD(ACAC) =BDU =B

0

5-2

셀파 B-A=BDAC으로 고친 다음 간단하게 정리한다. ➊ AD(BCC)=(ADB)C(ADC) A B C A B C A B C D ⇨ AD(BCC) BCC A A B C A B C A B C(ADB)C(ADC) ADC ADB C 일치 ➋ AC(BDC)=(ACB)D(ACC) A B CAC(BDC) A B C BDC A B C A C A B C D (ACB)D(ACC) A B C ACC A B C ACB 일치 세미나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분배법칙 확인 AC C(B-A)C =ACC(BDAC)C =AC C(BCCA) =AC C(ACBC) =(AC CA)CBC =UCBC=U | 참고 | 세 집합 A, B, C에 대하여 (ACB)CC=AC(BCC) (ADB)DC=AD(BDC) 드모르간의 법칙 교환법칙 결합법칙

0

6-1

셀파 드모르간의 법칙을 이용한다. 16 | 정답과 해설 답_014021_수1(하)1-2.indd 16 2017. 3. 2. 오후 7:48

(10)

➊ (ADB)C=AC CBC U A B UA B = C ADB (ADB)C AC ACCBC U A B BC U A B UA B U A B UA B = C ADB (ADB)C AC ACCBC U A B BC U A B UA B ➋ (ACB)C=AC DBC U A B UA B = D ACB (ACB)C AC ACDBC U A B BC U A B UA B U A B UA B = D ACB (ACB)C AC ACDBC U A B BC U A B UA B 세미나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드모르간의 법칙 확인 A-(A-B) =A-(ADBC) =AD(ADBC)C =AD(AC CB) =(ADAC)C(ADB) =0C(ADB) =ADB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③

0

6-2

셀파 차집합과 여집합의 성질과 분배법칙, 드모르간의 법칙 을 이용하여 정리한다. ACX=X이므로 AAX ∴ AAXAU 따라서 집합 X는 전체집합 U={1, 2, 3, 4, 5}의 부분집합 중 원 소 1, 2를 포함하는 집합이므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25-2=2‹=8

0

8-1

셀파 ACX=X이면 AAX, ADX=X이면 XAA이다.

P-Q=PDQC 드모르간의 법칙 분배법칙 (ACC)-(BCC) =(ACC)D(BCC)C =(ACC)D(BC DCC) ={(ACC)DCC}DBC ={(ADCC)C(CDCC)}DBC =(ADCC)DBC = AD(BC DCC) =AD(BCC)C =A-(BCC)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①

0

7-1

셀파 A-B=ADBC에서 (ACC)-(BCC)=(ACC)D(BCC)C이다. 차집합의 성질 드모르간의 법칙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 CDCC=z 결합법칙, 교환법칙 드모르간의 법칙 차집합의 성질 조건 ㈎에서 (ADB)CX=X이므로 (ADB)AX 조건 ㈏에서 (ACB)DX=X이므로 XA(ACB) ∴ (ADB)AXA(ACB) 이때 A={2, 3, 8}, B={2, 3, 4, 5, 6, 7}에서 ADB={2, 3}, ACB={2, 3, 4, 5, 6, 7, 8}이므로 {2, 3}AXA{2, 3, 4, 5, 6, 7, 8} 따라서 집합 X는 {2, 3, 4, 5, 6, 7, 8}의 부분집합 중 원소 2, 3을 포함하는 집합이므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27-2=2fi=32

0

8-2

셀파 주어진 조건에서 집합 X가 반드시 포함하는 원소와 집합 X가 어떤 집합의 부분집합인지 파악한다.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ACB)-B=A-B A-B=0이므로 AAB이다. 이때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에서 ① AAB ② BC AAC ③ ACB=B ④ ADB=A ⑤ B-A+z 따라서 항상 성립하는 것은 ① U B A

0

9-1

셀파 (ACB)-B=A-B이다. AAB와 같은 여러 가지 표현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AB이면 다음 이 항상 성립한다는 것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확인할 수 있다. ADB=A ACB=B BC AAC A-B=z AC CB=U ADBC=z LEC TURE 일치 일치 2. 집합의 연산 | 17 답_014021_수1(하)1-2.indd 17 2017. 3. 2. 오후 7:48

(11)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ADB)C(A-B)}DB ={(ADB)C(ADBC)}DB ={AD(BCBC)}DB =(ADU)DB=ADB ADB=B이므로 BAA이다. 이때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에서 ① ADB=B ② B-(ADB)=B-B=0 ③ (ACB)-A=A-A=0 ④ ACBC=U ⑤ BC-AC=BC D(AC)C=BCDA=A-B+z 따라서 항상 성립한다고 할 수 없는 것은 ⑤

0

9-2

셀파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정리한다. U A B 색칠한 부분은 집합 A 중에서 집합 B와 C는 포함하지 않으므로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은 ADBC DCC =AD(BCDCC) =(ADBC)D(ADCC) =(A-B)D(A-C) 따라서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②

10-1

셀파 색칠한 부분을 포함하는 집합과 포함하지 않는 집합을 찾는다. ⑴ n(ACB)=n(A)+n(B)-n(ADB)이므로 40=33+16-n(ADB), n(ADB)=9 ∴ n(A-B) =n(A)-n(ADB) =33-9=24 | 다른 풀이 | n(A-B) =n(ACB)-n(B) =40-16=24 ⑵ n(ACBCC)= n(A)+n(B)+n(C)-n(ADB) -n(BDC)-n(CDA)+n(ADBDC) =10+14+15-5-6-3+2=27 ∴ n((ACBCC)C) =n(U)-n(ACBCC) =30-27=3 확인 체크

01

셀파 특강 본문 | 42 쪽 집중 연습 ⑴ n(ACB) =n(A)+n(B)-n(ADB) =4+8-3=9 ⑵ n(ACB)=n(A)+n(B)-n(ADB)이므로 8=5+4-n(ADB) ∴ n(ADB)=1 ⑶ n(A-B)=n(A)-n(ADB)=9-4=5 ⑷ n(A-B)=n(ACB)-n(B)=8-5=3 ⑸ n(AC)=n(U)-n(A)=20-10=10

0

1

⑴ n(ADB) =n(A)+n(B)-n(ACB) =15+12-23=4 ⑵ n(A-B)=n(A)-n(ADB)=15-4=11 ⑶ n(B-A)=n(B)-n(ADB)=12-4=8 ⑷ n(AC)=n(U)-n(A)=26-15=11 ⑸ n((ACB)C)=n(U)-n(ACB)=26-23=3

0

2

U={1, 2, 3, …, 9, 10}, A={1, 2, 3, 6}, B={1, 3, 9} 에서 n(U)=10, n(A)=4, n(B)=3 ⑴ n(AC)=n(U)-n(A)=10-4=6 ⑵ ADB={1, 3}이므로 n(ADB)=2 ∴ n(ACB) =n(A)+n(B)-n(ADB) =4+3-2=5 ⑶ n(A-B)=n(A)-n(ADB)=4-2=2 ⑷ n(AC DB) =n(B-A)=n(B)-n(ADB) =3-2=1 ⑸ n(AC CBC) =n((ADB)C)=n(U)-n(ADB) =10-2=8

0

3

18 | 정답과 해설 답_014021_수1(하)1-2.indd 18 2017. 3. 2. 오후 7:48

(12)

X=BCC라 하면 n(ACBCC) =n(ACX) =n(A)+n(X)-n(ADX) …… ㉠ 이때 n(X)=n(BCC)=n(B)+n(C)-n(BDC) …… ㉡ n(ADX) =n(AD(BCC)) =n((ADB)C(ADC)) =n(ADB)+n(ADC) -n((ADB)D(ADC)) =n(ADB)+n(ADC)-n(ADBDC) …… ㉢ ㉡, ㉢을 ㉠에 대입하면 n(ACBCC) = n(A)+n(B)+n(C)-n(ADB)-n(BDC) -n(ADC)+n(ADBDC) 세미나 연산법칙을 이용해 n(ACBCC)를 구하는 공식 확인 n(BC)=20, n(U)=40이므로 n(B)=n(U)-n(BC)=40-20=20 또 n(ADBC)=n(A-B)=n(A)-n(ADB)이므로 12=18-n(ADB) ∴ n(ADB)=6 ∴ n(BDAC) =n(B-A) =n(B)-n(ADB) =20-6=14

11-1

셀파 ADBC=A-B=A-(ADB)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A 놀이 기구를 타 본 학생의 집합을 A, B 놀이 기구를 타 본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n(U)=50, n(A)=38, n(B)=20, n((ACB)C)=5이므로

n(ACB)=n(U)-n((ACB)C)=50-5=45 따라서 B 놀이 기구만 타 본 학생 수는 n(B-A)=n(ACB)-n(A)=45-38=7 | 다른 풀이 | n(ADB)=x라 하고 각 영역에 해당하는 원소의 개수를 벤 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오른 쪽 그림과 같다. 50=(38-x)+x+(20-x)+5 50=63-x, x=13 ∴ n(B-A) =20-x=20-13=7 38-x x 20-x 5 UA B

12-1

셀파 n(B-A) =n(ACB)-n(A)를 이용한다. n(ADB) =n(A)+n(B)-n(ACB) =9+7-12=4 n(BDC) =n(B)+n(C)-n(BCC) =7+5-10=2 ADC=z이므로 ADBDC=z ∴ n(ACBCC)=n(A)+n(B)+n(C)-n(ADB) -n(BDC)-n(CDA)+n(ADBDC) =9+7+5-4-2-0+0=15

11-2

셀파 n(ACBCC)=n(A)+n(B)+n(C) -n(ADB)-n(BDC)-n(CDA)+n(ADBDC) 본문 | 46~47 쪽 연습 문제 A={3, 6, 9, 12, 15}, B={6, 12, 18}에서 ① ADB={6, 12} ② ACB={3, 6, 9, 12, 15, 18} ③ A-B={3, 9, 15} ④ B-A={18} ⑤ A-(A-B) ={3, 6, 9, 12, 15}-{3, 9, 15}={6, 12}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

0

1

셀파 A-B는 집합 A에는 속하고 집합 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의 집합이다. ADB={1}이므로 두 방정식 x€+ax+1=0, x€+x+b=0의 공통근이 1이다. x=1을 방정식 x€+ax+1=0에 대입하면 1+a+1=0에서 a=-2 a=-2일 때, x€-2x+1=0, (x-1)€=0 x=1이므로 A={1} x=1을 방정식 x€+x+b=0에 대입하면 1+1+b=0에서 b=-2 b=-2일 때, x€+x-2=0, (x+2)(x-1)=0 x=-2 또는 x=1이므로 B={-2, 1} ∴ ACB={-2, 1}

0

2

셀파 두 방정식 x€+ax+1=0, x€+x+b=0의 공통근이 1 이다. 2. 집합의 연산 | 19 답_014021_수1(하)1-2.indd 19 2017. 3. 9. 오후 6:19

(13)

U={1, 2, 3, 4, y, 9, 10} A={1, 2, 3, 6}에서 AC ={4, 5, 7, 8, 9, 10} B={1, 3, 5, 7, 9}에서 BC ={2, 4, 6, 8, 10} ∴ BC -AC ={2, 6} 따라서 BC -AC 의 모든 원소의 합은 2+6=8 | 다른 풀이 | BC-AC =BCD(AC)C=BCDA =ADBC=A-B ={1, 2, 3, 6}-{1, 3, 5, 7, 9} ={2, 6} 따라서 BC-AC의 모든 원소의 합은 2+6=8

0

4

셀파 A-B=ADBC, (AC)C=A 벤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각 부분에 해당하는 원소를 써넣으면 다 음 그림과 같다. A b e BA b e a c BA b e a c d f B

ADB={b, e} A={a, b, c, e} ACB

={a, b, c, d, e, f }

∴ B={b, d, e, f}

0

5

셀파 집합의 연산 결과에서 집합을 구할 때는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다.

ACB={1, 3, 5}이고 1GA이므로 3GA 또는 5GA 1 3GA, 즉 a=3일 때 A={1, 3}, B={3, 5} 이때 ACB={1, 3, 5}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한다. 2 5GA, 즉 a=5일 때 A={1, 5}, B={5, 19} 이때 ACB={1, 5, 19}가 되어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 는다. 1, 2에서 a=3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③

0

7

셀파 ACB={1, 3, 5}에서 3GA 또는 5GA이다.

U={1, 2, 3, …, 9}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CB)C={3, 5, 6}이므로 ACB={1, 2, 4, 7, 8, 9} A-B={1, 2, 4}, B-A={7, 9}, (ACB)C={3, 5, 6}을 벤 다이어그 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ADB={8}

0

6

셀파 주어진 집합의 원소를 벤 다이어그램에 나타내 본다. U A B 1 2 7 3 5 8 6 9 4 ① ADB={0, 1, 2}D{2, 4, 6}={2}+0 ② ADB ={x|1<x<3, x는 실수}D{x|0<x<2, x는 실수} ={x|1<x<2, x는 실수}+0 ③ AAB이므로 ADB=A={x|x는 정수}+0 ④ A={3, 6, 9, …}, B={4, 7, 10, …}이므로 ADB=0 ⑤ BAA이므로 ADB=B={2, 4, 6, 8}+0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④

0

3

셀파 ADB=z인 것을 찾는다. 벤 다이어그램의 영역

A-B, B-A, (ACB)C, ADB

가 나타내는 영역을 벤 다이어그램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LEC TURE U A B B-A A-B ADB (ACB)C ① (ADB)C(AC CBC)=(ADB)C(ADB)C=U ② (AC DB)C(ACDBC) =ACD(BCBC) =AC DU=AC ③ AC

D(ACB) =(ACDA)C(ACDB) =zC(AC DB) =AC DB=B-A ④ AD(BDAC) =AD(AC DB) =(ADAC)DB =zDB=z

⑤ (A-B)C(A-C) =(ADBC)C(ADCC)

=AD(BC

CCC) =AD(BDC)C

=A-(BDC)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③

0

8

셀파 ACAC=U, ADAC=z이다.

조건 ㈎에서 AD{3, 4, 5}={3, 4, 5}이므로 {3, 4, 5}AA 조건 ㈏에서 AA{1, 2, 3, 4, 5}이므로 {3, 4, 5}AAA{1, 2, 3, 4, 5}

0

9

셀파 {a, b}를 포함하는 {a, b, c, d}의 부분집합을 구할 때는 원소 a, b를 제외한 {c, d}의 부분집합 z, {c}, {d}, {c, d}에 a, b를 각각 넣어준다. 20 | 정답과 해설 답_014021_수1(하)1-2.indd 20 2017. 3. 2. 오후 7:48

(14)

① A=B이면 AAB가 성립하지만 n(A)=n(B) ② ACB=A이면 BAA이므로 B-A=z ③ AC

CBC=(ADB)C=U-(ADB) ④ A-B=0이면 AAB

⑤ AAB이고 BAA이면 A=B이므로 A-B=0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②

10

셀파 A=B이면 AAB이고 BAA이므로 n(A)=n(B)이 다. 조건 ㈎에서 n(ADB)=5 조건 ㈏에서 U-(AC DB)C=ACDB=B-A ∴ n(B-A)=12 ADB와 B-A에 해당하는 원소의 개수를 벤 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오 른쪽 그림과 같다. B=(ADB)C(B-A)이므로 집합 B의 원소의 개수는 5+12=17

11

셀파 B=(ADB)C(B-A)이다. U A B 5 12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자전거, 버스, 지하철을 이용하는 학생의 집합을 각각 A, B, C라 하면 n(U)=40, n(A)=16, n(B)=18, n(C)=17, n(ADB)=5, n(BDC)=6, n(ADC)=6, n(ADBDC)=0이므로 n(ACBCC) =n(A)+n(B)+n(C)-n(ADB)-n(BDC) -n(CDA)+n(ADBDC) =16+18+17-5-6-6+0=34 따라서 걸어서 등교하는 학생 수는 n((ACBCC)C) =n(U)-n(ACBCC) =40-34=6

12

셀파 걸어서 등교하는 학생의 집합은 자전거 또는 버스 또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학생의 집합의 여집합이다. 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두 영화 A, B를 본 학생의 집합을 각 각 A, B라 하면 n(U)=35, n(A)=23, n(B)=17 이때 n(A)>n(B)이므로 n(A)<n(ACB)<n(U) ∴ 23<n(ACB)<35 …… ㉠  두 영화 A, B를 모두 본 학생 수는 n(ADB)이므로 n(ADB)=x라 하면 n(ACB) =n(A)+n(B)-n(ADB) =23+17-x =40-x …… ㉡  ㉡을 ㉠에 대입하면 23<40-x<35 ∴ 5<x<17 따라서 두 영화 A, B를 모두 본 학생 수의 최댓값은 17, 최솟값은 5 채점 기준 배점 n(ACB)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30% n(ADB)=x라 하고 n(ACB)를 x로 나타낸다. 30%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40%

13

셀파 A 영화 또는 B 영화를 본 학생 수는 35를 넘지 않아야 한 다. n(ACB), n(ADB)의 최대, 최소 n(ACB), n(ADB)의 최대, 최소는 벤 다이어그램으로 쉽 게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의 원리를 꼭 기억하자. B A AB 또는 n(ACB):최소 n(ADB):최대 A B n(ACB):최대 n(ADB):최소

➊ AAB 또는 BAA일 때, n(ADB)는 최대 ⇨ n(ADB)=n(A) 또는 n(ADB)=n(B) ➋ n(ACB)=n(U)일 때, n(ADB)는 최소 ⇨ n(ADB)=n(A)+n(B)-n(U) 한편 n(ACB)=n(A)+n(B)-n(ADB)이므로 n(ACB)의 값은 n(ADB)의 값에 따라 결정된다. 즉, n(A), n(B)의 값이 일정하면 n(ADB)의 값이 최대일 때 n(ACB)의 값은 최소, n(ADB)의 값이 최소일 때 n(ACB)의 값은 최대 가 된다. LEC TURE 따라서 집합 A는 {1, 2, 3, 4, 5}의 부분집합 중 원소 3, 4, 5를 포 함하는 집합이므로 구하는 집합 A의 개수는 25-3=2€=4 | 참고 | 원소 3, 4, 5를 제외한 집합 {1, 2}의 부분집합 0, {1}, {2}, {1, 2}에 원소 3, 4, 5를 각각 넣으면 {3, 4, 5}, {1, 3, 4, 5}, {2, 3, 4, 5}, {1, 2, 3, 4, 5}이므로 집합 A의 개수 는 4이다. 2. 집합의 연산 | 21 답_014021_수1(하)1-2.indd 21 2017. 3. 9. 오후 6:19

(15)

⑴ 2€=4에서 4>3이므로 ‘2€>3’은 참 인 명제이다. ⑵ x=5이면 참이고, x+5이면 거짓이다. 즉, x의 값에 따 라 참 또는 거짓이 되므로 ‘3x+4=19’는 조건이다. ⑶ 모든 직사각형은 사다리꼴이므로 참인 명제이다. ⑷ x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x+1<x+100이므로 ‘x+1>x+100’은 거짓인 명제 이다.

1-1

본문 | 51, 53, 55 쪽 개념 익히기

3.

명제

| 다른 풀이 | 집합A의 원소 | 참고 | 집합A의 원소인 =f '+lim limn d$;2!!; 123123 123 "1€∂23 123'å12å3 ;3!;[1-{;;1!;}n] 1-;3!;

34567a“ ‘41232 cdc{[abc1223abc =Úkd1Ún +;2!; ;2π; ;2∏2; ;;4Î;; D4

ebabd j i f h kffffl i f h lffm n o o q -3 조건 p, q, r, s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 S라 하면 전체집합 U={1, 2, 3, 4, 5, 6, 7, 8, 9, 10}에서 ⑴ 4의 약수는 1, 2, 4이므로 P={1, 2, 4} ⑵ (x-2)(x-3)=0에서 x=2 또는 x=3 ∴ Q={2, 3} ⑶ 7 이상의 자연수는 7, 8, 9, 10, 11, y이다. 이때 11, 12, 13, y은 전체집합 U의 원소가 아니므로 R={7, 8, 9, 10} ⑷ x€+1<10, 즉 x€<9에서 -3<x<3이다. 이때 S는 U={1, 2, 3, y, 9, 10}의 부분집합이므로 S={1, 2}

2-2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전체집합 U={1, 2, 3, 4, 5, 6, 7, 8, 9, 10}에서 ⑴ x€-4=0, (x+2)(x-2)=0 ∴ x=-2 또는 x=2 이때 x=-2는 전체집합 U의 원소가 아니므로 P={ 2 } ⑵ 12의 약수는 1, 2, 3, 4, 6, 12이다. 이때 12 는 전체집합 U의 원소가 아니므로 Q={1, 2, 3, 4, 6}

2-1

⑴ 1+2=3이므로 ‘1+2>3’은 거짓인 명제이다. ⑵ ‘x<5’는 x의 값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이 되므로 조건이다. ⑶ p는 무리수이므로 참인 명제이다. ⑷ 0보다 작은 자연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x의 값에 관계 없이 거짓인 명제이다.

1-2

⑴ x=0일 때, |x|=0이므로 거짓이다. ⑵ x=1일 때, x€=1이므로 거짓이다. ⑶ x=0일 때, x€=0이므로 참이다. ⑷ x<0을 만족하는 자연수는 없으므로 거짓이다.

3-2

전체집합 U={-2, -1, 0, 1, 2}에서 ⑴ x=-2일 때, (-2)+2=0이므로 거짓 이다. ⑵ 모든 x에 대하여 x€>0이므로 참이다. ⑶ x=-2일 때, (-2)+2=0이므로 참 이다. ⑷ 모든 x에 대하여 x€<4이다. 즉, 전체집합 U의 원소 중 x€>4를 만족하는 x는 없으므로 거짓이다.

3-1

여러 가지 사각형과 포함 관계 ➊ 직사각형: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사각형 ⇨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 다. ➋ 마름모: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사각형 ⇨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➌ 정사각형: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고, 네 변의 길이가 모 두 같은 사각형 ⇨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 다. ➍ 사다리꼴:한 쌍의 대변이 평행한 사각형 ➎ 등변사다리꼴:아랫변의 양 끝각의 크기가 같은 사다리꼴 ⇨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고, 평행하지 않은 한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같다. LEC TURE 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직사각형 마름모 정사 각형 22 | 정답과 해설 답_022030_수1(하)1-3_사.indd 22 2017. 3. 2. 오후 7:49

(16)

⑴ 조건 ‘p : x가 12의 약수이다.’의 진리집합을 P, 조건 ‘q : x는 8의 약수이다.’의 진리집합을 Q라 하면 P={1, 2, 3, 4, 6, 12}, Q={1, 2, 4, 8} 이때 PE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⑵ 조건 ‘p : x>1’의 진리집합을 P, 조건 ‘q : x>-1’의 진리집합을 Q라 하면 P={x|x>1}, Q={x|x>-1} 이때 PA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4-2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⑴ P={0}, Q={0, 1 } 이때 PAQ이고 QEP이므로 p fffm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 조건이다. ⑵ P={-5, 5}, Q={5} 이때 PEQ이고 Q A P이므로 q fffm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 참고 | ⑴ 조건 q에서 x€-x=0, x(x-1)=0 ∴ x=0 또는 x=1

6-1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⑴ P={x|x<2}, Q={x|-1<x<1} 이때 PEQ이고 QAP이므로 q fffm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⑵ P={x|x>1}, Q={x|x>0} 이때 PAQ이고 QEP이므로 p fffm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⑶ 3(x-1)=x+1, 2x=4 ∴ x=2 P={2}, Q={2} 이때 P=Q이므로 p lffm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⑷ x€-3x+2=0, (x-1)(x-2)=0 ∴ x=1 또는 x=2 P={2}, Q={1, 2} 이때 PAQ이고 QEP이므로 p fffm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6-2

⑴ 조건 ‘p:x가 9의 약수이다.’의 진리집합을 P, 조건 ‘q:x는 27의 약수이다.’의 진리집합을 Q라 하면 P={1, 3, 9}, Q={1, 3, 9, 27 } 이때 PA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 이다. ⑵ 조건 ‘p:-3<x<3’의 진리집합을 P, 조건 ‘q:-2<x<2’의 진리집합을 Q라 하면 P={x|-3<x<3}, Q={x|-2<x<2} 이때 PE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 이다.

4-1

eb eb eb eb a€+b€=0이면 a=0이고 b=0이다. a=0이고 b=0이면 a€+b€ = 0이다. eb 역 bd 대우 대우 eb 역 bd

5-1

명제의 역과 대우 명제 p cbd q를 가정과 결론으로 나눈 다음 ➊ 역은 가정과 결론의 자리를 바꾼다. ➋ 대우는 가정과 결론을 부정한 다음 자리를 바꾼다. LEC TURE a+0 또는 b+0 이면 a€+b€+0이다. a€+b€+0이면 a+0 또는 b+0이다. x>1이면 x€>1이다. eb 역 bd x€>1이면 x>1이다. 대우 대우 x€<1이면 x<1이다. eb 역 bd x<1이면 x€<1이다.

5-2

eb eb eb eb 3. 명제 | 23 답_022030_수1(하)1-3_사.indd 23 2017. 3. 2. 오후 7:49

(17)

0

3-1

셀파 주어진 조건의 진리집합을 구한 다음 집합의 연산법칙 을 이용한다. 전체집합 U={1, 2, 3, 4, 5, 6, 7, 8, 9}에서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1, 3, 5, 7, 9}, Q={2, 3, 5, 7}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은 각각 PC, QC이므로 PC={2, 4, 6, 8}, QC={1, 4, 6, 8, 9} 조건 ‘~p 또는 ~q’의 진리집합은 PC CQC이므로 PC CQC={1, 2, 4, 6, 8, 9}

0

4-1

셀파 ‘어떤’을 포함한 명제는 예를 찾고, ‘모든’을 포함한 명 제는 반례를 찾는다. 전체집합 U={1, 2, 3, 4, 5}의 두 원소 x, y에 대하여 ⑴ x=1, y=2일 때, x€+y€=5이다. ∴ 참 ⑵ x=1, y=2일 때, x+y=3<5이다. ∴ 참 ⑶ x-y의 값이 가장 클 때는 x=5, y=1일 때이므로 x-y=4 따라서 모든 x, y에 대하여 x-y<5 ∴ 참 ⑷ [반례] x=2, y=1일 때, x€-y€=3>0이다. ∴ 거짓 ㄱ. x=-4이면 -4<3이지만 (-4)€=16>9 따라서 거짓인 명제이다. ㄴ. 실수에서 덧셈의 교환법칙이 성립하므로 참인 명제이다. ㄷ. x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달라지므로 명제가 아니다. ㄹ. ab-a-b+1=(a-1)(b-1) a, b가 짝수이면 a-1, b-1은 홀수이므로 ab-a-b+1은 홀수이다. 따라서 참인 명제이다.

0

1-1

셀파 참인지 거짓인지를 분명히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식이 명제이다. 본문 | 56~69 쪽 확인 문제

0

1-2

셀파 소수는 2, 3, 5, 7, 11, y이므로 2는 소수 중 유일한 짝 수이다. ⑴ 9의 배수는 모두 3의 배수가 되므로 참인 명제이다. ⑵ 2는 소수이지만 홀수가 아니다. 따라서 거짓인 명제이다.

0

2-1

셀파 ‘>’의 부정은 ‘<’이고 ‘>’의 부정은 ‘<’이다. ⑴ 명제 ‘p는 무리수이다.’의 부정은 p는 무리수가 아니다. ⑵ 명제 ‘2+3>5’의 부정은 2+3<5 ⑶ ‘xy=0’은 ‘x=0 또는 y=0’과 같으므로 이 조건의 부정은 x+0이고 y+0 ⑷ 조건 ‘x<-1’의 부정은 ‘x>-1’이고 조건 ‘x>4’의 부정은 ‘x<4’이므로 주어진 조건의 부정은 x>-1이고 x<4 ∴ -1<x<4 명제의 부정을 구할 때 주의할 점 ⑴ ‘p이다.’의 부정은 ‘p가 아니다.’이므로 ‘p는 무리수이다.’의 부정을 ‘p는 유리수이다.’로 답하지 않도록 한다. 단, 실수 범위에서 생각한다는 조건이 있다면 무리수의 부정은 유리 수이므로 ‘p는 무리수이다.’의 부정을 ‘p는 유리수이다.’로 말할 수 있다. ⑵ >(크다)의 부정은 <(작다)가 아닌 <(작거나 같다)이므 로 ‘2+3>5’의 부정을 ‘2+3<5’로 답하지 않도록 한다. LEC TURE

0

3-2

셀파 ‘~p 또는 q’의 부정은 ‘p이고 ~q’이다. 이것을 수직 선 위에 나타내어 진리집합을 구한다. 조건 ‘~p 또는 q’의 부정은 ‘p이고 ~q’이다.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1<x<2}, QC={x|x<-2 또는 x>1} 이것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x -2 -1 1 2 QC P QC 따라서 조건 ‘~(~p 또는 q)’, 즉 ‘p이고 ~q’의 진리집합은 PDQC={x|1<x<2} 부정과 드모르간의 법칙 조건이나 명제의 부정은 드모르간의 법칙과 유사하다. ➊ ~(p 그리고 q) ⇨ ~p 또는 ~q (PDQ)C=PC CQC ➋ ~(p 또는 q) ⇨ ~p 그리고 ~q (PCQ)C=PC DQC LEC TURE 24 | 정답과 해설 답_022030_수1(하)1-3_사.indd 24 2017. 3. 2. 오후 7:49

(18)

0

8-1

셀파 주어진 명제에서 가정과 결론을 찾아 역과 대우를 구 한다. ⑴ 주어진 명제를 p cbd q 꼴로 나타내면 p:사각형 ABCD는 정사각형이다. q:(사각형 ABCD에서) 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다. 역: 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으면 사각형 ABCD는 정사각형이 다. ∴ 거짓 [반례] 직사각형의 네 내각의 크기는 모두 같지만 직사각 형은 정사각형이 아니다. 대우: 네 내각 중 크기가 다른 각이 있으면 사각형 ABCD는 정 사각형이 아니다. ∴ 참 | 참고 | ‘모든’의 부정이 ‘어떤’이므로 ‘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다.’의 부정은 ‘네 내각 중 어떤 각은 크기가 다르다.’이고, 이것을 일반적인 표현으로 고치면 ‘네 내각 중 크기가 다른 각이 있다.’가 된다. ⑵ 주어진 명제를 p cbd q 꼴로 나타내면 p:a€+1이다. q:a+1이다.: a+1이면 a€+1이다. ∴ 거짓

[반례] a=-1이면 a+1이지만 a€=1이다. 대우:a=1이면 a€=1이다. ∴ 참

0

5-1

셀파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 P, Q에 대하여 PAQ이면 명제 p cbd q는 참이다. ⑴ 두 조건 p, q를 p:2x-1=3, q:x€+x-6=0 으로 놓고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2x-1=3에서 x=2 ∴ P={2} x€+x-6=0, 즉 (x+3)(x-2)=0에서 x=-3 또는 x=2 ∴ Q={-3, 2} 두 집합 P, Q의 포함 관계는 PA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 ⑵ 두 조건 p, q를 p:x는 3의 배수, q:x는 7의 배수가 아니다. 로 놓고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EQ이므로 명제 p cbd q는 거짓 이때 x=21이면 x는 3의 배수이면서 7의 배수이므로 명제 p cbd q가 거짓임을 보여주는 반례는 x=21 반례 명제 p cbd q가 거짓임을 보일 때는 조건 p를 만족시키지만 조건 q를 만족시키지 않는 원소를 찾으면 된다. 이 원소를 명제 p cbd q에 대한 반례라 한다. 이때 특별한 조 건이 없으면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전체집합으로 생각한다. 예 a+b가 정수이면 a, b는 정수이다. (거짓) [반례] a=;2!;, b=-;2!;이면 a+b는 정수이지만 a, b는 정수가 아니다. LEC TURE ① RAP이므로 명제 r cbd p는 참이다. ② REQ이므로 명제 r cbd q는 거짓이다. ③ RAQC이므로 명제 r cbd ~q는 참이다. ④ RAP, 즉 PC ARC이므로 명제 ~p cbd ~r는 참이다. ⑤ (PDQ)ARC이므로 명제 (p이고 q) cbd ~r는 참이다. 따라서 거짓인 명제는 ②

0

6-1

셀파 벤 다이어그램에서 세 집합 P, Q, R의 포함 관계를 알아본다. 명제 ~p cbd ~q가 참이므로 PC AQC, 즉 QAP이다. ① QAP (참) ② PCQ=P (거짓) ③ PDQ=Q (참) ④ Q-P=z (참) ⑤ PC AQC (참) 따라서 항상 옳다고 할 수 없는 것은 ②

0

6-2

셀파 AAB이면 BCAAC이 성립하고 ACABC이면 BAA가 성립한다.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x<-3}, Q={x|x<a 또는 x>1} 명제 p cbd q가 참이므로 PAQ이어야 한다. 이때 PAQ가 되도록 두 집합 P, Q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3<a<1

0

7-1

셀파 수직선 위에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나타낸다. 1 -3 Q Q a P x

0

7-2

셀파 명제 p cbd q가 참이면 PAQ이다. 두 조건 p, q를 p:0<x<3, q:a-2<x<a+2 로 놓고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명제 ‘0<x<3이면 a-2<x<a+2’가 항상 참이 되려면 PAQ이어야 한다. 이때 PAQ가 되도록 두 집합 P, Q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 음 그림과 같다. x a-2 0 3 a+2 Q P 따라서 a-2<0이고 a+2>3이므로

1<a<2 a<2 a>1

3. 명제 | 25

(19)

10-1

셀파 진리집합의 포함 관계를 이용하여 두 명제 p cbd q, q cbd p의 참, 거짓을 판별한다. ⑴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x는 6의 약수}={1, 2, 3, 6}, Q={x|x는 12의 약수}={1, 2, 3, 4, 6, 12} 이때 PAQ, QEP이므로 p gm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⑵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2<x<4}, Q={x|0<x<3} 이므로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QAP, PEQ이므로 q gm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 0 -2 P 3 4 Q x ① 명제 ~r cbd ~q가 참이므로 그 대우 q cbd r도 참이다. ② 두 명제 p cbd q와 q cbd r가 모두 참이므로 명제 p cbd r도 참 이다. ③ 명제 p cbd r가 참이므로 그 대우 ~r cbd ~p도 참이다. ⑤ 명제 p cbd q가 참이므로 그 대우 ~q cbd ~p도 참이다. 따라서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④

0

9-2

셀파 두 명제 p cbd q와 ~r cbd ~q가 모두 참이므로 각 각의 대우도 모두 참이다.

10-2

셀파 두 명제 p cbd q, q cbd p가 모두 참이면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⑴ 명제 p cbd q: x가 소수이면 x는 홀수이다. (거짓) [반례] x=2는 소수이지만 홀수가 아니다. 명제 q cbd p: x가 홀수이면 x는 소수이다. (거짓) [반례] x=9는 홀수이지만 소수가 아니다. 따라서 p f/fm q, q f/fm 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아무 조건도 아 니다. ⑵ 명제 p cbd q:xy=0이면 x=0 또는 y=0 (참) 명제 q cbd p:x=0 또는 y=0이면 xy=0 (참) 따라서 p lffm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건 p가 조건 q이기 위한 무슨 조건인 지 판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⑴ 진리집합 (범위)에 의한 판별  두 집합에 대하여 ➊ (좁은 범위)는 (넓은 범위)이기 위한 충분조건 ➋ (넓은 범위)는 (좁은 범위)이기 위한 필요조건 ➌ 두 집합의 범위가 같으면 필요충분조건 ⑵ 참이 되는 방향에 의한 판별 ➊ ‘cbd’ 방향만 참이면 충분조건 ➋ ‘ea’ 방향만 참이면 필요조건 ➌ ‘cbd’, ‘ea’ 방향이 모두 참이면 필요충분조건 세미나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의 판별 방법 두 명제 p cbd r와 r cbd q가 모두 참이므로 명제 p cbd q도 참 이다. 명제 p cbd q가 참이므로 그 대우 ~q cbd ~p도 참이다. 따라서 반드시 참인 것은 ③

0

9-1

셀파 두 명제 p cbd r와 r cbd q가 모두 참이면 삼단논법 에 의하여 명제 p cbd q도 참이다. ⑶ 주어진 명제를 p cbd q 꼴로 나타내면 p:n이 9의 배수이다. q:n이 3의 배수이다.: n3의 배수이면 n9의 배수이다. ∴ 거짓 [반례] n=6은 3의 배수이지만 9의 배수가 아니다. 대우:n3의 배수가 아니면 n9의 배수가 아니다. ∴ 참 어떤 명제와 그 역, 대우는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들의 참, 거짓을 판별할 때는 대우의 참, 거짓을 알아보는 것이 편리 한 경우가 많다. ~p ~q ~q ~p p q q p 대우 역 역 대우 ➊ 명제 p cbd q가 참이면 그 대우 ~q cbd ~p도 참이다. ➋ 명제 p cbd q가 참이어도 그 역 q cbd p가 반드시 참인 것 은 아니다. | 참고 | ‘반드시 참인 것은 아니다.’의 뜻은 ‘참일 수도 있고 거짓일 수도 있다.’로  명제 p cbd q가 참인 조건만을 가지고는 그 역의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없다는 뜻이다. 세미나 명제의 역과 대우 26 | 정답과 해설  답_022030_수1(하)1-3_사.indd 26 2017. 3. 9. 오후 6:26

(20)

본문 | 66 쪽 집중 연습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⑴ P={x|x는 정수}, Q={x|x는 자연수} 이때 QAP, PEQ이므로 q gm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 ⑵ P={x|x>0}, Q={x|x>5} 이때 QAP, PEQ이므로 q gm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 ⑶ |x|<1이면 -1<x<1이므로 P={x|-1<x<1}, Q={x||x|<1}={x|-1<x<1} 이때 P=Q이므로 p lgm q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⑷ 명제 p cbd q:x=2, y=5이면 x+y=7 (참) 명제 q cbd p: x+y=7이면 x=2, y=5 (거짓) [반례] x=1, y=6이면 x+y=7이지만 x+2, y+5 따라서 p gm q, q f/fm 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⑸ 명제 p cbd q: x=y이면 xz=yz (참) 명제 q cbd p: xz=yz이면 x=y (거짓) [반례] x=1, y=2, z=0이면 xz=yz이지만 x+y 따라서 p gm q, q f/fm 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⑹ 명제 p cbd q: x>0, y>0이면 x+y>0, xy>0 (참) 명제 q cbd p: x+y>0, xy>0이면 x>0, y>0 (참) 따라서 p lffm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 참고 | ⑹ 명제 q cbd p에서 xy>0이면 x, y의 부호가 같으므로 x>0, y>0 또는 x<0, y<0 이때 x+y>0이므로 x>0, y>0

0

1

⑴ 두 조건 p, q를 p:AAB, q:ADB=A 로 놓으면 명제 p cbd q: AAB이면 ADB=A (참) 명제 q cbd p:ADB=A이면 AAB (참) 따라서 p lffm q이므로 AAB는 ADB=A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이다. ⑵ 두 조건 p, q를 p:n(A)<n(B), q:AAB 로 놓으면 명제 p cbd q: n(A)<n(B)이면 AAB (거짓) [반례] A={1, 2}, B={3, 4, 5}일 때, n(A)=2, n(B)=3에서 n(A)<n(B)이지만 AEB이다. 명제 q cbd p:AAB이면 n(A)<n(B) (참) 따라서 p f/fm q, q gm p이므로 n(A)<n(B)는 AAB 이기 위한 필요 조건이다.

0

3

⑵ 두 조건 p, q를 p:x가 소수, q:x€+x-2>0 으로 놓고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전체집합 U={1, 2, 3}의 원소 x에 대하여 P={2, 3} 한편 x=1일 때, x€+x-2=1€+1-2=0, x=2일 때, x€+x-2=2€+2-2=4>0, x=3일 때, x€+x-2=3€+3-2=10>0 이므로 Q={2, 3} 이때 P=Q이므로 p lffm q 따라서 ‘x가 소수’는 ‘x€+x-2>0’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이다. ⑶ 두 조건 p, q를 p:x, y가 유리수, q:x+y가 유리수 로 놓으면 명제 p cbd q: x, y가 유리수이면 x+y는 유리수 (참) 명제 q cbd p: x+y가 유리수이면 x, y가 유리수 (거짓) [반례] x='2, y=-'2이면 x+y=0으 로 유리수이지만 x, y는 유리수가 아니다. 따라서 p gm q, q f/fm p이므로 ‘x, y가 유리수’는 ‘x+y 가 유리수’이기 위한 충분 조건이다. ⑴ 두 조건 p, q를 p:0<x<2, q:-1<x<5 로 놓고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0<x<2}, Q={x|-1<x<5} 이때 PAQ, QEP이므로 p gm q 따라서 ‘0<x<2’는 ‘-1<x<5’이기 위한 충분 조건이다.

0

2

0 -1 2 5 x Q P 3. 명제 | 27 답_022030_수1(하)1-3_사.indd 27 2017. 3. 2. 오후 7:49

(21)

p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 gm ~r r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 gm r 이때 q gm r에서 그 대우를 생각하면 ~r gm ~q이다. 따라서 p gm ~r, ~r gm ~q이므로 p gm ~q 그러므로 항상 참인 것은 ③

13-1

셀파 대우와 삼단논법을 이용한다.

0

1

셀파 실수 A, B, C에 대하여 A€+B€+C€+0이면 A+0 또는 B+0 또는 C+0이어야 한다. 부정: (a-b)€+(b-c)€+(c-a)€+0 lgm a+b 또는 b+c 또는 c+a lgm a, b, c 중 서로 다른 것이 있다.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⑤ | 참고 | a, b, c는 서로 다르다. lgm a+b+c lgm a+b이고 b+c이고 c+a lgm (a-b)(b-c)(c-a)+0 (a-b)(b-c)(c-a)>0

lgm a<b<c 또는 b<c<a 또는 c<a<b

본문 | 70~71 쪽 연습 문제

12-2

셀파 세 조건을 각각 p, q, r로 놓고 진리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알아본다. 세 조건 p, q, r를 p : -1<x<1 또는 x>2, q : x>a, , r : x>b 로 놓고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 하면 P={x|-1<x<1 또는 x>2}, Q={x|x>a}, R={x|x>b} q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q gm p에서 QAP r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p gm r에서 PAR QAP, PAR가 되도록 P, Q, R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1 P P Q 2 1 a b R x ∴ a>2, b<-1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2, 실수 b의 최댓값은-1

12-1

셀파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면 명제 p cbd q가 참이 므로 p gm q이다.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1<x<3}, Q={x|-2<x<a}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p gm q에서 PAQ이다. PAQ가 되도록 P, Q를 수직선 위 -1 -2 Q 3 a P x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a>3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3 문자의 범위를 구할 때 주의할 점 명제가 참이 되게 하는 문자의 범위를 구할 때는 그 범위에 ‘등 호’가 포함되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집합 P, Q에 대하여 PAQ 가 되도록 하는 a, b의 값의 범 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생각해 볼 수 있다. 1 a는 1의 왼쪽에 있고, b는 2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기본적 으로 a<1, b>2인 관계가 성립한다. 2 1에서 구한 a<1에 등호를 포함하여 a<1이라고 생각해 보면 1은 P의 원소이지만 Q의 원소는 될 수 없으므로 PAQ가 성립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a의 값의 범위는 a<1이다. 3 1에서 구한 b>2에 등호를 포함하여 b>2라고 생각해 보 면 2는 P의 원소가 아니고 Q의 원소이므로 PAQ가 성립 한다. 따라서 b의 값의 범위는 b>2이다. 1, 2, 3에서 구하는 a, b의 값의 범위는 a<1, b>2이다. LEC TURE 2 1 b Q x a P

11-1

셀파 q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면 q gm p q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q gm p에서 QAP 따라서 두 집합 P, Q 사이의 포함 관계는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과 같다. ① PDQ=Q (거짓) ② PCQ=P (참) ③ PC CQ+U (거짓) ④ QAP이므로 PC AQC (거짓) ⑤ PC CQC=(PDQ)C=QC (거짓)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② U P Q 28 | 정답과 해설 답_022030_수1(하)1-3_사.indd 28 2017. 3. 2. 오후 7:49

참조

관련 문서

자유무역협정은 관세를 점 진적으로 낮추거나 폐지함으로써 자유경쟁시장의 장점을 국경

자기가 가져온 책은 자기가 읽지 않으면서 책을 바꾸어 읽는 경우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y ① 따라서 구하는

 외국기업이 국내에 직접투자를 하는 경우를 외국읶직접 투자(FDI)라하고 국내기업이 해외에 직접투자를 하는 경우를 해외직접투자(Overseas Direct Investment:

1.3 Territory shall mean [ 지역명 ], as the parties may from time to time vary upon mutual agreemen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the the Company, the

이때 점 O에 핀을 꼽은 물체를 가정하고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물체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를 구하여, 모멘트의 방향으로 한다... 따라서, 벡터 외적 (vector

• Einstein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물체내에서 힘의 내부효과 (internal effect)는 힘이 작용하는 장소에 의존한다.)... 이때 새로 생성된 우력 모멘트는 자유벡터(free vector)이므로,

이것은 괄호를 풀고 동류항끼리 모아서 다음과 같이 계산한 것과 같다.. 이때 다항식의 뺄셈은 빼는 식의 각 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