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면담조사 분석

문서에서 고등학교 (페이지 15-25)

Ⅲ. 면담조사

3.3 면담조사 분석

이장에서는 면담조사의 결과를 문항별로 소개하고 그 결과들을 분석해 보 도록 하겠다.

7가지 항목 중 그 첫 번째는 자유로운 글쓰기 지도 시 주제선정의 방향과 방법에 대해 묻는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 1 : 주제선정

첫 번째 문항인 ‘글쓰기의 주제를 선정할 때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쉽 게 경험할 수 있는 주제로 한다’에 대해 67%가 “그렇다”, 33%가 “다소 그렇다”로 대답하였다. 표1에서 보듯이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쉽게 경험 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우 경(1992)이 밝힌 것과 같이 학생들이 글쓰기 주제를 접함에 있어 주제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감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교사들이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표1> 주제선정 (단위 : 명, %)

면담의 두 번째 항목은 자유로운 글쓰기를 하는 동안 학생들 간의 아이디 어 교환의 방법과 그 시행여부에 관해 묻는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2 : 주제에 대한 토론

두 번째 문항인 글쓰기를 하기 전 학생들 간의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 교 환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가 10%, “다소 그렇다”가

60%, “그렇지 않다”가 30%로 나타났다. <표2>에서 보듯이 “그렇다”라는

면담의 세 번째 항목은 자유로운 글쓰기를 하기 전 기초 언어능력 학습의

10%로 자유작문 지도 전 문법을 지도하는 것을 교사들이 고려치 않고

는지’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가 10%, “다소 그렇다”가 70%, “그렇지 않 다”가 20%로 나타났다. 문단의 명확한 구성은 문장부호의 활용과 마찬가 지로 읽는 이로 하여금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결정적 도움을 준다. <표 7>에서 보듯이 문단구성법에 대해 교육하는지에 대해 “그렇다”라는 답변 이 10%로 문단구성법 지도를 고려하는 교사가 많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 겠다.

<표 7> 문단구성법 학습

(단위 : 명, %)

선택사항 인원수 비율

그렇다 3 10

다소 그렇다 21 70

그렇지 않다 6 20

계 30 100

문항 8 : 통제작문 학습 비중

여덟 번째 문항인 ‘자유로운 글쓰기보다 받아쓰기나 질의 문답식 형식적인 글쓰기를 더욱 많이 학습하는지’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가 26%, “다소 그렇다”가 40%, “그렇지 않다”가 34%로 나타났다. 이우경(1992)에 의하 면 자유작문의 장점은 문법적, 수사학적 제한이 없이 학생들 스스로 언어 와 내용을 조작할 수 있다는 점과 오류에 집착하지 않고 창의력을 신장시 킬 수 있는 연습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런 종류의 통제작문 형식의 글 쓰기를 지나치게 오랫동안 큰 비중을 두어 학습한다면 자유작문 시행시 오류에 집착하게 되고 창의력 신장에 방해를 받게 되기 쉽다고 한다. 그 러나 <표 8>에서 보듯이 ‘받아쓰기와 같은 통제작문 형식의 글쓰기를 더 많이 하는지’에 대해 “그렇다”라는 답변이 26%로 자유작문보다 통제작문 형식의 글쓰기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교사는 많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표 8> 통제작문 학습 비중 (단위 : 명, %)

선택사항 인원수 비율

그렇다 8 26

다소 그렇다 12 40

그렇지 않다 10 34

계 30 100

면담의 네 번째 항목은 자유로운 글쓰기 후 평가방법의 방향에 대해 묻는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9 : 평가시 글의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

아홉번째 문항인 ‘자유로운 글쓰기를 평가할 때 교사가 형식보다 글의 내 용을 더욱 중요시하는지’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가 40%, “다소 그렇다”

가 30%, “그렇지 않다”가 30%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적 목적은 약하나 오류가 적은 글, 다시 말해 외형적 완성도가 강한 글이 더 나은 평가를 받는다는 인식이 학습자에게 심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이영 자, 1999)한 것과 같이 우리 교실에서의 영어작문평가는 내용에의 배려 가 강한 것으로 보여진다. <표 9>에서 보듯이 ‘자유작문 평가시 교사가 형식보다는 내용에 중점을 두는 지’에 대해 “그렇다”라는 답변이 41%로 내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는 것을 교사들이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표 9> 평가시 글의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 (단위 : 명, %)

선택사항 인원수 비율

그렇다 12 40

다소 그렇다 9 30

그렇지 않다 9 30

계 30 100

문항 10 : 평가시 교사의 역할

문항12 : 과정평가

열두 번째 문항인 자유로운 글쓰기를 할 때 교사는 완전히 마무리 된 글 이 아니더라도 쓰기과정을 중요시하고 평가하는지에 대한 답변은 “그렇 다”가 14%, “다소 그렇다”가 60%, “그렇지 않다”가 26%로 나타났다.

Emig(1971)에 의하면 글을 쓰는 사람이 글을 쓰면서 무엇을 하는가를 조 사, 관찰한 결과 학생들은 글을 쓰는 동안 다양한 행동을 보이며 많은 변 화를 거치므로 결국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발견해 나가려는 계속적 인 시도가 쓰기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 글을 쓰는 사람이 글의 의미를 찾고자, 쓰기와 교정의 과정을 반복하고 이들이 상호작용하고 이 를 통해 중요한 아이디어가 계속 확장되고 다듬어지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 활동이 모두 쓰기과정에 포함된다는 것이다(Murry, 1980). 곧, 쓰 는 활동은 완전히 갖춰진 아이디어의 기록이 아니라, 아이디어 발달의 기 록이라는 것이다(이명관, 2000). 그러나, <표12>에서 보듯이 완전히 마무 리된 글뿐만 아니라 쓰는 과정도 평가하는지에 대해 ‘그렇다’라는 답변이 14%로 쓰는 과정에서도 평가를 하는 교사는 많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겠 다.

<표12> 과정평가 (단위 : 명, %)

선택사항 인원수 비율

그렇다 4 14

다소 그렇다 18 60

그렇지 않다 8 26

계 30 100

면담의 다섯 번째 항목은 자유로운 글쓰기 지도시 교사의 역할을 묻는 문 항들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 13 : 교사의 안내 역할

열세 번째 문항인 ‘자유로운 글쓰기를 할 때 교사가 안내자의 역할을 하

는지’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가 30%, “다소 그렇다”가 50%, “그렇지 않 다”가 20%로 나타났다. 자유작문 지도 시 교사가 감시자가 아닌 안내자 의 역할을 할 때에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오류를 수정하고 또한 글쓰기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작문을 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표13>에서 보듯이 자유 작문 지도시 교사가 안내의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해 그렇다라는 답변이 30%에 지나지 않으나 다소 그렇다가 50% 그렇 지 않다가 20%로 안내의 역할을 하려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많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표13> 교사의 안내 역할 (단위 : 명, %)

선택사항 인원수 비율

그렇다 9 30

다소 그렇다 15 50

그렇지 않다 6 20

계 30 100

면담의 여섯 번째 항목은 교재 및 부교재 인터넷 등 여러 가지 매체의 활 용여부에 대해 묻는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14 : 부교재 사용

열다섯 번째 문항인 글쓰기 지도시 교사들이 다양한 부교재를 사용하는지 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가 20%, “다소 그렇다”가 50%, “그렇지 않다”

30%로 나타났다. 이우경(1992)에 의하면 교과서에 있는 내용은 학생들에 게 신선하게 느껴지지 못하는 데 교과서는 시험공부를 하려면 당연히 읽 어야 하는 것으로만 받아들일 뿐 교과서의 내용을 읽고 그것을 주제로 삼 는다면 새로운 동기를 주지 못한다고 한다. 하지만 <표14>에서 보듯이 우리 고등학교에서 영어쓰기를 위하여 부교재를 사용하고 있는 교사는 20% 정도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과서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표 14> 부교재 사용 (단위 : 명, %)

선택사항 인원수 비율

그렇다 6 20

다소 그렇다 15 50

그렇지 않다 9 30

계 30 100

문항15 : 인터넷 활용

열 다섯 번째 문항인 교사들이 글쓰기를 지도할 때 인터넷을 활용하는지 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가 10%, “다소 그렇다”가 37%, “그렇지 않다”

가 53%로 나타났다. 전 세계의 정보자원을 하나의 통신 장으로 묶어주는 인터넷은 개별학습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는 풍부한 학습자료를 언제, 어 디서나 시공간의 제약 없이 공급받을 수 있는 수업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다고 말한다. 더욱이 인터넷의 여러 분야 중에서 특히 전자우편은 학생 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스스로 선택한 여러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상 호간의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특징 때문에 문자언어의 의사소통 수단으 로서 영어를 배우고 가르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 나, <표15>에서 보듯이 교사들이 글쓰기 지도 시 인터넷을 활용하는지에 대해 “그렇다”라는 답변이 10%로 인터넷을 활용하여 글쓰기를 지도하는 것을 고려하는 교사는 많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겠다.

<표15> 인터넷 활용

(단위 : 명, %)

선택사항 인원수 비율

그렇다 3 10

다소 그렇다 11 37

그렇지 않다 16 53

계 30 100

설문의 일곱 번째 항목은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교에서 영어를 공부하는 총 영어학습 시간중 영어쓰기가 차지하는 비중을 묻는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 16 : 쓰기학습 비중

열여섯 번째 문항인 글쓰기 지도의 비중이 나머지 언어의 영역인 듣기, 말하기, 읽기와 같은지에 대한 답변은 “그렇다”가 10%, “다소 그렇다”가 23%, “그렇지 않다”가 67%로 나타났다. <표16>에서 보듯이 그렇다 라 는 답변이 10%로 학교에서의 영어학습에서 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타 영역에 비해 적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표16> 쓰기학습 비중

(단위 : 명, %)

선택사항 인원수 비율

그렇다 3 10

다소 그렇다 7 23

그렇지 않다 20 67

계 30 100

문서에서 고등학교 (페이지 15-2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