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음말

문서에서 2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페이지 103-111)

PART

5. 맺음말

참고문헌

김진오, 곽호영, 이종호, 유영필, 신수록, 신종은, 조영, 오정심. 2013. 「바이오에너지 기

준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노경상, 정연태, 양정희, 천현식, 정소영. 2010. 「우리나라 바이오매스 이용 실태에 관

한 기초조사 보고서」. (사)한국축산경제연구원

농림축산식품부. 2009. 「조사료 이용 수급계획」.

농림축산식품부. 2013.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

박현태, 김연중, 이상민, 한혜성. 2007. 「농업부문 바이오매스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전략(2/2차 연도)」. R54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 2009.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2009-2030)」.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2013. 「2012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윤영만, 진효언, 홍지환, 안영미, 함동수, 나필수, 김승환. 2013.「가축분뇨 고형연료 제

품의 품질 및 등급기준 마련 연구」. 환경부.

정종선. 2013.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슈와 논점」. 제

353호. 국회입법조사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2. 「2011년도 에너지R&D 통계 자료집」.

환경부. 2011. 「2010 폐기물자원화 에너지 통계·자료집(1권 유기성폐자원 에너지 활용 시설」.

산업통상자원부. 2009. 「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IPCC. 2012. 「Renewable energy source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Special report of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참고사이트

독일 국토부 (http://www.wege-zum-bioenergiedorf.de/bioenergiedoerfer) 법제처 (http://www.moleg.go.kr/main.html)

신재생에너지자원데이터센터 (http://210.98.3.184/kier)

일본 농무성 (http://www.maff.go.jp/hokuriku/environment/bio/bio.htm) 일본 유기자원협회 (http://www.jora.jp/biomasstown_DB/index.html)

●● ●

●●●●●●●●●●●●●●●●●

●●●●●●●●●●●●●●●●●●

●●●●●●●●●●●●●●●●●

●●

3

PART 국가별 농업자료

러시아 연해주·일본

러시아 연해주 농업현황과 한국의 진출 전략❙ 성진근 일본 농업 6차산업화 정책 현황과 과제❙ 이유경

WORLD AGRICULTURE

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3년

1월 인도네시아의 농업 및 농식품 교역

2월 프랑스의 농업과 농정

필리핀의 식량자급 정책

3월 덴마크 농업의 이해 -농업발전 과정의 도전과 대응사례 캄보디아 농업 잠재력과 정책 방향

4월 인도 농업의 개황 및 정책

5월 우크라이나의 농업 현안과제와 한국의 투자진출 전략

6월 스위스 농업 개황 및 농정개혁

7월

러시아 아무르주 농업 현황 러시아 남부지역 농업 현황 호주 서부지역 농업 현황

8월 탄자니아 농업 개황

프랑스 농작물 보험제도 동향

9월 영국 농업 동향과 시사점

우간다 농업 개황

10월 르완다 농업 현황

칠레 농업 현황

11월 태국

태국 농업 개황

12월

네덜란드 ․ 인도 네덜란드 농업 현황 인도 농업․농정 동향

2014년 1월

라오스 ․ 스페인 라오스의 화전농업

스페인 농작물재해보험 현황 및 시사점

세계농업 「국가별 농업자료」 원문자료 http://worldagri.krei.re.kr/web/worldagri/6

국가별 농업자료

세계농업 HISTORY

국가별 농업자료

러시아 연해주 농업현황과 한국의 진출 전략 *

성 진 근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사)한국농업경영포럼 이사장)

5)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 대박론(신년기자회견(14.1.6), 다보스포럼(14.1.22))이 세간 의 화제가 되고 있다. “통일이 되면 북한지역에 대대적인 SOC중심의 투자가 일어 나게 되고, 주변국(중국의 동북아 3성과 러시아 연해주)에도 투자가 연계되어 남북 한뿐만 아니라1)주변국들도 큰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통일 대박론이다.

한반도 지도를 거꾸로 놓고 보면 한반도는 거대한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출구 에 자리하고 있다. 대륙의 자원과 해양의 시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절묘한 위치인 것이다. 그러나 남북분단(分斷)으로 인해서 남한은 대륙과의 연결통로가 끊긴 채 세계에서 가장 값비싼 자원(광물자원 및 인적자원) 가격으로 인해서 성 장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통일이 실현되어 남북한 철도가 연결되면 러시아 연 해주는 한반도와 대륙을 잇는 통로의 출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다.2) 또한 통일 이후 남북한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식량공급기지로 개발할 수 있는 전략적 가치가 큰 지역이기도 하다.

러시아 연해주 농업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농업 협력진출모형(Business model)은 어떠해야 할 것인가?

* (sjk1633@naver.com 02-2226-0393)

1) 동독의 저임금 노동력을 서독의 기술・자본과 결합시킨 경제성장모형으로 선진국으로 발돋움한 통일 독일이 좋은 사례이다.

2) 한반도 종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사업의 중심에 연해주가 위치하고 있다(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정책-대한민국 2013.10.18).

표 1 연해주의 농지면적과 이용

단위 : 1,000ha

구분 농지면적(A) 파종면적 추이 비율(%)

1990(B) 2000 2005 2012(C) C/A C/B

농경지

합계 1,231 741.6 448.1 360.8 362.0 29.4 48.8

535 38.4 6.5 3.4 64.0 18.1 166.7

878 703.2 441.6 357.4 298.0 33.9 42.4

초지 1,700 1,700 1,700 1,700 1,700

총계 2,931

자료: 성진근 외(2013).

문서에서 2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페이지 103-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