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선행 논문에서 언급된 패션잡지의 정체성을 패션지 향적 관점에서 내용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했다

우선 본 논문에 적합한 패션잡지를 선정하였다.

패션잡지 선정은 전문적이고 정확한 패션문화의 전달을 위해서 독자들에게 가

17) , 패션미디어로서의 패션잡지에 관한 고찰, 상지대학교 논문, 1988

18) 윤을요, 국내 라이선스 패션 잡지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19) 이주연, 패션 전문잡지의 포맷 매뉴얼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장 널리 읽혀지고 있는 패션잡지가 패션지향적 정체성이 가장 잘 확립되어 있어 야 한다는 가정 하에 이루어졌다.

따라서 한국 패션잡지 중 가장 독자들이 선호하는 패션잡지로 나타난20) 한국 Vogue를 연구의 중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한국 Vogue의 패션지향적 정 체성을 비교하기 위한 대상으로는 Vogue라는 동일한 기준 선상에 있는 미국 Vogue와 이탈리아 Vogue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미국 Vogue, 이탈리아 Vogue, 한국 Vogue의 2001년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36권을 조사했다.

패션지향적 정체성을 파악하기위한 내용 분석이 가장 먼저 이뤄져야 했다. 따 라서 먼저 내용의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분석을 위하여 다른 선행 논문들에서 제시된 조사 항목으로 패션잡지의 대표적인 구성요소인 화보와 기사, 광고로 분 류하였다.21)

다시 화보, 기사, 광고를 더 세분화하여 패션지향적 정체성과 가장 상관성이 있는 패션에 관련된 내용과 패션 이외의 내용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 중에 패션 이외 내용이 대부분 미용에 관련된 내용이며 Vogue의 목차 상 Beauty & Health가 Fashion과 분류되어 한 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패션잡지 속의 미용 부분이 차지하는 부분을 무시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패션 이외의 내용에는 다시 미용과 기타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단 본 연구자는 패션에 관련된 내용에 의류 뿐 만아니라 패션 코디네이션과 관 련된 잡화나 쥬얼리 까지도 포함시켜서 조사했다. 이는 잡화나 쥬얼리가 패션과 는 따로 떼서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패션의 완성을 위한 중요한 소품이며,

20) , 패션잡지의 구독과 의복구매의 상관관계분석,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장승연, 20대 여성의 패션잡지 활용도와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2000

21) 김순영, 국내 라이선스 패션잡지의 지면 구성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장승연, 20대 여성의 패션잡지 활용도와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2000 / 이외 다수

패션지향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컬러와 모노톤으로 나누어서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세분화 된 부분의 양은 페이지 수를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나타내었다.

이 조사 내용을 통하여 각 세분화 된 부분이 차지하는 분량과 각 세분화 된 부 분의 주된 내용을 정리하여 미국 Vogue, 이탈리아 Vogue, 한국 Vogue의 내용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미국 Vogue, 이탈리아 Vogue와 비교 하여 한국 Vogue의 패션지향적 정체성의 수준을 파악해 보았다.

패션지향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3-2. Vogue의 내용 분석 결과

3-2-1. 미국 Vogue

우선 미국 Vogue는 Fashion, Beauty & Fitness, Features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내용들은 화보, 기사, 광고에 다른 비율로 실려 있다. 미국 Vogue의 기 본적인 목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Fashion

style fax : 사회적, 역사적으로 이슈가 된 스타일을 재조명하는 기사이다.

talking fashion : 이슈적인 행사장 풍경, 참여한 유명인 들의 style을 테마 별로 사진과 함께 보여 주는 기사이다.

vogue view : 유행되고 있거나 유행 가능성 있는 아이템을 다양한 컨셉으로 보여주며, 간략한 설명기사를 첨가해 패션경향을 보여준다.

패션쇼 시즌에는 간략한 패션쇼 화보와 기사를 소개한다.

point of view : 유행 패션을 유명 모델이나 연예인을 등장시켜 화보 형식으로 보여준다.

nostalgia : 과거의 주요 인물, 디자인, 포토그래퍼, 이슈적인 사건이 나 스타일 등에 대한 기사이다.

vogue index : 유행하고 있는 컬러나 제품을 컨셉 별로 나누어 토털 코디네이션을 제안한다. 또한 신상품과 shop 등을 소개 한다.

vogue last look : 한 아이템을 여러 브랜드 제품과 비교설명해 준다.

* Beauty & Fitness

: 화장품, 헤어스타일 뿐 아니라 health와 fitness에 관한 트렌드 정보와 제품을 소개한다.

0

people are talking about : movie, musical, music, travel, design, book 등 주요 문화 행사와 음식, 건축까지 다양한 부

패션지향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88% 2% 10%

패션 미용 기타

미국 Vogue 화보 내용

화보 내용 분류 기준

패션 관련 내용 (100% 기준)

패션 이외의 내용 (100% 기준)

자체 기획 화보 100% 100%

외부 편집 기획 화보 0% 0%

<표 3> 미국 Vogue의 화보 분류

화보의 내용은 88%가 패션에 관련된 내용이었고, 패션 이외 내용인 미용은 2%, 기타는 10%였다. 화보에 있어서는 패션에 관련된 화보가 주류를 이루었다. 패션 에 관련된 화보에서는 주로 의류를 중심으로 한 토털 코디네이션을 보여주는 화 보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기타에서는 식생활이나 주생활과 관련된 화보가 주 류를 이루었다.

다음으로는 패션 관련 내용과 패션 이외의 내용에서 더 세부적인 분류인 자체 기획 화보와 외부 편집 기획 화보가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결과이다.

화보는 100% 자체 기획되고 있었고 화보의 모델 이용에 있어서도 연예인을 모 델로 이용하는 비율 보다는 의류에 대한 소화력이 높고 의류의 분위기를 더 잘 전달해 줄 수 있는 전문 모델을 이용하는 비율이(90% 이상) 높았다.

컬러 95%

모노톤 5%

미국 Vogue 화보의 컬러비율

29% 22% 49%

광고적 성향의 화보 추상적 화보 실용적 화보

미국 Vogue 화보의 성향

그리고 화보의 성향에 있어서도 49%가 실용적인 코디네이션을 보여주는 화보였 다. 그러나 광고적 성향의 화보도 29%로 상업적인 화보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면 서 화보와 광고의 경계를 모호하게 했다.

화보의 색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자연광을 그대로 활용해서 컬러자체에 있어서 화려했으며,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있었다.

화보의 컨셉은 매월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었고, 세계적인 사진작가인 Mario Testino(자연적인 분위기), Helmut Newton(추상적, 다이나믹한 여성미 강조), Raymond Meier(사실적이며 직접적, 미국적), Steven Meisel(다양한 이미지 연 출, 주요 화보를 주로 촬영)등이 활동하고 있었다.

3-2-1-2. 기사

기사는 패션잡지의 평론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그 기능에 있어서 중요시 되어야할 부분이다.

패션지향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기사 내용

패션지향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60% 24% 16%

패션 미용 기타

미국 Vogue 광고 내용

광고 내용 분류 기준

패션 관련 내용 (100% 기준)

패션 이외의 내용 (100% 기준)

국내 브랜드 광고 57% 74%

해외 브랜드 광고 43% 26%

<표 5> 미국 Vogue의 광고 분류

광고의 내용은 패션에 관련된 내용이 60%이고, 패션 이외 내용은 40%였다. 패 션관련 내용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미용에 관련된 내용도 24%로 큰 비 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광고지면의 16%를 차지하는 기타의 내용은 주류나 자동차, 과자류 등 전혀 패션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들이었다.

다음으로는 패션 관련 내용과 패션 이외의 내용에서 더 세부적인 분류인 국내 브랜드 광고와 해외 브랜드 광고가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결과이다.

패션에 관련된 내용에서는 국내 브랜드의 광고가 57%로 절반이상이었고, 해외 브랜드의 경우는 43%로 대부분이 이탈리아 브랜드에 대한 내용이었다. 패션 이 외의 내용에서는 국내 브랜드 광고가 74%였고, 해외 브랜드 광고는 26%로 프랑 스의 화장품 광고가 많았다. 그 내용에 있어서도 자국과 해외의 고가 유명 디 자이너 브랜드를 중심으로 하여 자국의 중가 브랜드를 싣고 있었다.

컬러 99%

모노톤 1%

미국 Vogue 광고의 컬러비율

광고의 컬러는 모노톤 보다는 컬러의 비율이 높았고 대부분의 모노톤 광고는 이탈리아 브랜드에서(엠포리오 아르마니)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광고가 절반 이상의 페이지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이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이는 참신한 광고의 포맷을 잘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예로는 화보성 광고25)사용과 광고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이다.

특히, 제품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광고는 일러스트레이션 을 잘 활용해 사진이 전해주지 못하는 섬세한 부분까지 전해주고 있었다.

25) 연구에서의 정의는 화보에서 보여질만한 코디네이션이 주로 보여 지는 광고로 이미지적이며 다른 여러 가지 컨셉으로 연속적으로 여러 장에 걸쳐 한 브랜드의 광고가 보여 지는 것을 의미 한다.

패션지향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3-2-2. 이탈리아 Vogue

우선 이탈리아 Vogue는 Moda, Beauty & Fitness, Costume, Fatti Volti Tendenze로 나누어져 있다. 기본적인 목차와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Moda

: 다양한 컨셉의 화보로 구성된다.

* Beauty & Fitness

: 적은 분량으로 미용과 fitness의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준다.

* Costume

Vogue's focus : street fashion의 경향에 대한 기사와 화보이다.

People are talking about : movie, musical, music, travel, design, book 등 주요 문화 행사를 소개한다.

* Fatti Volti Tendenze (트렌드 경향)

On Stage : 연극, 영화 등의 무대위의 모습을 소개한다.

Event : 패션계 및 예술, 문화계의 새로운 전시회 등의 이벤트를 소개한다.

Social : 주요 행사장의 모습과 그곳에 나타난 유명인사들의 패션 스타일을 화보와 함께 보여준다.

moster : 사회, 문화적인 이슈에 대한 정보를 준다.

BELLEZZA : 주로 beauty에 관련된 새로운 스타일과 트렌드를 소개하고 그 테

BELLEZZA : 주로 beauty에 관련된 새로운 스타일과 트렌드를 소개하고 그 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