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모델의 유형(강원도를 사례로)

문서에서 녹색도시조성을 위한 계획수립 (페이지 41-47)

저탄소 녹색도시 개념적 모델을 기본으로 강원도의 지역특성을 감 안하여 크게 주거복합형 도시모델과 산업복합형 도시모델로 구분

주거복합형 도시모델은 주거중심형과 상업 업무중심형으로 구분됨 산업복합형 도시모델은 폐광지역 대체산업형, 노후산업단지 활성 화형, 관광융합기반형으로 구분됨

그러나 상업업무중심은 관광융합기반형과 연계되며, 노후산업단지 는 폐광지역 대체산업형과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거중심형, 폐 광지역 대체산업형, 관광융합기반형의 3가지 유형에 대하여 분석함

유 형

. 주거복합형 . 산업복합형

주거중심 상업

업무중심

폐광지역 대체산업형

노후산업 단지

관광융합 기반형

현 황 문제점

노후주 거지역 증가 신주거 지로 이동 노후주 거지 에너지 효율저하 신주거지 원거리 교통량 증가

구도심 기능 상실 외곽 신도시 신규 도심 생성 오래된 에너지 설비 교체, 수리 기회 박탈 신도심 으로 교통량 증가

지역경 제력 상실 인구감소 복원사업 부실 성장동 력으로 전환 어려움 경쟁력 상실 환경문제 심각

신규산 업체 기피 열악한 기반시설 환경처리 시설미흡 에너지 공급체계 비효율 공단지역 슬럼화 환경문제 증감

신규수요 창출없음 들러가는 테마 공원 지역경제 낙후 패러다임 변화에 뒤처짐 지역특성 연계 방안 미흡 에너지 공급체계 비효율화

공통 전략

토지ᆞ이용공간구조 : 저탄소 도시공간구조구축을 위한 복합토지 이용

생태ᆞ녹지 : 건물녹화, 공원ᆞ녹지 확보

저탄소 에너지ᆞ주택 : 신ᆞ재생에너지, 그린홈 도입 물 자원순환 : 물 자원 순환과 친수공간 조성

녹색교통 : 자동차 없는 도로-자전거도로, U-Bike, 그린카 도입 녹색생활 : 녹색소비, 그린스타트 등 국민실천운동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 유형>

2 장 저탄소 녹색도시의 개념

유 형

. 주거복합형 . 산업복합형

주거중심 상업

업무중심

폐광지역 대체산업형

노후산업 단지

관광융합 기반형

유형별 특화 전략

탄소흡수 공원 조성 그린 커뮤니티 조성

복합용도 시설단지 조성

Bio 순환림 조성 에너지 체험 Park 조성

녹색기술 산업 R&D 단지 조성

친환경 팬션 단지 생태주거 단지 조성 그린에너지 테마파크 조성

(1) 주거복합형(주거중심)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을 기존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재생하는 개념 으로 적용

신 재생에너지, 수변공간 등을 활용한 녹색주거단지로 재정비하는 개념 적용

옥상녹화, 탄소흡수공원을 도입하여 Zero Emission도시 유도

저탄소 녹색교통, 저탄소 녹색토지이용과 연계한 집적개발로 토지 이용의 효율화 및 지역내 저탄소화 유도

태양열, 태양광, 지열, 수력,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시설 자가 전력 공급)

바람통로 확보(하천주변부의 바람통로 축 확보 등)

빗물배수로, 저류시설, 침투시설, 친수공간 등 연계한 물순환체계 구축 폐기물 재활용(음식물쓰레기->콤포스트, 폐기물->biomass->에너지 활용)

<주거복합형 도시모델>

(2) 산업복합형(폐광지역 대체산업형)

폐광지역을 체험관 등 저탄소 생태테마파크로 재생하면서 주변 주 거지역과 연계한 저탄소 도시재생으로 조성

폐광지역 역사관광, 녹색관광 등 대체관광 상품화를 통한 도시이 미지 개선 및 지역경제창출

표고 및 경사를 고려한 지형 순응형 개발 유도

생태훼손지 복원녹화를 통한 CO2 흡수원 제공(수림대-습지-실개울 연계조성)

2 장 저탄소 녹색도시의 개념

녹색기술 산업의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활성화 및 녹색산업 집적화 유도

우수, 오수, 하수 등 도시의 미이용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습 지조성, 관수 등 수자원 재활용)

폐기물 제로화, 자원순환형시스템 도입

<산업복합형(폐광지역 대체산업형) 도시모델>

(3) 산업복합형(관광융합기반형)

해안가 위락시설, 음식점, 숙박업소 등을 친환경상업 시설로 조성 온라인전기자동차, 마차, 자전거 등 녹색교통을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친환경관광 이미지 창출

음식물쓰레기 및 오물 등의 퇴비화, 녹색구매(green consumer)활성화, 유기농산물생산시스템체험(연구, 체험학습, 전시, 판매 통합)

체계적인 보행네트워크 구축 및 유니버설디자인 도입

지역특성을 고려한 토지이용(지역자원의 고려, 개발과정과 개발 후의 성장관리를 위한 토지 확보)

친환경 펜션단지 생태주거단지 조성, 그린에너지 테마파크 조성 등

<산업복합형(관광융합기반형) 도시모델>

1 절 중앙정부의 정책 및 제도 현황

제 3 장 저탄소 녹색도시 추진현황

제 1 절 중앙정부의 정책 및 제도 현황

문서에서 녹색도시조성을 위한 계획수립 (페이지 41-47)